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Hamster Lung Cell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새로운 재조합 인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DA-3030의 변이원성연구 (Mutagenicity Study of DA-3030, A New Recombinant Human G-CSF(rhG-CSF))

  • 강경구;최성학;김옥진;안병옥;백남기;김계원;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3호
    • /
    • pp.286-291
    • /
    • 1994
  • The mutagenicity of DA-3030(rhG-CSF)was studied by reverse mutation test, chromosome aberration test and micronucleus test. The reverse mutatuon test in bacteria was perform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TA98, TA1535 and TA1537 with rhG-CSF in any of the concentrations(150, 75, 37.5, 18.75, 9.375 and 4,6875 $\mu\textrm{g}$/plate),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in each strain was observed, irrespective of treatment with the metabolic activation system(S-9 mix)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was carried out using CHL cells, cell line from chinese hamster lung. With 4 doses(75, 37.5, 18.75 and 9.375 $\mu\textrm{g}$/ml) of rhG-/CSF the cells were treated for 24 or 48 hours in the direct method or for 6 hours followed by 18 hour-expression time in the metabolic activation metho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by the direct method or metabolic activation method, no trend toward increase in the number of aberrant metaphase. The micronucleus test was carried out using ICR mice at the age of 8 weeks. Three doses(862.5, 1725 and 3450 $\mu\textrm{g}$/kg) of DA-3030 were admint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single shot and bone marrow cells were sampled at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Neither the number of polychromatic erythrocytes with micronuclei nor the ratio of normochromatic erythrocytes to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creased singinficantly in each dose, compared with a vehicl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hG-CSF has not mutagenic potential under the condiions.

  • PDF

식품에 잔류하는 Gentamicin의 유전독성평가에 관한 연구 (In vivo and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Test of Gentamicin as a Verterinary Drug)

  • 하광원;오혜영;강춘;손수정;박장환;허옥순;한의식;김소희;김명희;문화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9-249
    • /
    • 1996
  • Gentamicin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aminoglycoside계 항생물질로서 세균의 세포막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Gentamicin이 동물사료에 포함되거나 동물약품으로 많이 사용되어, 이를 복용한 식용가축에서의 잔류 량에 대한 인체유해성이 WHO/FAO 식품첨가물 전문가 협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다. Gentamicin의 육가공류의 잔류허용량 기준설정을 위한 독성 재평가의 일환으로 in vivo. in vitro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외 염색체이상시험에서는 포유동물 배양세포인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배양하여 gentamicin sulfate 및 gentamicin을 최고 처리농도 5mg/$m\ell$부터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는 5mg/$m\ell$를 최고농도로 2.5, 1.25mg/$m\ell$의 3농도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으로 각 농도당 2매의 플레이트씩 슬라이드를 제작, 결과를 판독한 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 모두에서 전 농도 군에서 음성대조군과 같은 정도의 염색체이상을 유발하여 유전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2. 체내 염색체 이상시험에서는 ddY마우스를 이용하여 gentamicin sulfate의 LD$_{50}$의 1/2에 해당하는 200mg/kg을 최고농도로 gentamicin 과 gentamicin sulfate를 암수 각각 3마리씩 공비 2의 3농도로 투여한 후, 24시간째 골수세포의 염색체 표본을 제작하여 관찰한 결과, 세포독성 및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또한 동물약품으로 사용되는 치료용량 및 투약방법에 근거하여 10mg/kg 및 5, 2.5mg/kg을 1일 1회씩 4회 투여한 군에서도 암수에 상관없이 전 농도 군에서 염색체이상을 나타내지 않아 유전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Genotoxicity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Produced by Angelica gigas Nakai

  • Kim, Kang-Min;Kim, Tae-Ho;Park, Yun-Jung;Kim, Ik-Hwan;Kang, Jae-Seo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5권1호
    • /
    • pp.83-87
    • /
    • 2009
  •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stability and toxicological safety of Angelica gigas Nakai (A. gigas Nakai) extract, which is comprised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D/DA). D/DA was tested for mutagenicity using Ames Salmonella tester strains (TA102, TA1535, and TA1537)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S9 mix).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ertants was observed in response to any of the doses tested (1.25, 12.5, 125, and $1,250{\mu}/mLg$). In addition, a chromosome aberration test was conducted in the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 line. To accomplish this, cells were treated with D/DA (3.28, 13.12, 52.46, and $209.84{\mu}g/mL$) or with Mitomycin C ($0.1{\mu}/mLg$)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case of no metabolic activation or benzo(a)pyrene ($20{\mu}g/mL$) in the case of metabolic activation. No significant increase in chromosome aberrations was observed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any of these concentrations, regardless of activation of the metabolic system.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D/DA did not induce bacterial reverse mutation or clastogenicity in vitro in the range of concentrations evaluated in these experiments.

Evaluation of Genotoxic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RVS)

  • Kim, Ji-Young;Oh, Se-Wook;Han, Dae-Seok;Lee, Michae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51-159
    • /
    • 2008
  • Rhus verniciflua Stokes(RVS), one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in Asia, was found to have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and antiapoptotic effects, raising the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a novel class of anti-cancer drugs. Thus, potential genotoxic effects of RVS in three short-term mutagenicity assays were investigated, which included the Ames assay,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test, and the in vivo Micronucleus assay. In Ames test, the addition of RVS water extracts at doses from 313 up to 5000 mg/plate induced an increase more than 2-fold over vehicle control in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in TA98 and TA1537 strains for detecting the frame-shift mutagens. The similar increase in reversion frequency was observed after the addition of RVS ethanol extracts. To assess clastogenic effect,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test and in vivo micronucleus assay were performed using Chinese hamster lung cells and male ICR mice, respectively.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RVS induc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number of metaphases with structural aberrations mostly at concentrations showing the cell survival less than 60% as assessed by in vitro CA test. Also, there was a weak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number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MNPCEs) in mice treated with water extract at 2000 mg/kg while ethanol extracts of RVS at doses of up to 2000 mg/kg did not induc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cidence of MNPCEs. Therefore, our results lead to conclusion that RVS acts as a genotoxic material based on the available in vitro and in vivo results.

님추출물의 in vitro 항돌연변이원성 및 유전독성 영향 (In vitro Antimutagenic and Genotoxic Effects of Azadirachta indica Extract)

  • 윤현주;조현조;김진효;박경훈;길근환;오진아;조남준;백민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19-225
    • /
    • 2014
  • 님 추출물은 포유류에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농업자재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님 추출물은 림프구의 염색체 이상을 야기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원성 시험 및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항돌연변이원성 시험은 복귀돌연변이 시험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복귀돌연변이 시험은 2개의 님 추출물을 Salmonella Typhimurium 5개 균주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이상시험은은 대사활성계 처리군(S-9 mix)과 대사활성계 미처리군(PBS)으로 나누어 양성대조군과 음성대조군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염색체이상시험은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이용하여 님추출물 시료에 대사활성계 처리군은 6시간 노출시켰고, 대사활성계 미처리군은 각각 6시간과 24시간 노출시켜 시험하였고,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을 사용하였다. 4 NQO에 의해 유도 된 돌연변이 집락수는 님추출물 시료 처리에 의해 감소되어 SRE는 항 돌연변이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복귀돌연변이와 염색체이상시험은 님추출물 모든 시험 농도군에서 대화활성계의 처리 유무와 관계없이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ICH에서 제안된 유전독성 battery system에 근거해 살펴 봤을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님 추출물 2종은 모두 유전독성이 없어 안전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삼추출물의 in vitro 항돌연변이원성과 유전독성 연구 (In vitro Antimutagenic and Genotoxic Effects of Sophora Radix Extracts)

  • 조현조;윤현주;박경훈;이제봉;심창기;김진효;정미혜;오진아;김두호;백민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5-342
    • /
    • 2013
  • 고삼추출물은 한국에서 유기농업자재로 등록되어 있어 친환경농산물 재배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삼추출물의 유효성분인 matrine은 쥐의 신경계에 독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다른 안전성 확인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삼추출물 2종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원성 시험과 유전독성시험 2종(복귀돌연변이 및 염색체이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항돌연변이원성 시험은 복귀돌연변이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복귀돌연변이 시험으로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535와 TA1537을 이용하여, S-9 mix를 사용한 대사활성계 처리군과 PBS를 사용한 대사활성계 미처리군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염색체이상 시험은 Chinese hamster lung cells을 이용하여 고삼추출물 시료에 대사활성계 처리군은 6시간 노출시켰고, 대사활성계 미처리군은 각각 6시간과 24시간 노출시켜 시험하였다. 항돌연변이 시험 결과, 4-NQO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 집락수는 고삼추출물 시료 처리에 의해 감소되어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결과,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고삼추출물의 모든 시험 농도군에서 대사활성계의 처리 유무와 관계없이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염색체이상시험 결과 고삼추출물 시료 1종에서 대사활성계 미처리군에서는 250 ${\mu}g/mL$, 대사활성 처리군에서는 500 ${\mu}g/mL$ 의 농도에서 의양성이 나타났고 이 이하의 농도에서는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시료 1종에서는 모든 처리농도군에서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고삼추출물의 유전독성 가능성을 더 정밀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향후 battery system에 포함된 다른 in vivo 유전독성 시험을 추가로 시행하여 유전독성 여부를 최종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살균제 carbendazim이 DNA, 유전자 및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endazim on DNA, gene and chromosome)

  • 이제봉;성필남;정미혜;신진섭;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88-298
    • /
    • 2004
  • 광범위 보호 살균제인 carbendazim이 DNA, 유전자 및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Ames가 개발한 미생물복귀돌연변원성시험, CHL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 DNA 손상시험 및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Carbendazim $156\sim2,500{\mu}g/plate$ 농도로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으로 TA 1535, TA 1537, TA 98 및 TA 100에서 수행한 Ames test결과 음성 대조군(DMSO)과 유사한 colony수를 보여 유전자의 염기절단에 의한 결손이나 염기 치환을 일으키지 않았다.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CHL세포에 $2.0\sim32.0{\mu}g/mL$의 농도로 carbendazim을 처리하여 염색체이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염색분체 절단과 같은 구조이상은 없었으나 염색체의 수에 변화가 관찰되어 수적 이상은 인정되었다. Carbendazim 25, 50 및 $100{\mu}g/mL$을 마우스에 처리하여 30분, 60분 및 120분에 DNA에 직접 노출시켜 DNA손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 60분까지는 영향이 없었으나, 120분 노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22\sim27%$정도의 DNA이동거리가 증가하여 약간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세포에 노출시켰을 때도 중 농도와 저 농도에서 16%의 이동거리 증가와 120분 노출시켰을 때 $10%\sim26%$의 이동거리 증가가 있어 DNA에 직접 노출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Carbendazim 375, 750 및 1,500 mg/kg 농도로 투여한 소핵시험결과 음성으로 판단되었으며, 골수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선 benzimidazole계 살균제 carbendazim이 DNA손상 및 염색체의 수적이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계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benzimidazole계 농약인 benomyl이나 carbendazim에 장기적으로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유전물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만성독성성적과 노출량 등 구체적인 자료를 이용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야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에폭시화 대두유의 유전독성 연구 (Studies on Genetic Toxicity of Epoxidized Soy Bean Oil)

  • 한의식;정해관;김종원;박미선;엄미옥;강혁준;민수진;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1
    • /
    • 2001
  • 유아 식품중의 병마개 등에 약 30%까지 함유되어 합성수지 및 고무의 가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유럽등지에서 식품으로의 유리가 보고되어 안전성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에폭시화 대두유 (Epoxidized soy bean oil, ESBO)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포유류 배양세포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체외 염색체이상시험, 설치류의 조혈세포를 이용한 체내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TA102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에서 돌연변이 유발성을 가지지 않는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에서 염색체이상 유발작용을 보이지 않는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별, 연령별에 따라서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에폭시화 대두유는 미성숙 적혈구중 유의성 있는 소핵 유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시험조건 중 에폭시화 대두유는 in vitro 시험인 Salmonella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포유동물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및 in vivo 시험인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살충성 물질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의 유전독성 평가 (Mutagenecity evaluation of insecticidal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 in short-term bioassays)

  • 이제봉;성하정;정미혜;권오경;이해근;김영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58
    • /
    • 1998
  • 벼멸구에 대해 살충성이 있는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를 신농약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변이원성 시험, 즉 유전자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원성을 TA1535, TA1537,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대사활성화물질(S-9mix)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에 이상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EMEM 배지에서 $LC_{50}$$200{\mu}g/m{\ell}$이었으므로 $200{\mu}g/m{\ell}$을 최고농도로 공비2, 농도4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200과 $100{\mu}g/m{\ell}$에서 이상세포가 나타났으나 양성으로 판정되지는 않았다.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한 소핵시험에서도 음성대조, 양성대조 및 시험물질처리 군에서 PCE 및 MNPCE의 출현율이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어서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소핵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는 미생물, 배양세포 그리고 생체 내에서 유전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Genotoxicity Study of Molinate, an Herbicide, in Bacterial Reversion, in vitro and in vivo Mammalian System

  • Kim, Youn-Jung;Ryu, Jae-Ch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3호
    • /
    • pp.176-184
    • /
    • 2006
  • The controversy on genotoxicity of molinate, an herbicide, has been reported in bacterial system, and in vitro and in vivo mammalian systems. To clarify the genotoxicity of molinate, we performed bacterial gene mutation test,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and mouse lymphoma $tk^{+/-}$ gene assay, and in vivo micronucleus assay using bone marrow cells and peripheral reticulocytes of mice. In bacterial gene mutation assay, no mutagenicity of molinate ($12-185{\mu}g/plate$) was observed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100, 1535 and 1537 both in the absence and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The clastogenicity of molinate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102.1-408.2\;{\mu}g/mL$)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mammalian cell system using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However, no clastogenicity was observed in the absence ($13.6-54.3\;{\mu}g/mL$)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genotoxicity of molinate was derived some metabolites by metabolic activation. Molinate was also subjected to mouse lymphoma L5178Y $tk^{+/-}$ cells using microtiter cloning technique. In the absence of S-9 mixture, mutation frequencies (MFs) were revealed $1.4-1.9{\times}10^{-4}$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MFs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revealed $3.2-3.4{\times}10^{-4}$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In vivo micronucleus (MN) assay using mouse bone marrow cells, molinate revealed genotoxic potential in the dose ranges of 100-398 mg/kg of molinate when administered orally. Molinate also subjected to acridine orange MN assay with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The frequency of micronucleated reticulocytes (MNRETs) induced 48 hr after i.p. injection at a single dose of 91, 182 and 363 mg/kg of molinate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as $10.2{\pm}4.7,\;14.6{\pm}3.9\;and\;28.6{\pm}6.3\;(mean{\pm}SD\;of\;MNRETs/2,000\;reticulocyt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respectively. Consequently, genotoxic potential of molinate was observed in in vitro mammalian mutagenicity systems only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and in vivo MN assay using both bone marrow cells and peripheral reticulocytes in the dose ranges used in this experi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abolic activation plays a critical role to express the genotoxicity of molinate in in vitro and in vivo mammalia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