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sesame oil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참깨 종류에 따른 참기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s by Kinds of Sesame)

  • 신승렬;김경태;송준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87-293
    • /
    • 199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viscosity, color, chemical properties, and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for examin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s. Yield of sesame oil was higher in Ansan sesame than that of Chinese and Dambaek sesame. Viscosity of sesame oils was higher than that of shame oils from Dambaek and Chinese sesame, but turbidity and sedimentation rate were higher in Dambaek's sesame oil than those of Ansan's and Chinese sesame oils. In the acid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iodine value of sesame oil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Dambaek's sesame oil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neutral, glycolipid and phosholipid contents of sesame oils were 91.1∼92.1, 2.5∼3.5 and 5.5∼6.4%,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of sesame oils were oleic, linoleic palmitic and stearic acid. The content of oleic acid was higher in Dambaek's and Ansan's sesame oil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an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was higher in Chinese sesame oil than the other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ere similar to those of total lipid.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in Korean sesame oils than those in Chinese sesame oil. The mineral(Mg, Cu, Fe, In, Al, Mn) content of Korean sesame oils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and heavy metals(Cu, Ag, Pb, Cd, As) were not detected.

  • PDF

국산 참깨와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풍미 비교 (Comparison of flavor in Sesame Oil Prepared with Korean and Chinese sesame)

  • 오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3-150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flavor of sesame oils prepared with Korean and Chinese sesa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sesamin and tocopherol content of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The color of Korean sesame oil was darker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It seemed that of Chinese sesame oil by analysis of aroma characteristic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cceptability of Korean sesame oil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in ordor test,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cceptability of Korean sesame oil that of Chinese sesame oil in seasoned cucumber test.

  • PDF

한국산 참깨기름과 중국산 참깨기름의 토코페롤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Tocopherols on Korean Sesame oil and chinese Sesame oil)

  • 신묘란;주광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1-57
    • /
    • 1994
  • Six sesame oils prepared from Korean and Chinese sesame were oxidized at 40$^{\circ}C$ for 16 weeks in a dark place. Effects of oxidative stability on tocopherols of those sesame oils were studied in related to chemical changes in the oils. All oil samples showed that the rate of tocopherol reduction was increased by the storage time. The changes of peroxide value, free fatty acid, carbonyl content were not caused in direct relation to the tocopherols oxidation. The amount of total tocopherol in the Korean sesame oil ranged from 48.7-50.3mg/100g and Chinese seseame oil ranged from 42.4-44.7 mg/100g According to the three individual tocopherols remaining content after 16weeks, ${\gamma}$-,${\alpha}$-,${\beta}$- tocopherol showed 70%, 30%, 20% of initial concentrations in the oil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 except the higher total amount of the tocopherol in Korean sesame oil than that of Chinese.

국내산 및 중국산 참기름과 변조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and Adulterated Sesame Oils with Commercial Edible Oils)

  • 강치희;박재갑;박정웅;전상수;이승철;하정욱;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0
    • /
    • 2002
  • 경남 도내에서 유통 중인 국내산 참기름과 중국산 참기름 각각 30건과 콩기름 및 옥수수기름 등의 식용유지를 첨가하여 변조한 참기를 12건에 대한 지방산 함량을 GC에 의한 정량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국내산 참기름의 주요 지방산 평균 함량은 palmitic acid 8.26$\pm$0.04%, stearic acid 4.57$\pm$0.05%, oleic acid 39.25$\pm$0.05%, linoleic acid 46.82$\pm$0.07, linolenic acid 0.52$\pm$0.02%, arachidic acid 0.58$\pm$0.03%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산 참기름은 palmitic acid 9.24$\pm$0.03%, stearic acid 5.11$\pm$0.04%, oleic acid 38.65$\pm$0.04%, linoleic acid 46.02$\pm$0.06%, linolenic acid 0.42$\pm$0.04%, arachidic acid 0.56%$\pm$0.04%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국내산 참기름은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중국산 참기름보다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nic acid는 반대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국내산 참기름에 콩기름을 0%, 3%, 9%씩 첨가했을 때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각각 0.52$\pm$0.02%, 0.73$\pm$0.05%, 1.25$\pm$0.04%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옥수수기름을 0%, 5%, 9%씩 첨가했을 때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각각 46.82$\pm$0.07%, 50.22$\pm$0.06%, 51.14$\pm$0.05%로 증가됨이 확인되었다. 참기름의 산지별 확인과 식용유지를 첨가한 변조참기름에 대해서는 각각의 지방산 함량에서 특이성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지역에서 구입한 국내산과 중국산 참기름에서 유사한 결과치를 보여 앞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참깨나 참기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의 향기성분 비교 및 전자코 장치를 이용한 Odor 판별 분석 (The Odor Discriminents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Flavor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 권영주;이재곤;등개야;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0-205
    • /
    • 1999
  • 한국산 참깨와 중국산 참깨를 구별해낼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실험방법을 모색하고자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고, 또한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판별이 가능한지를 MANOVA 분석, 판별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기름의 향기성분 분석 결과 한국품종 한국산은 41개 성분을 확인하였고, 중국품종 중국산은 39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주성분은 참깨의 고소한 향에 기여하는 pyrazine류로서 한국품종 한국산은 55.4%, 중국품종 중국산은 56.8%를 차지하였고, 달콤한 향에 기여하는 furan류는 한국품종 한국산은 27.0%, 중국품종 중국산은 20.4%로 나타났으며 기타 향기성분 조성면에서도 큰 차이는 없었다. 재배지를 교환시도 향기성분 조성면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참깨 및 중국산 참깨로 제조한 참기름의 냄새 차이 판별여부를 SAS 통계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 품종간, 재배지간 뚜렷한 냄새 차이를 보였으며 전자코 장치를 이용하여 한국산 및 중국산 참기름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중 참기름에 혼입된 이종기름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the Adulteration of Sesame Oils Sold in Markets by Gas Chromatography)

  • 유영찬;박유신;정희선;정진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6
    • /
    • 1992
  • 근래 외국에서 참기름이 들어오고 있어 산지에 따른 성분조성을 밝히고자 sterolfb와 지방산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수입되고 있는 참깨에서 얻은 참기름과 우리 나라 산의 참기름의 성분조성을 비교할 때 유사하여, sterol 류중 campesterol은 1.00~1.29 mg/g이었으며, ${\beta}-sitosterol$의 camp.에 대한 비율은 2.39~2.99%이고, sesamin의 camp.에 대한 비율은 3032~5.46이었으며, 지방산은 palmitic acid 8.37~10.09%, stearic acid 4.61~5.50%, oleic acid 35.24~39.97%, linoleic acid 43.04~49.76%, linolenic acid 0.21~0.31% 그리고 arachidic acid 0.40~0.69% 이었다. 그러나 일부 일본제 상품에서 sesamin이 아주 적게 함유되어 있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oleic acid와 stearic acid가 적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콩기름을 함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품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이 동일 상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법으로 제조된 상품으로 사료되었다.

  • PDF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로부터 착유한 참기름의 주요성분 비교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s of Sesame Oil Extracted from Korean and Chinese Sesames)

  • 서정희;김제란;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5-220
    • /
    • 1996
  • Korean and Chinese sesames were subjected to microscopic observation and instrumental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samolin/sesamin ratio to obtain basic data for discriminating each other. The overall appearance of both samples was differently observed by stereo microscope (X8). Fatty acid composition of sesame oils, extracted from both samples with different roasting degrees, showed a similar pattern although Chinese samples cointained about 6% higher content of stearic acid and 47% lower content of linolenic acid then Korean ones. The sesamolin/sesamin ratio was remarkably lower(.039) in Chinese samples than Korean (0.67∼0.72). showing a variation depending on producing districts. Roasting degrees of raw sesames little influenced their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sesamolin/sesamin ratio.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arison between domestic and Chinese sesames in view of their stear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and sesamolin/sesamin ratio might be one of the potential criteria in discriminating their production origins.

  • PDF

참기름의 옥배유 혼합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Mixed with Corn Oil)

  • 서정희;정윤희;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28
    • /
    • 1998
  • 참기름의 이종기름 함유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산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한 시료와 중국산 참기름에 대하여 지방산, sesamolin 및 sesamin 함량 , AOM에 의한 유도기간을 각각 조사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할 경우, stearic acid는 옥배유를 20% 이상 혼입한 참기름에서 국내산 참기름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에서는 10%의 혼입시에도 미양하나마 함량의 차이를 보였다.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할 경우 stearic/linoleic 비율은 옥배유의 혼입된 함량과 비례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에 이종기름으로 옥배유를 30% 혼합시에는 sesamolin이 18.3%, sesamin이 21.1% 감소하였다. AOM에 의한 유도 기간은 중국산, 옥배유 20% 혼입 참기름 , 40% 혼입 참기름에서 8.14~9.24 시간 범위였고, 국내산 참기름은 약 16시간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이종기름의 혼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는 참깨유의 stearic/linoleic 비율, sesamolin 과 sesamin의 함량 및 AOM에 의한 유도기간 측정 등이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의 화학성분 비교 (The Comparison of Chemical Compounds in Korean and Chinese Sesame Seeds")

  • 권영주;이정일;등개야;성창근;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4-199
    • /
    • 1999
  • 한국품종 및 중국품종 참깨를 한국 조치원 및 중국 길림성에서 각각 재배, 수확한 참깨 및 이를 볶아 제조한 참기름을 시료로 하여 화학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참기름의 수율은 한국품종 한국산이 47.8%, 중국품종 중국산이 48.1%, 재배지 교환시는 한국품종 중국산이 48.6%, 중국품종 한국산이 49.3%로 나타났다. 참기름의 색도는 한국품종 한국산이 L값이 다소 낮아 참기름 고유의 암갈색을 띠었다. 참기름의 지방질 조성은 한국품종 한국산은 중성, 당, 인지질의 조성비가 93.1%, 6.6%, 0.2%였고, 중국품종 중국산은 94.7%, 4.6%, 0.8%로 조성면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며, 재배지를 교환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은 모두 7개의 지방산을 확인하였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한국품종 한국산이 84.6%, 중국품종 중국산이 84.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조성면에서는 oleic acid 및 linoleic acid가 한국품종 한국산은 47.1%, 37.5%인데 비해 중국품종 중국산은 40.5%, 44.3%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참깨의 아미노산 함량은 생시료의 경우 한국품종 한국산이 713mg%로서 중국품종 중국산 238mg%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필수 아미노산 함량 또한 한국품종 한국산이 309mg%로서 중국품종 중국산 99mg%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재배지를 교환시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품종 중국산은 한국 재배시보다 44% 정도 감소하였고 중국품종 한국산은 중국재배시 보다 63% 정도 증가하였으며, 시료를 볶음처리했을 경우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산 및 중국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 PDF

한국(韓國), 일본(日本), 중국(中國) 삼개국(三個國) 참기름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및 궁능적(宮能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s Manufactured in Korea, Japan and China)

  • 김현위;이민정;김기홍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4년도 참깨과학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07-129
    • /
    • 2004
  • 참기름은 특유의 풍미와 건강 기능적 특성으로 한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휘발성 향기성분과 항산화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져 왔다. 이에 한국, 일본, 중국 참기름의 품질특성과 기호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 한국, 일본, 중국 참기름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 휘발성 향기성분, 항산화성, 이들간의 상관성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올레산, 리놀산이 거의 80%이상이고, P/S 비는 4.99${\sim}$5.73 이었으며, 토코페롤은 ${\gamma}$체가 대부분으로 23.14${\sim}$34.85 mg/100g 범위이었다. 리그난 함량에 있어서는 세사민(322.91${\sim}$689.39ppm), 세사몰린(62.19${\sim}$289.82ppm)이 대부분이었고, 세사몰은 8.52${\sim}$51.21ppm 로 제조국간의차이가 뚜렷하여 한국>중국>일본의 순으로 많았다. 산화안정성의 지표가 되는 유도기간은 한국>중국>일본 순이었고, Lovibond 색가에서는 제품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한국${\geq}$중국>일본제품의 순서로 red 값과 yellow 값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향기성분의 주요 구성은 pyrazines>phenols>aldehydes> furans 이었고, 이외에 pyrroles, thiazoles, indoles 을 소량 포함하고 있었다. 향기성분 총량은 한국>중국>일본 제품의 순서로 많았고, 한국제품에 pyrazines 이 총향기성분 함량의 35%으로 월등히 많았으며, 중국 참기름의 경우는 phenols이 많았다. good flavor(pyrazines, pyroles, thiazoles, furans)/off flavor(phenols, aldehydes, Indoles)은 대체로 한국>일본${\fallingdotseq}$중국이었다. 또한, Pyrazines, sesamol, b 값(yellowness), 유도기간 간에는 양의 상관이 있음을 알았다. 한국, 일본, 중국 참기름에 대한 기호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한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한국참기름>일본참기름>중국참기름의 순서로 일본인들은 전체적인 맛에서는 한국인들과 비슷한 기호성을 보였으나, 고소한 향의 기호도에서는 한국참기름과 일본참기름을 동일하게 평가한 반면, 중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뚜렷하게 일본참기름을 우수하게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