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milk-vetch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논에서 적응 우수 Crimson Clover 품종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Crimson Clover Cultivar in Paddy Field)

  • 김원호;서성;임영철;최기준;김기용;이종경;윤봉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1-154
    • /
    • 2007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crimson clover를 나주지역에서 재배시 월동성과 수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0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4 품종중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말랐으며 Linkarus 품종이 5월 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 함량은 24.3%로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9%를 나타내었으며 Oregon com.이 18.3%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38.1, 48.3 그리고 58.9%이었다. Crimson clover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Linkarus 품종의 건물 수량이 6,986\;kg/ha로 가장 높았으며 Tibbee 및 Oregon com. 품종은 각각 3,639 및 1,980 kg/ha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용 Crimson clover 품종은 Linkar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잡곡-피복작물 작부체계에서 잡초 발생과 작물 생장 (Effects of Winter Cover Crop-Minor Cereal Cropping System on Weed Occurrences and Crop Growth)

  • 강명훈;전승호;이세훈;윤성탁;황재복;김석현;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3-251
    • /
    • 2010
  • 피복작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효과와 녹비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피복작물-잡곡 작부체계를 알아보기 위한 호밀과 자운영을 이용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복작물의 잡초 방제효과는 잡초의 발아억제와 생육저해로 잡곡 초기생장에 있어 잡초발생시기를 늦추었다. 그러나 잡초 방제기간이 자운영은 30일 내외, 호밀은 40일 내외로 자운영보다 호밀의 잡초방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구와 자운영 피복구는 잡곡의 출수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호밀의 피복구에서는 7일 정도 지연되었다. 피복작물에 대한 기장의 초장은 30%, 건물중은 70% 이상의 피해를 받았고, 조의 초장은 25%, 건물중은 60% 이상의 피해를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 기장, 수수 모두 많은 회복을 보였으며, 특히 수수에서는 초장은 거의 회복되었으며, 건물중도 56% 까지 회복하였다.

답토양(畓土壤)의 유기물(有機物) 시용효과(施用效果) (The Effect of Agricultural Wastes on Rice Plant Growth)

  • 이상규;박준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56-67
    • /
    • 1984
  • As in many other country, the use of organic matter in Korea has long history. Farmers understand the value of organic matter as the source of plant nutrient and soil improving agent in general. Since 50 years ago,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 in paddy soils were compost, rice and barly straw, green manure, animal waste, fish and beancake, etc.. Application of green manures such as vetch and chinese milk vetch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yield of brown rice in paddy soil.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compost and rice straw showed more significant on the yield of brown rice in paddy soil. Application of rice straw in rice cultivation is commonly made at different times between harvest, early spring and several weeks before transplanting. Considering the suitable paddy soil for application of rice straw under well to moderately well drained soil, the yield was pronounced more than poorly drained soil. Based on laboratory and field experimants, application of rice straw promoted the decrease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in well to moderately well drained soil. This results to be enhanced the release of some mineral nutrients,. such as potassium, calcium, silicon, and increase of availability of soil phosphorus. In the field experiments, results obtained from nitrogen fraction on the immobilization-mineralization of the tracer nitrogen applied in paddy soil,the amount and index of organic nitrogen incoporated in soil was more pronounced in rice straw application than control. Rice straw and its transformation products incoporated in the soil, provided the inflow of energy necessary to maintain heterotrophic microbes activities. Rice straw and its transformation products, especially soluble carbohydrate, enhanced the population of free-living heterotrophic $N_2$ - fixing microbes. Moreover, rice straw and its transformation products in paddy soil, enhanced the activities of soil enzymes such as dehydrogenase and urease.

  • PDF

Mercury Contents of Medicinal Plants and the Cultivated Soils in Korea

  • Kim, Won-Il;Go, Woo-Ri;Hong, Chang-Oh;Kim, Kwon-R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06-5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mercury in several selected medicinal plants and to find the appropriate management for production of safety food. Cultivated soils and medicinal plants were collected at 29 sites for Angelica gigas (Korean angelica root), 68 sites for Platycodon grandiflorum (Balloon flower), 35 sites for codonopsis lanceolata (Deoduck), 36 sites for Dioscorea batatas (Chinese yam), 32 sites for Rehmannia glutinosa (Foxglove), 16 sites for Cnidium officinale makino (cnidium), and 26 sites for Astragalus membranaceus (milk vetch root) during the harvest season of 2013. Mercury in the soils and medicinal roots were analyzed with a Direct Mercury Analyzer. Average content of mercury in soils cultivated medicinal plants was $0.023mg\;kg^{-1}$ (range: from 0.003 to $0.074mg\;kg^{-1}$) and average content of mercury in medicinal plants was $0.003mg\;kg^{-1}$ (range: from 0.001 to $0.011mg\;kg^{-1}$), indicating that mercury in the surveyed soils and medicinal plants were not exceeded the Korean regulation.

중부지역 답리작에서 두과 및 화본과 녹비작물의 재배방법에 따른 biomass, 질소 함량이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mass and N Production by Cultivation Methods of Leguminous and Gramineae Green Manures on Rice Growth in Central Regions of Korea)

  • 전원태;성기영;김민태;오인석;최봉수;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53-858
    • /
    • 2011
  • 중부지역에서 파종방법에 따른 녹비작물들의 biomass, 질소 생산성 및 벼 이용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벼 연구포장 (신흥통)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녹비작물 파종은 벼 수확전 입모중 파종과 벼 수확 후 부분경운 파종으로 구분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녹비작물은 두과는 헤어리베치, 자운영, 크림손클로버 3종과 보리, 호밀, 귀리, 들묵새 화본과 4종을 재배하였다. 입모중 파종은 두과는 수확 2주전, 화본과 는 1주일 전에 파종하였다. 벼 수확 후 부분경운 파종은 두과와 화본과 모두 벼 수확 익일에 파종하였다. 10a 당 파종량은 입모중 및 부분경운파종 모두 헤어리베치는 9kg, 자운영과 크림손클로버는 3kg를 파종하였고 볏과는 보리, 호밀, 귀리는 15kg, 들묵새는 3kg을 파종하였다. 녹비작물들의 환원은 2008년 5월 15일에 트랙터로 로터리 경운을 하였다. 벼 품종은 풍미벼로 2008년 6월 5일에 중묘기계 이앙하였다. 두과 녹비작물 중에서는 헤어리베치의 생초중이 10a 당 2,418~2,826 kg, 건물중이 507~692 kg으로 가장 높았고 입모중보다 부분경운파종이 좋았다. 화본과 녹비작물 중에서는 호밀의 생초중이 10a 당 1,187~1,296 kg, 건물중 562 kg으로 가장 높았고 파종방법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두 파종 방법 모두에서 둑새풀인 잡초의 발생은 가장 적었다. 호밀과 헤어리베치를 제외하고는 biomass가 적었고 잡초인 둑새풀의 발생이 많았다. C/N율은 헤어리베치가 14.1로 낮았고 호밀이 56.5~74.2로 높았고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녹비작물 환원 후 벼 재배 중 토양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이앙 후 14일과 42일 모두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관행시비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쌀 수량도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관행시비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어서 중부지역에 답리작에서 적합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가 가장 우수하였고 그 효과는 부분경운 파종이 입모중 파종보다 높았다. 호밀은 생육이 빠르고 biomass은 약간 많으나 C/N율이 높아서 쌀수량이 낮았다. 그 외 두과인 크림손클로버, 자운영과 화본과인 보리, 들묵새는 biomass 및 N 생산성이 적어서 중부지역에서 벼 재배 시 화학비료를 대체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토양속에서 자운영 종자의 휴면성 및 종자활력 변화 (Change of Seed Dormancy and Viability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in Rice Field)

  • 김상열;황운하;이종희;오성환;조준현;한상익;정국현;박성태;최경진;김정일;이지윤;송유천;여운상;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6-82
    • /
    • 2010
  • 자운영 지속재배시 토양에 매몰된 종자의 휴면 및 발아특성을 조사하여 토양속 종자 동태를 구명하기 위해 자운영종자와 꼬투리의 토양매몰 깊이 및 기간별 휴면성과 종자활력 변화를 조사하고 또한 자운영 지속재배 포장에서 낙수후 자운영 종자의 토양속 분포 개수, 발아율 및 종자활력기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종자 회수율은 종자 매몰 한달후부터 활력이 잃기 시작하여 낙수전 9월까지 52~65%, 낙수후 10월에는 급격히 떨어져 종자와 꼬투리 모두 30% 이하를 나타내었고, 꼬투리 매몰의 경우는 낙수전 9월까지 활력소실이 되지 않고 100%를 보였다. 2. 자운영 종자의 휴면은 수확당시는 95%로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파괴되어 9월에는 휴면율(경실율)이 종자는 12~22%, 꼬투리는 31~33%로 급격히 낮아졌고, 낙수후 10월에는 경실율이 종자는 2~8%, 꼬투리는 5~12%로 보다 더 낮아졌다. 3. 발아율은 토양 매몰전 종자는 4%로 낮았으나 토양에 120일간 매몰후 종자 및 꼬투리속 종자 발아율은 휴면이 타파되어 각각 21%~31%, 49~51%로 증가하였다. 4. 자운영 지속포장에서 9월 낙수후 토양속 잔존 자운영 종자는 로터리 부분경운이앙은 경운이앙보다 2.3~2.6배가 많았고, 자운영 종자분포 깊이는 로터리 경운은 0~15 cm 깊이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부분경운 이앙은 대부분의 종자가 5cm 이하 깊이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자운영 종자의 출아기간을 기준으로 한 토양 속에서 활력유지기간은 매몰 후 2년정도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녹비 시용이 초기 논 토양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Applications of Green Manures in Paddy at an Early Rice-Growing Stage)

  • 김은석;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1-227
    • /
    • 2011
  • 논 토양에서 청보리, 자운영과 트리티케일을 시용하고 벼생육초기에 토양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녹비를 시용한 처리구는 관행에 비해 토양 유기물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토양의 나트륨 함량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내생균근균의 함량과 구성비율은 녹비 시용으로 관행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특히 청보리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또한 토양의 그람음성 세균과 그람양성 세균의 비율과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함량의 비율은 청보리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주성분 분석에서 PC 1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미생물 군집은 그람음성 세균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보리 처리구는 관행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청보리는 논 토양의 초기 미생물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최적의 녹비작물로 판단된다.

무경운 피복작물 작부체계에서 논물의 미소동물 평가 (Evaluation of Aquatic Animals on the Water in a Rice Field with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 이영한;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1-374
    • /
    • 2011
  • 벼 유기농업을 실천하기 위하여 무경운 논에서 피복작물로 자운영, 볏짚, 헤어리베치, 유채 및 호밀 등을 처리하고 논물의 미소동물 개체수의 변화를 검토코자 수행하였다. 이앙전 5월 30일 논물의 미소동물 개체수는 무경운 헤어리 배치 처리구가 관행, 무경운 자운영 처리, 무경운 유채 처리, 무경운 호밀 처리 및 무경운 녹비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이앙후 6월 20일 논물의 물벼룩과 모기유충 개체수는 관행이 무경운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관행은 무경운 처리구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무경운 처리에서는 무경운 자운영 처리와 무경운 헤어리베치 처리가 무경운 녹비 무처리, 무경운 유채 처리 및 무경운 호밀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무경운 논에서 유기물 투입이 논물의 미소동물 개체수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분해가 느린 호밀과 유채 보다 분해가 빠른 두과작물이 미소동물 개체수 증가에 유리하였고 벼 유기농업의 지표로 물벼룩의 개체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경운 답에서 토양 물리성과 미생물 생체량 탄소 함량에 미치는 녹비작물 시용효과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and Green Manuring on Selected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Biomass Carbon in No-Till Paddy Field)

  • 이영한;안병구;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5-112
    • /
    • 2010
  • 벼 유기농업은 한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유기재배에서 벼 생육은 토양 물리적 특성과 토양 미생물의 기능에 크게 의존한다. 본 연구는 무경운 답에서 유기농업을 위하여 토양 물리성과 미생물 생체량에 미치는 녹비작물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구는 무경운, 무경운+볏짚, 무경운+호밀, 무경운+자운영 그리고 경운구를 3반복으로 죽곡통에서 2005년 5월에서 2006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경운구는 2005년과 2006년 모두 토양 가밀도가 가장 높은 반면 공극률은 가장 낮았다. 무경운+호밀 처리구는 공극률이 가장 높았으며 무경운 처리구의 표토 관입저항은 경운구 보다 낮았다. 담수 전 2005년과 2006년 토양 미생물 생체량 탄소 함량은 무경운+자운영 처리구가 477 mg $kg^{-1}$ 및485 mg $kg^{-1}$으로 가장 높았고 무경운+호밀 처리구는 413 mg $kg^{-1}$ 및 484 mg $kg^{-1}$였으며 경운 처리구는 363 mg $kg^{-1}$ 및 445 mg $kg^{-1}$을 나타냈다. 시기적으로 토양 미생물 생체량 탄소 함량은 유수형성기에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연구결과 녹비작물을 시용한 무경운 재배기술은 경운에 비해 토양 공극률과 토양 미생물 생체량 탄소 함량을 크게 개선하였다.

무경운 피복작물 작부체계가 벼 뿌리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on Rice Root Growth)

  • 손다니엘;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5-379
    • /
    • 2011
  • 무경운 논에서 피복작물로 자운영, 볏짚, 헤어리베치, 유채, 호밀 등을 처리하고 토양 깊이별 벼 뿌리의 생육상황과 활성 유기물 함량을 조사하였다. 벼 생육초기 주당 발근량은 무경운 유채 처리구가 256 cm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무경운 자운영 처리구는 214 cm, 관행은 176 cm, 무경운 헤어리베치 처리구는 139 cm, 무경운 호밀 처리구는 106 cm, 무경운 녹비무처리는 104 cm, 무경운 볏짚 처리구는 99 cm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 깊이 0-5 cm에서 무경운 볏짚 처리구에서 $128g\;m^{-2}$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무경운 자운영 처리구도 $83.5g\;m^{-2}$로 무경운 볏짚 처리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무경운 헤어리베치 처리는 $53.0g\;m^{-2}$으로 가장 낮았다. 토양 깊이별 활성 유기물 함량은 0-5 cm 에서 무경운 자운영 처리구가 $1,684g\;m^{-2}$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경운 유채 처리구 $1,309g\;m^{-2}$, 무경운 볏짚 처리구 $1,295g\;m^{-2}$, 무경운 호밀 처리구 $1,072g\;m^{-2}$, 무경운 헤어 리베치 처리구 $917g\;m^{-2}$ 순이었고 관행은 $434g\;m^{-2}$, 무경운 녹비 무처리구는 $426g\;m^{-2}$으로 매우 낮은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무경운 피복작물 작부체계에서 볏짚 처리구와 자운영 처리구는 벼 뿌리 생육과 활성 유기물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