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gall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배추무사마귀병 뿌리혹의 형성에 미치는 온도, 토양수분, 토양 pH, 광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Soil Moisture, Soil pH and Light on Root Gall Development of Chinese Cabbage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김충회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2호
    • /
    • pp.84-89
    • /
    • 1999
  • Development of root galls of clubroot disease on Chinese cabbage seedlings was first observed 17days after inoculation of Plasmodiophora brassicae at $25^{\circ}C$ 4-11days earlier than at 5, 20, 3$0^{\circ}C$ and 35$^{\circ}C$. Subsequent enlargement of root galls was also fastest at $25^{\circ}C$ and 2$0^{\circ}C$ but delayed at 15$^{\circ}C$ and 3$0^{\circ}C$ or above. Chinese cabbage seedlings with root gall formation showed reduction in number of leaves above ground fresh weight and amount of root hairs but increase in root weight, Root galls development was highest at soil moisture level of 80% of maximum soil moisture capacity than at 60% and 100%. Optimum soil pH for root gall development was pH 6 although root galls were formed at a range of pH 5 to 8. Period of light illumination also affected root gall development with the greatest gall development at 12hr/12hr in light/dark period and the least at 8hr/16hr. Site of root gall formation and gall shape did not differ greatly among treatments of temperature soil moisture pH and light experiments.

  • PDF

배추무사마병의 뿌리혹 형성에 미치는 묘령, 접종원 농도 및 접종방법의 영향 (Effects of Plant Age Inoculum Concentration and Inoculation Method on Root Gall Development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nmodiophora brassicae)

  • 김충회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2호
    • /
    • pp.90-94
    • /
    • 1999
  • Effect of inoculum concentration inoculation method and plant age on development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seedling were examined in growth chambers. Root galls were developed at the concentration of 105 resting spore or above per ml of incoulum and as the inoculum concentration became higher rate of development of root galls was faster. In the plants with root gall development fresh weight of above ground parts was reduced to 30-44% of that of healthy plants but root weight increased by 4-10 times. Growth of diseased plants wa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to healthy plants. Planting in the diseased soil as a inoculation method was most effective for disease development showing uniform infections but time of initial root gall development was delayed by root soaking inoculation. Some plants inoculated by soil drenching method did not develop root galls. However root gall enlargement after its initial formation did not differ greatly among inoculation methods. Nine-day-old seedlings showed poor development of root gall but 16-days-old seedlings was found to be most adequate for inoculation for gall development.

  • PDF

배추무사마귀병 발생실태와 뿌리혹의 생성생태 (Survey of Field Conditions of Clubroot Disease Incidence of Chinese Cabbage in Major Production Areas and Ecology of Root Gall Development)

  • 김충회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2호
    • /
    • pp.77-83
    • /
    • 1999
  • In 1997 surveys 82 out of 180 crucifer fields were infected with clubroot disease in a range of 1-100% of diseased plants and among crucifier crops Chinese cabbage was the most severe, In cropping systems Chinese cabbage-monocropping of Chinese cabbage-radish were found to be most common in major Chinese cabbage production areas. Welsh onion squash or paddy rice were also planted between cropping of Chinese cabbage. Paddy fields converted to upland were lowered in incidence of clubroot disease and fields with loam to silty loam soil were more severe in disease than those with sandy soil. Soil pH and organic contents were nor related to clubroot disease severity. Soil fauua such as total fungi bacteria actinomyces Pseudomonads and Bascillus were not correlated with severity of the disease. Root rall development on Chinese cabbage seedlings was initifially observed under a microscope 13 days after inoculation with Plasmodiophora brassicae but 18 days by naked eyes after inoculation. Root galls were formed mostly around collar roots and gradually spread to main root lateral roots and secondary root branches. Root galls started to enlarge greatly in size and weight from 23 days after inoculation. Chinese cabbage plants at mid-growth stage with root gall development were reduced to 1/2 of that of healthy plants in number of leaves 1/4-1/5 in above ground fresh weight 1/6 in root length but increased to 3 times in diameter of collar root. Diseased plants had little root hairs. Diseased Chinese cabbage plants at harvest were reduced by 9,1-11.8% in head weight compared to healthy pla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oot and head weight but those relationships were rot found in the diseased plants.

  • PDF

붉나무의 수령, 서식지 및 기생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 (Gall formation on different age, habitat, and parasite position in Rhus javanica L.)

  • 조형찬;한광수;안은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4-311
    • /
    • 2000
  • 붉나무의 수령 및 환경요인에 의한 오배자 생성 영향, 오배자의 생성과정과 오배자면충의 밀도변화, 붉나무 잎의 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부위, 그리고 오배자면충을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오배자의 생성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붉나무의 수령에 따른 오배자의 생성은 3개 지역 공히 평균 11-15년 경과된 나무에서 가장 많은 오배자 형성율과 개체수를 나타낸 반면, 1-5년 경과된 나무에서 가장 적은 오배자 형성율과 개체수를 보였다. 붉나무 서식방향에 따른 오배자 형성 개체는 동쪽, 남쪽, 북쪽, 서쪽 순으로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붉나무의 식생과 오배자의 생성관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도로변에 서식하고 있는 붉나무에서는 오배자 형성을 볼 수 없었던 반면, 계곡에 이끼가 서식한 습한 곳에서는 많은 오배자가 형성되었다. 오배자의 생성과정을 보면 5월 초순경 붉나무잎 뒷면 엽출날개에 기생하면서 8월 초순까지는 적은 혹을 형성하다가 8월 중순에 충영이 급격히 크게 형성되면서 월동을 위해 탈출직전인 9월 하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오배자면충 밀도는 오배자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현상을 보였다. 붉나무 잎의 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부위는 정소엽을 기준으로 제 2 엽축날개에서 가장 많은 충영이 형성되었으며, 잎의 앞면과 복엽에는 거의 형성되지 않은 반면 엽축날개에 94%가 형성되었다. 자연 환경속에서 오배자를 형성할 수 없는 붉나무의 군락지에서 인공적으로 오배자면충을 접종하였을 경우 오배자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오배자의 발육과정 중 일부는 발육하지 못하고 소멸되는 것도 있었다.

  • PDF

구기자품종의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유전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Gall Mite(Eriophys macrodonis) in Boxthorn (Lycium chinese) Cultivars)

  • 최재을;차선경;김영창;김진희;강희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8-304
    • /
    • 2002
  • 구기자품종의 혹응애에 대한 저항성 반응 및 저항성 유전양식 을 검정하기 위하여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인공교배 하여 얻은F$_1$집단의 포장자연 발생율에 의하여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기자혹응애 저항성 품종인 일본 1호,중국 1호를 감수성인 CL42-56과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3 ; 1로 분리되었으며, 일본 1호와 중국 1호를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이 15 : 1로 분리 되었다. 2. 일본 1호와 중국 1호의 혹응애 저항성은 hetero 인 두 개의 우성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며, 저항성 유전자를 E1e1E2e2로 명명하였다. 3. 청양구기자를 CL42-56에 교배한 F$_1$은 혹응애 저항성과 감수성의 분리비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변이 의 폭이 크므로 청양구기자의 혹응애 저항성은 주동유전자와 polygenes에 의해 지배되었다. 4. 일본 1호와 중국 1호는 혹응애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한 모본으로 우수하였으며, 청양구기자도 저항성 모본으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

봄배추 무사마귀병의 포장 감염시기와 피해 (Yield Loss of Spring Chinese Cabbage as Affected by Infection Time of Clubroot Disease in Fields)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23-26
    • /
    • 2000
  • 봄배추 무사마귀병의 감염시기별 피해정도를 포장시험으로 조사하였다. 정식후 감염시기가 빠를수록 수량에 대한 피해가 컸으며 정식후 20일 이전 감염배추는 수확전 완전히 고사하였고 정식후 30일에 감염된 배추는 수확시까지 외관상 건전한 생육을 보였으나 포기무게가 건전주의 59%에 불과하여 상품성이 없었다. 정식 40일 이후 감염배추는 수량에 대한 영향이 없었다. 이병배추는 감염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잔뿌리의 생성이 감소되어 생육후기에는 거의 잔뿌리가 없었으며 뿌리의 신장도 건전주에 비해 1/2∼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뿌리혹은 감염 20일후에 처음으로 관찰되어 이후 급속히 비대하였으며 최초 생성 20일후에 최대치에 달하였고 그후 혹뿌리의 부패로 근중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수확기에는 건전주보다 낮아졌다. 뿌리혹의 발달 및 부패속도는 감염시기와 상관없이 배추생육기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위조는 뿌리혹이 생성된지 10일후에 처음으로 관찰되었으며 그후 10일경부터 혹이 부패하기 시작하여 열흘동안 완전히 부패 소실되었고 식물체도 고사하였다. 따라서 봄배추의 무사마귀병 포장정식시 감염은 20일간의 잠복기 20일간의 혹비대기를 거쳐 10일동안의 혹부패기, 그후의 토양내 잔존기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 PDF

배추무사마귀병 뿌리혹의 부패에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 (Som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ecay of Root Galls in Club 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 김충회;조원대;김홍모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61-65
    • /
    • 2000
  • 배추 무사마귀병 뿌리혹의 부패에 미치는 온도 토양수분 담수, 토양미생물의 영향을 실내에서 조사하였다. 뿌리혹의 완전부패까지 소요일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서 $32^{\circ}C$ 이상에서는 3일, $16{\sim}20^{\circ}C$에서는 12일, $8^{\circ}C$에서는 28일이 소요되었다. 토양수분이 높을수록 뿌리혹의 부패도 빨라서 포화수분의 경우 $32^{\circ}C$에서는 3일, $24^{\circ}C$에서는 8일이 소요되었고, $32^{\circ}C$에서는 토양수분의 영향이 $24^{\circ}C$에서 보다 낮았다. 담수에 의한 뿌리혹의 부패촉진효과는 $32^{\circ}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24^{\circ}C$$12^{\circ}C$에서는 높았다. 뿌리혹의 부패에 대한 외부 토앙미생물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뿌리혹의 부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도였으며 온도가 비교적 낮을수록 다른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혹내 휴면포자는 뿌리혹의 부패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성숙도가 증가하였으며, 신선한 뿌리혹은 부패한 혹에 비하여 휴면포자의 밀도도 낮았고 그 성숙도도 저조하였다. 완전히 부패한 뿌리혹내 휴면포자의 밀도는 1 g 조직당 $6.5{\times}10^{6}$개였으며 성숙 휴면포자율도 95% 이상에 달하였다.

  • PDF

Cytotoxic activities of various fractions extracted from some pharmaceutical insect relatives

  • Huang, Yao-Ge;Kang, Jong-Koo;Liu, Ren-Song;Oh, Ki-Wan;Nam, Chun-Ja;Kim, Hack-Sea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10-114
    • /
    • 1997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screen the cytotoxic activities of some pharmaceutical insect relatives. Cytotoxic activities of total extract and fractions of hexane, ethyl acetate, methanol, water and boiling water were extracted from four pharmaceutical insect relatives: the Chinese gall, the cicada slough, the hornet nest and the batryticated silkworm. These extracts were investigated against the cancer cell lines of L1210, P388 and SNU-1 in vitro tests. Results showed that, ED, , against the cancer cell lines of L1210, P388 and SNU-1 were 0.55, 0.50, and $0.83{\mu}g/ml$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the Chinese gall; 1.07, 2.19, and $2.24{\mu}g/ml$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1.51, 1.26, and $1.45{\mu}g/ml$ in the water fraction and 1.48, 2.29, and $1.29{\mu}g/ml$in the boiling water fraction from the cicada slough; 3.31, 2.00, and $6.61\mug/ml$ in the water fraction from the hornet nest and 13.80, 19.95, and $31.62{\mu}g/ml$in the hexane fraction and 33.88, 21.88, and $25.12{\mu}g/ml$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the batryticated silkworm, respectively. All of the fractions mentioned above showed high cytotoxic activities and could be suggested for further studies in vivo tests.

  • PDF

오배자 추출물 유래 친환경제제의 세균성과실썩음병균에 대한 항세균활성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co-friendly Farming Material based on Chinese Nut-gall Extraction on Acidovorax citrulli)

  • 서태진;양수정;이봉춘;김강민;이귀재;주호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71-582
    • /
    • 2016
  • 세균성과실썩음병(BFB)은 Acidovorax citrulli가 원인균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박과채소에 큰 손실을 야기하며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속도로 진전되는 종자 병이다. 요즘 친환경재배가 인기를 얻어가고 있으나 BFB를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적당한 방제제가 없는 실정에서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의 A. citrulli에 대한 황세균활성을 시험하였다. 먼저 식물마다 다른 다양한 BFB 증상이 나타났다.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의 액상 형태의 방제제는 높은 항세균활성을 보였으며, 온실내 포트실험 또한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의 BFB 방제에 대한 잠재적 효과성을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 처리는 수박 유묘의 생존율과 오이의 유묘 길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한 오배자 추출물 기반 약제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박과채소인 BFB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주 높은 물질로 생각이 된다.

요통의 양도락 진단 및 평가에 관한 문헌 고찰 (A Review Study on Ryodoraku Diagnosis and Evaluation of Low Back Pain)

  • 송민호;양수진;이채원;이병렬;권정남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6-124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Ryodoraku diagnosis and evaluation of low back pain reported in Kore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Methods: Using web search on five Korean databases, two Japanese, one Chinese and one English, we selected studies on Ryodoraku diagnosis and evaluation of low back pain. Results: Our initial search returned 26 Korean studies, 17 Japanese, 2 Chinese and 1 English. From them, we found 14 studi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general low back pain, studies showed that F4 (bladder) was the most frequently suggested abnormal Ryodoraku. In specific low back pain, Ryodoraku had no recognizable relation to disease-specific low back pain, but abnormal Ryodoraku of F2 (liver) and F5 (gall bladder) was frequently observed. More foot Ryodoraku showed abnormal than hand Ryodoraku. Conclusions: The diagnostic values of Ryodoraku for F2 (liver), F4 (bladder), H5 (triple energizer), F3 (kidney), and F5 (gall bladder) can be good diagnostic references, and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aspect of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