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ethnic plac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118초

THE TURFAN MINARET INSCRIPTION: A SYMBOL OF CULTURAL CONFLUENCE ON THE SILK ROAD

  • VOSOOGHI, MOHAMMADBAGHER;KARIMIAN, HASSAN
    • Acta Via Serica
    • /
    • 제2권1호
    • /
    • pp.31-47
    • /
    • 2017
  • The corridors to the north and south of the $Takl{\bar{a}}m{\bar{a}}k{\bar{a}}n$ (塔克拉瑪干 Ta-ke-la-ma-gan) Desert are the most important regions for cultural confluence on the Silk Road, where caravans made it to the Chinese capital or the Korean Peninsula by the northern road, through the city of Turfan, or the southern path of Khutan. Being an important part of the Silk Road in the course of history, this region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cultures of various nations and ethnic communities whose merchants utilized the road to advance their business. The region's language, writing system and literary structure were also affected, so much so that in the course of its tumultuous history, many words, phrases and terms belonging to neighboring cultures found their way into the region, leaving their mark on its linguistic structure. Of the cultural exchanges that took place between the peoples of the region, conspicuous traces can be seen in the architecture, music, literature, texts, and inscriptions. Located in the Turfan region, the minaret of Su Gong (蘇公 Su Gong ) is host to an inscription which bears many signs of such exchanges. As so far no independ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cultural, literary and structural features conveyed in this inscription, the present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the inscription in terms of the script, language and syntax in order to unravel the effects of cultures prevalent on the Silk Road on this particular inscription. This study mainly aim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structure of the inscription and the impact of the Persian language on Silk Road culture. In fact, we approach the inscription as a symbol of cultural exchange on the Silk Road and will focus on the tradition of Persian inscription-making which affected the Turfan inscription.

중국의 생태박물관(에코뮤지엄)형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rablishment of an Ecomuseum in China and its Actual States.)

  • 오일환
    • 고문화
    • /
    • 68호
    • /
    • pp.59-75
    • /
    • 2006
  • 중국에서는 21세기에 들어 인간과 자연의 조화 및 생태의 균형 유지가 매우 중시되면서 도시와 농촌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이고 전면적이 협력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조화로운 사회건설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뿐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급격한 경제적 변화로 전통 문화의 보존과 중화민족의 역사적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애국주의 교육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박물관의 문화유산 보존과 전시기능 뿐 아니라 사회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박물관 형태인 생태박물관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중국은 대도시에 집중적으로 건설되었던 대규모의 박물관을 대신하여 노르웨이의 지원과 중국박물관협회를 중심으로 꾸이저우성, 꽝시장족자치구, 내이멍구자치구 등 소수민족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산간 오지지역을 중심으로 생태박물관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생태박물관의 건설은 서부대개발이 진행되면서 소수 민족의 고유한 문화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소수민족에 대한 문화적 수요를 창출하고 경제적 생활향상으로 함께 화해사회(조화로운 사회) 건설에 참여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커다랗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생태박물관 조성을 국가사업으로 전환하면서 민족과 지역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소수민족 문화유산에 대한 관리를 더욱 강화하면서 점차 중국화, 본토화하고 있다.

  • PDF

Determinants of Choice of Surgery in Asian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in A Middle Income Country

  • Teh, Yew-Ching;Shaari, Nor Elina Noor;Taib, Nur Aishah;Ng, Char-Hong;See, Mee-Hoong;Tan, Gie-Hooi;Jamaris, Suniza;Yip, Cheng-H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163-3167
    • /
    • 2014
  • Background: Breast-conserving surgery (BCS) plus radiotherapy is equivalent to modified radical mastectomy (MRM) in terms of outcome. However there is wide variation in mastectomy rates dependent both on tumour and patient characteristics.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eterminants of surgery choice in Asian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in a middle-income country. Materials and Methods: 184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treated between Jan 2008 and Dec 2010 were recrui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hi-square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urgery choice and demographic and tumour factors, surgeon recommendation, family member and partner opinions, fear of recurrence, avoidance of second surgery, fear of disfigurement, interference with sex life, fear of radiation and loss of femininity. Results: 85 (46%) had BCS while 99 (54%) had mastectomy. Age >60, Chinese ethnicity, lower education level, and larger tumour siz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stectomy. Surgeon recommendation was important in surgery choice. Although both groups did not place much importance on interference with sex life, 14.1% of the BCS group felt it was very important compared to 5.1% in the mastectomy group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other factors. When analyzed by ethnicity, significantly more Malay and Indian women considered partner and family member opinions very important and were more concerned about loss of femininity compared to Chinese women.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ethnic groups in terms of the other factors. Conclusions: When counseling on surgical options, the surgeon has to take into account the ethnicity, social background and education level, age and reliance on partner and family members. Decision-making is usually a collective effort rather than just between the patient and surgeon, and involving the whole family into the process early is important.

1930년대 교토대학의 한반도 채집과 지명 정리: G. Koidzumi, J. Ohwi, S. Kitamura (A gazetteer of three Japanese plant taxonomists (G. Koidzumi, J. Ohwi, and S. Kitamura) of Kyoto University in Korea during 1930s)

  • 장계선;박수경;김휘;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9-331
    • /
    • 2013
  • Koidzumi Gen'ichi(1883-1953), Ohwi Jisaburo(1905-1977), Kitamura Siro(1906-2002) 등이 1930년에서 1935년에 걸쳐 약 5년간 실시한 한반도 식물 채집에서 얻어진 식물표본레이블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당시의 채집행적을 정리하였다.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KYO)에 소장된 표본은 전체 2,000 점으로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채집자와 간략한 채집지명이 한자, 일본어 혹은 지역 방언으로 기록되어 있다. 교토대학였던 Koidzumi(小泉)는 주로 1932년, 1933년, 1935년의 방학동안인 7-8월에 한반도 남부의 제주도와 경상북도, 전라북도 지역과 북부의 금강산, 함경북도, 평안북도, 황해도 등에서 식물 채집을 하였다. Ohwi(大井)는 1930년과 1932년 3달 동안 주로 기존 채집자들이 시도하지 않은 지역인 함경북도의 경성군, 부령군, 회령군, 무산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신흥군과 함께 금강산에서 채집하고, 1935년에는 지리산, 제주도 등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주로 채집하였다. Kitamura(北村)는 1930년과 1932년, 1935년에 한반도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제주도와 금강산, 함경남도의 원산 및 개마고원 일대의 채집 기록이 남아 있다.

북한의 신라 고고학 연구 현황과 특징 (A Review of Archaeological Research on Silla in North Korea)

  • 윤상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70-285
    • /
    • 2020
  • 본고는 북한에서 이루어진 신라(통일신라) 고고학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징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자료가 남한에 있어 그동안 우리 학계는 북한의 신라 고고학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 이에 향후 북한 자료를 다루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북한 학계의 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현황은 우리가 주로 다루는 고고학 주제에 맞춰 무덤, 성곽, 왕경, 토기, 와전, 장신구, 무구, 마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 특징을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는 주체사상이 북한 학계의 삼국통일 해석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1955년에 처음 제기된 '주체'는 사대주의의 반대 개념으로 중소 분쟁의 틈바구니에서 주창되었다. 이에 따라 신라의 삼국통일을 외세와 결탁한 사건으로 보고 더 이상 인정하지 않게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1962년 자료부터 확인된다. 두 번째, 반사대주의의 영향으로 삼국문화의 '고유성'과 '단일성'을 증명하려 하였다. 한반도의 문화가 중국과는 다른 고유성을 가지며, 삼국의 문화는 상호간에 공통점이 많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일성'의 원천은 고구려의 '우수한' 선진 문화이며, 백제와 신라, 가야에 전파되어 '민족 문화의 단일성'이 형성되었음을 증명하려는 것이다. 고구려의 선진 문물이 발해와 '후기신라(통일신라)'에까지 전해지고 다시 고려로 이어져 민족 문화의 진정한 통일이 일어났다고 설명한다. 네 번째는 남한 학계에 비해 신라의 무덤이나 유물의 연대를 상당히 올려 보는 점이다. '조선의 유구한 역사'를 강조하는 입장에서 신라의 건국을 1세기 초·중엽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국가 형성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의 연대를 올려 볼 수밖에 없다. 또한 고구려 석실분이 신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하기 위해서도 신라 석실분 연대의 상향이 필수적이다. 1960년대에 형성된 연구 특징은 지금까지도 북한 학계가 반드시 준수해야 할 기본 지침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