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ve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cooking methods on the phytosterol content in nine selected vegetables

  • Shin, Jung-Ah;Park, Jong-Min;Lee, Ki-Teak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87-99
    • /
    • 2016
  • Phytosterol contents in nine vegetables such as paprika (red, yellow, and orange), kohlrabi, bamboo shoot, cherry tomato, cucumber, Chinese chive, and cor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Individual contents of ${\beta}$-sitosterol, campesterol, and stigmasterol in fresh and cooked vegetables (boiling, grilling, stir-frying, deep-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ing)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Total phytosterol content of paprika, cucumber, Chinese chive and cherry tomato ranged from 23.19 to 46.51 mg/kg (0.002-0.005%) of fresh weight of raw vegetables. Total phytosterol content variation (%) was obtained as follows: [(the content of phytosterol after cooking) - (the content of phytosterol before cooking)] / (the content of phytosterol before cooking) ${\times}100$. Total phytosterol content was found to be high in raw kohlrabi at 138.99 mg/kg fw (0.01%), in corn at 302.86 mg/kg fw (0.03%), and in bamboo shoot at 443.15 mg/kg fw (0.04 %). Total phytosterol content variation (%) in orange paprika ranged from 27.5 to 267.3 while that in cherry tomato ranged from -11.0 to 337.5. Generally, high content variation of total phytosterol was found in stir-fried and deep-fried vegetables. Therefore, higher phytosterol levels were obtained from cooked vegetables than raw vegetables. We suggest that these data will be useful to investigate cooking methods for increased intake of phytosterols.

두메부추의 화학적 조성 및 조직감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 Texture of Allium senescens)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0-64
    • /
    • 2001
  • 방향성 식용식물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두메부추 잎의 성분과 조직감을 분석하였다. 두메부추 잎의 당질 함량은 횐 부분 19.0g 및 녹색 부분에 14.4g로 나타나 부추의 3.7g보다 4배 이상 많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부추보다 매우 낮았고 열량은 부추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두메부추 잎의 총 아미노산은 횐 부분에 3,989.65$\mu\textrm{g}$/g, 녹색 부분에 503.80$\mu\textrm{g}$/g 함유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Proline, glutamine, valine, leucine 및 threonine이 두메부추 잎의 총아미노산의 주요 아미노산이었으며, 함황아미노산인 cysteine과 methionine이 확인되었다. 두메부추 잎의 횐 부분과 녹색부분에 함유된 칼륨등 10가지의 무기질은 일반적으로 녹색 부분에 그 함량이 많거나 두 부분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식품성분표의 부추에 함유된 무기질보다 Na와 Fe은 낮았으며, selenium도 미량 확인되었다. 두메부추 잎의 횐 부분에서는 $C_{10:0}$$C_{l2:0}$를 포함한 9가지 지방산이 확인되었으며 그 가운데 $C_{l8:2}$$C_{l6:0}$가 많았다. 두메부추 잎의 녹색 부분에는 횐 부분보다 $C_{20:5}$$C_{20:6}$의 함량이 높았으나, $C_{l8:2}$${\gamma}$- $C_{l8:2}$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직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Rheometer로 cutting test를 하여 추가 진입하는 distance를 비교하였는데, 부추의 녹색 부분의 distance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메부추 잎의 횐 부분과 녹색 부분은 같은 수준을 보였다. 부추 잎을 대조군으로 하여 두메부추의 맛을 관능검사 한 결과, 두메부추 잎의 녹색 부분의 색은 부추보다 약하였으며 독특한 향미와 뒷맛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조직감은 두메부추가 부추의 녹색 부분보다 더 부드럽게 평가되었다.

  • PDF

온실 내 재배 채소와 함께 발생한 버섯의 동정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Grown with Vegetables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 석순자;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12-217
    • /
    • 2013
  • 2012년 한국 내 4지역의 부추, 오이, 멜론, 민들레 재배 온실 내 묘상에서 이례적으로 버섯이 재배중인 채소와 함께 발생하였다. 저자들은 온실 내 발생한 버섯의 발생 양상과 발생 버섯이 채소 작물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온실 내 묘상으로부터 발생한 버섯 시료를 채집하고, 형태적인 특성에 의해 채집한 버섯을 동정하였다. 부여 지역의 멜론 재배 온실 내 발생 버섯은 Leucocoprinus cretaceus, Panaeolus fimicola, Conocybe sp.로 동정되었다. 충주 지역의 민들레 재배 온실 내 발생 버섯은 Conocybe rickenii f. tetrasporique로 동정되었다. 상주 지역의 오이 재배 온실 내 발생 버섯은 Cristinia eichleri와 Coprinus sp.로 동정되었다. 영덕 지역의 부추 재배 온실 내 발생 버섯은 Coprinus aokii로 동정되었다. 동정된 7종의 버섯 중에서 L. cretaceus, C. rickenii, C. eichleri는 한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조사 결과, 발생 버섯은 묘상에 사용된 퇴비 혹은 토양에서 비롯되었으며, C. aokii는 부추의 잎에 그을음 증상을 일으키고, C. rickenii f. tetrasporique는 민들레의 생육을 억제하며, 잎에 그을음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발생 버섯은 재배 채소작물의 생육과 품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메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59
    • /
    • 2001
  • 신선 및 동결 건조된 두메부추 잎을 연속수증기 증류추출 장치로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GC 및 GC-MS로 분석하여 신선한 시료에서 11종의 hydrocarbons 0.136ppm 9종의 aldehydes 0.278ppm, 4종의 alcohols 0.025ppm, 2종의 esters 2.328ppm, 7종의 acids 0.545ppm, 4종의 ketones 0.037ppm 및 9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117ppm의 총 46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동결 건조한 두메부추 잎에서는 8종의 hydrocarbons 1.357ppm 5종의 aldehydes 0.498ppm, 3종의 alcohols 0.094ppm, 5종의 esters 0.720ppm, 2종의 acids 0.069ppm 3종의 ketones 0.163ppm 및 4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039ppm을 포함하여 총 30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전자코의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값의 기여율이 0.987을 나타내어 제1주성분이 두메부추와 부추를 총괄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선한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이 0.5부근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고, 신선한 부추는 -0.5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신선한 두메부추와 신선한 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 건조된 시료의 경우,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 0을 중심으로 -쪽에 분포되어 있고, 부추는 +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동결 건조된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도 차이가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Practical Immobilizing Agents for Declining Heavy Metal (loid)s Accumulation by Agricultural Crop (Allium wakegi Araki)

  • Seo, Byoung-Hwan;Kim, Hyun-Uk;Lwin, Chaw Su;Kim, Hyuck Soo;Kim, Kwon-R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26-234
    • /
    • 2017
  • In order to reduce the accumulation of toxic metals (As, Cd and Pb) in the chives, various immobilizing agents such as a soil pH change-inducing immobilizing agent (lime), sorption agent (compost, spent mushroom compost), soil pH change and sorption agent (biochar)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agulator (gypsum) and uncontaminated soil were applied to the contaminated soils in isolation and in combination. Then chives were grown and determined for As, Cd and Pb concentrations accumulated in the edible part at harvest. The Cd and Pb concentrations of the chive plant grown in the contaminated soil (no treatment) exceeded the legislated Korean guideline values (Cd: $0.05mg\;kg^{-1}$, Pb $0.1mg\;kg^{-1}$) and As concentration ($21mg\;kg^{-1}$) was 1,000 times higher than chives plant grown in uncontaminated environment in Korea. Application of lime and gypsum significantly reduced As, Cd and Pb concentrations in all chives examined, due to the increased soil pH and decreased soil DOC. Also, application of combination treatments involving DOC coagulator such as gypsum together with lime decreased As, Cd and Pb concentrations from 21, 1.3 and $9.7mg\;kg^{-1}$ to 2.1, 0.1 and $1.1mg\;kg^{-1}$,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concluded that pH change-inducing immobilizing agent (lime) which was already well known and DOC coagulator such as gypsum could be used as a promising immobilizing agent for safer chives plant production.

인공광 식물공장내 광질 제어가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Quality Control on the Plant Growth in a Plant Factory System of Artificial Light Type)

  • 허정욱;백정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0-278
    • /
    • 2021
  • BACKGROUND: Horticultural plant growth under field and/or greenhouse conditions is affected by the climate changes (e.g., temperature, humidity, and rainfall). Therefore investigation of hydroponics on field horticultural crops is necessary for year-round production of the plants regardless of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under plant factory system with artificial light sources. METHODS AND RESULTS: Common sage (Salvia plebeia), nasturtium (Tropaeolum majus), and hooker chive (Allium hookeri) plants were hydroponically culturing in the plant factory with blue-red-white LEDs (Light-Emitting Diodes) and fluorescent lights (FLs). Leaf numbers of common sage under mixture LED and FL treatments were 134% and 98% greater,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greenhouse condition. In hooker chives, unfolded leaf numbers were 35% greater under the artificial lights and leaf elongation was inhibited by the conventional sunlight compared to the artificial light treatments. Absorption pattern of NO3-N composition in hydroponic solution was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light qualities. CONCLUSION(S): Plant factory system with different light qualities could be applied for fresh-leaf production of common sage, nasturtium, and hooker chive plants culturing under field and/or greenhouse. Controlled light qualities in the system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hydroponic growth of the plants comparing to conventional greenhouse condition in present.

남부지방 부추와 재배환경의 식품매개병원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Garlic Chives and Its Production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정지은;오광교;서승미;양수인;정규석;노은정;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77-488
    • /
    • 2020
  • 본 연구는 남부 3지역에서 시설재배 3농가 총 9농가를 선정하여 2019년과 2020년도 재배 중인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 퇴비,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 토양, 퇴비, 농업용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B. cereus, S. aureus를 조사하였다. 2019년 채취해 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6.15-8.82 log CFU/g, 대장균군은 2.75-4.88 log CFU/g, 21.58-37.95 MPN/100 mL, B. cereus는 1.79-5.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6.41-8.44 log CFU/g, 대장균군은 1.57-2.82 log CFU/g, B. cereus는 2.48-6.00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6.42-7.74 log CFU/g, 대장균군은 2.39-5.73 log CFU/g, 14.45-2419.6 MPN/100 mL, B. cereus는 1.48-5.5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III농가 토양에서 대장균이 1.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2020년 채취해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2.83-8.20 log CFU/g, 대장균군은 0.28-4.03 log CFU/g, B. cereus는 0.41-5.30 log CFU/g, S. aureus는 0.40-4.85 log CFU/g이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0.84-7.25 log CFU/g, 대장균군은 3.13-3.56 log CFU/g, B. cereus는 1.69-2.82 log CFU/g, S. aureus는 2.44-3.78 log CFU/g이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2.04-8.83 log CFU/g, 대장균군은 0.43-4.04 log CFU/g, B. cereus는 0.70-4.93 log CFU/g, S. aureus는 1.81-6.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부추는 토양과 퇴비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 오염된 토양과 퇴비로의 오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B. cereus가 오염될 수 있다. β-hemolysis 활성을 지니는 B. cereus가 부추와 재배환경시료로부터 분리되었기에 B. cereus의 오염 예방이 중요하다. 반면에 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은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와 S. aureus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과 퇴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멀칭 재배와 농업용수의 관리, 사용 후 퇴비 관리 등 재배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물과 재배환경의 모니터링 연구와 작업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평판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휘도 개선을 위한 불규칙 어드레싱 구동방식 (Irregular Addressing Scheme for Luminance Improvement of Flat Panel Plasma Display)

  • 손일헌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7호
    • /
    • pp.1943-195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평판 플라즈마 표시장치(PDP)의 휘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불규칙 어드레싱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종래의 계조 조정 방식에서 주사 전극의 선택이 한 가지 순열조합에 의해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에 반하여 불규칙 어드레싱에서는 화소의 발광시간을 90%이상으로 늘릴 수 있도록 비순차적으로 주사 전극을 선택한다. 이 방식은 PDP의 물리적 구조에 무관하며 구동 전압이나 전류 등을 바꾸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 PDF

ER유체를 작동유체로 하는 클러치의 제작 및 성능 실험 (Design and Performance Test of the ER Fluid Clutch)

  • 장성철;박창수;이종두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4-89
    • /
    • 2004
  • This study is a basic one for application of ER Fluid to fluid power systems. By mixing silicone oil with zeolite particles, four kinds of ER fluids were made, in which the weight ratio of zeolite particles are different. We examined how the Yield shear stress and Bingham characteristics of the ER fluids are effected by varying electric field intensity. We designed and constructed a disk type power transmission clutch in which ER fluid fills and this ER fluid transmits the power of drive shaft to the driven shaft. With this equipment, the revolution transmission ratio from the chive shaft to the driven shaft by varying electric field density of the ER fluid was exam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