• 제목/요약/키워드: Chlamydomonas hedley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형질전환 미세조류의 고주파 처리 배양을 통한 MAA 생산량 증가 (Production Yield Enhancement of Mycosporine-like amino acid(MAA)s in Transformed Microalgae Culture by Radiofrequency)

  • 서효현;송미영;아툴 쿨카르니;서승석;이택견;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99-3804
    • /
    • 2014
  • Mycosporine-like 아미노산(MAAs)은 UV 흡수물질이며, 다양한 해양생물들은 MAAs의 합성과 축적을 통하여 환경자외선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진화시켜 왔다. 이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Chlamydomonas hedleyi에 포도당 전달 단백질인 Glucose transporter 1(Glut-1) 유전자를 pCAM1303 벡터에 도입한 형질전환체를 제작하여, 형질전환체의 바이오매스를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Glucose 농도와 NH4Cl농도를 결정하고, 고주파(Radiofrequency) 발생장치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증가와 함께 MAA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배양 조건을 확립하였다. 연구결과 고주파 처리를 통한 형질전환 미세조류는 4.13 mg/L(MAAs/DCW)으로 3.23 mg/L(MAAs/DCW)의 고주파 처리 없이 배양한 형질전환체보다 효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외선 A 흡수물질을 인위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어서, 대량배양한 후 MAAs물질을 분리 및 정제하여 피부자극성이 없는 친환경적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산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 차단지수(PFA) 평가 (Evalu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Protection Factor of UVA (PFA) of the Sunscreen Containing Microalgal Extracts and MAAs)

  • 모상현;서승석;조문진;송미영;황진익;박미례;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12-3318
    • /
    • 2014
  • 천연물 유래 자외선차단제 개발을 위해 미세조류 추출물 및 mycosporine-like amino acids(MAAs)의 활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Chlamycomonas hedleyi 추출물과 추출물 분획물인 MAAs가 각각 7% 포함된 자외선차단크림을 제조하고 인체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외선차단지수(SPF) 및 자외선 A차단지수(PFA)를 평가하였다. Ch. hedleyi 추출물과 MAAs 함유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차단지수는 각각 9.07 및 9.42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A차단지수는 각각 2.43과 2.41로 측정되었다. 자외선 A차단지수가 모두 2 상으로 측정되어 두가지 자외선 차단크림의 자외선 A차단등급은 [PA+]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추출물 및 MAAs 함유 자외선차단제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지만, 무기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되면 만족할만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조류 유래 Porphyra-334의 UV 흡수능에 의한 피부세포 보호 효과 (Effect of sun screen utilizing Porphyra-334 derived from Ocean Algae for skin protection)

  • 조문진;정해수;송미영;서효현;아툴 쿨카르니;서승석;이택견;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272-4278
    • /
    • 2014
  • 광노화의 주요 요인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은 피부노화를 막는 중요한 해결책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자연친화적 친환경적인 다양한 형태의 소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세조류(Chlamydomonas hedleyi.)로부터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를 분리 정제 하여 인간 피부세포에서 UV protection 효과를 확인하였다. MAAs 중 porphyra-334를 분리하여 피부세포에서 UV protection 및 항염 효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 porphyra-334가 UV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여 cell viability가 약 26% 정도 증가하였고 COX-2 발현 40% 이상 저해함을 통해 항염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porphyra-334의 자외선 차단용 소재뿐 아니라 항염 관련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조류 유래 Shinorine의 피부세포에서의 효능 (Role of Shinorine derived from Microalgae in skin protection)

  • 정해수;조문진;서효현;아툴 쿨카르니;서승석;이택견;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16-4422
    • /
    • 2014
  • 오존층의 파괴와 증가하는 야외활동으로 인한 자외선의 노출을 최소화 하기위해 자외선 차단제는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천연식물과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천연물을 활용한 자외선차단제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미세조류(Chlamydomonas hedleyi.)로부터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를 분리 정제하고 그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세조류에서 분리 정제한 MAAs 중 shinorine을 분리하여 UV에 의한 피부세포의 손상을 막고, 염증과 관련 있는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는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shinorine이 피부세포가 UV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여 cell viability가 10% 증가하였고, 염증관련 단백질인 COX2이 발현이 41%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켜 주름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에 shinorine은 자외선 차단용 소재뿐 아니라 항노화 관련 제품의 소재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