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ultural Industry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8초

문화 콘텐츠 영향의 신조 중국어 고찰 (A Study of the New Chinese Words Under the Influence of Culture Content)

  • 맹상삼;이광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31-142
    • /
    • 2019
  •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의 영향을 받아 생긴 신조 중국어를 고찰하여 분석한 것이다. 한국 문화 산업이 크게 발달하면서 세계 곳곳에 한류 열풍을 일으켰다. 이를 통해 많은 한국어 단어, 신조 중국어, 그리고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의식과 개념이 중국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중에서 한류 콘텐츠로 인해 중국 인터넷에서 나타난 신조어가 적지 않다. 신조 중국어는 한류 팬과 한국어 학습자가 많아지면서 폭넓게 사용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류 콘텐츠 영향의 중국 신조 중국어는 중국 신조 중국어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여긴다. 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중국 신조 중국어 구성방식의 6가지 분류, 즉 비유적 의미, 대치, 외래어 차용, 축약, 합성, 파생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한류 콘텐츠 영향의 중국 인터넷 단어에도 그대로 작용하여 3가지 한류 신조 중국어, 즉 한자로 표시하는 신조어, 알파벳으로 표시하는 신조어, 의미 확장, 그리고 새로운 의미의 획득을 통한 신조어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생성 원인과 전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분류에 따라 구체적인 뉴스 제목이나 노래 등을 실례로 들어 한류 콘텐츠 영향의 중국 신조 중국어의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신조 중국어가 중국 어휘를 풍부하게 만들고, 소통을 순조롭게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상해 패션 위크 중국 신진 패션 디자이너의 "중국풍" (The "Chinese Style" of Chinese New Generation Fashion Designers in Shanghai Fashion Week)

  • 윤미나;하지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45-558
    • /
    • 2021
  •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inese style design embodied in the collections of the new generation of fashion designers shown during the Shanghai Fashion Week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style and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desig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studying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fashion industry chronologically and investing young designers' current situation, 2) investigating young designers' awareness of Chinese style and analyzing Chinese style design in collections. A literature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study focused on the books about the Chinese fashion industry and history, newspaper, articles, and so on.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among 63 Chinese style collections in 2016-2020 SFW by investigating fashion magazine reviews, articles, and so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Young Chinese fashion designers' awareness of Chinese style has three characteristics; the nonmaterial tendency from decreasing stereotyped images, comb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local youth culture, and commercialization with trends. 2) Chinese elements, including natural, character, and cultural elements were predominantly used in the concept, pattern, and shape. Non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concept, cultural combination characteristics in concept, shape, color, material, and pattern, and trend commercialization in shape, color, and pattern. In conclusion, Chinese young fashion designers had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ew awareness of Chinese style fashion in decreasing the stereotyped images of China. Thus, they used more varied expressions. Meanwhile, they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nonmaterial Chinese elements by balancing them with Chinese style and globalization.

<대어해당> 중 중국전통문화의 응용에 대한 간략 분석 (A Brief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Big Fish and Begonia)

  • 왕시아오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7-72
    • /
    • 2019
  • 애니메이션은 일종의 시청각 종합예술로서 문학, 그림, 음악, 건축, 촬영 등 다양한 예술형식을 하나로 융합시킨 것이다.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산업은 새천년에 들어서면서 일정한 성취를 이루었지만 세계화에 발맞추다 보니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은 전반적으로 일본과 미국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중국은 5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만큼 탄탄한 사회 및 문화적 기초를 지니고 있다. 세계 4대 문명의 명성에 걸맞게 잉태되고 성장해온 문화 체계 내에서 중화문명은 유일하게 전승되고 있는 고전문명으로, 세계 문화 화폭에서 빛나는 한 획을 그었다. 중국에는 많은 이야기꺼리가 있다. 해외의 애니메이션 발전사를 살펴보면 중국의 전통문화요소를 빌려 인용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20세기 80년대부터 중국은 애니메이션산업을 민족부흥의 일환으로 접근하였다. 주제, 인물, 배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통문화적 접근을 통해 중국의 전통문화요소와 결합시키려고 시도하였다. 애니메이션 <대어해당>은 은혜를 갚는다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정의와 인정 및 도의를 위해 두려움 없이 자신의 목숨까지 바쳐 의로운 일을 하는 정신은 수년천간 이어져 내려온 중화민족의 훌륭한 품성이 집중적으로 구현된 것이다. '곤' 은 '춘' 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치고 '춘' 은 은혜를 갚기 위해 자신의 목숨 반 토막을 내놓으며, '추'도 사랑하는 사람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다. 이 세 주인공들의 성격적 특징은 매우 뚜렷하다. 이들은 모두 '의'를 실현하기 위해 자신에게서 가장 소중한 것을 바친다. 또한 <대어해당> 애니메이션에서는 많은 중국 전통 문화 요소를 응용 및 결합시켜 중국 특색이 농후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다.

Effect of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and Cultural Affinity on Purchase Intentions for Local Fashion Brands in the Context of "Guochao" Consumption

  • Wu, Yi Fang;Kim, Eun Young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8-417
    • /
    • 2022
  •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traits, self-brand connec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local fashion brands under "Guochao" consumption in China. An online survey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ndertaken through Chinese SNS tools to collect the data. A total of 276 usabl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Chinese consumers who are residents in China. More females(n=174, +63%) than males (n=102, 37%) participated, and they were aged from 18 to 45 years old. The measurement model was confirmed to be reliable and valid. In the estimated structural model, the consumer traits of ethnocentrism and cultural affinity positively affected the self-brand connection, leading to purchase intentions for the local fashion brands. Specifically, the ethnocentrism factor indirect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s by mediating the self-brand connection, while the cultural affinity factor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Thu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brand connec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traits(ethnocentrism and cultural affinity) and purchase intentions of local fashion brands in the cultural "Guochao" consumption context.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extending the cultural theory of ethnocentrism relevant to self-brand connections and discusse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c global branding in the Chinese fashion markets.

중국 광고산업의 지역화와 효율성 분석 (A Study on the Localization and Efficiency in Chinese Advertising Industry)

  • 김상욱;정상철
    • 문화경제연구
    • /
    • 제19권2호
    • /
    • pp.171-193
    • /
    • 2016
  • 본 연구는 중국의 광고산업의 지역화와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광고산업은 급속하게 성장하는 산업 중의 하나이다. 특히 지역경제발전수준이 높아지고 소비행태가 고급화되고 다양화될수록 지역광고시장의 규모는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적인 특성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입지지수를 이용하여 지역특화정도를 비교하고 있다. 그리고 DEA-Window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광고산업의 지역별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 비교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광고산업의 상대적 효율성이 높은 지역일수록 지역특화 정도도 높게 나타난다. 이는 산업의 집중과 산업의 효율성 간에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중국의 광고산업이 지역별로 다극화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북경시를 중심으로 하는 거대한 발전축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해시, 강소성, 절강성을 중심으로 하는 또 하나의 발전축이 형성되고 광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발전축이 형성되고 있다. 셋째 중부지역과 서부지역의 광고산업이 비록 상대적 효율성은 크게 높지는 않지만 지역특화 정도는 높게 나타나는 지역들이 있다는 점은 향후 발전 잠재력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의 전통문화원소 분석 (Analysis on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of the Chinese Animated Film Big Fish & Begonia)

  • 도궈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65-172
    • /
    • 2019
  •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새로운 시도로 시장의 표현이든 예술 창작이든 모두 한 단계 진보한 것이다. 최근 10년간의 창작 과정에서 <나의 붉은 고래>는 중국 신화의 전설을 깊이 파헤쳐 현대 예술과 결합시켜 표현했다. 본 연구는 영화 속 중국 전통문화 요소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아 캐릭터 디자인, 장면 디자인, 민족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 <나의 붉은 고래>의 전통문화요소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영화가 더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본다. 현대예술을 중국 전통문화와 융합시켜 민족문화의 특색을 살리는 것 등이다. 바로 <나의 붉은 고래>에 중국 문화코드가 많이 녹아 있고, 정교하게 설치돼 있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영화 <5일의 마중>으로 본 현대 중국 비극 영화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Chinese Contemporary Tragic Films - Focused on the film -)

  • 우잉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5-73
    • /
    • 2021
  • 본 연구는 영화 <5일의 마중>의 줄거리와 결말 설정에서의 구체적인 표현을 분석하며, 정치적 환경에 직면하여 감독의 문화적 화합의 비극적인 서사 전략을 분석하여 현대 중국 비극 영화의 비극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중국 전통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식 비극 특성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화 <5일의 마중>은 문화대혁명 배경으로 한 현대 비극 영화이다. 영화에서는 남자 주인공이 시대에 대한 타협과 사랑에 대한 남다른 수호를 통하여 중국식 비극 특성을 표현하였다. 이 영화는 현대 중국 비극 영화의 대표작이다. 영화의 줄거리는 숙명론, 낙천지명(樂天知命) 등 중국 전통 윤리사상을 묘사하며, 또한 남자 주인공의 사상 변화 묘사를 통하여 중국의 전통 윤리 사상 중의 고유한 비극 특성을 해석하였다. 결말 설정 측면에서는 영화가 중국의 전통적인 비극 중의 해피엔딩의 패턴을 돌파하며, 끝까지 슬퍼하는 열린 결말을 선택하여 현대 중국 비극 영화의 시대적 특징을 더욱 살렸다. <5일의 마중>은 비극 영화로 하여 독특한 완곡함과 온정이 드러났다. 이는 중국 강권 정치 문화와의 타협 때문만이 아니라 중국식 비극의 미학에 대한 감독의 이해와 관련이 된다. 동양의 감정 표현 구조와전통 유가의 윤리적 표현에서 비롯된 이러한 이성은 영화의 서사 구조에서 지대한 장력을 형성하였다. 영화 언어의 상징 기호를 사용함으로써 비극적 미적 감각에 영화 서사의 함축적 특징을 형성하였는데, 이러한 함축성 또한 현대 중국 비극 영화만 고유한 것이다. 또한 장이머우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비극적 의식을 표현하고, 문화적 화해를 통해 비극적 서사 전략을 구사하며 정치적 탄압 속에서 예술적 돌파를 추구하는 자신의 창작 지혜를 보여주었다.

문화적 유사성이 의료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Similarity Effects on the Industry of Medical Tourism)

  • 장준;이훈영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호
    • /
    • pp.67-76
    • /
    • 2018
  • Purpose - With the worldwide aging problem and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customers prefer to seek affordable medical services with the higher quality overseas. This new trend has urged some destination countries to improve their services for the more competitive advantages over other countries. Literature research indicate that medical quality and cost may b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global patients' decision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however, medical tourism destinations are selected due to cultural similarity between the hosting country and the customers' own country. The more similarity perceived between the two countries leads foreign patients to choose the considering country as the destination for medical tourism.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topic. Thus, we empirically investigate how cultural similarity influences Chinese medical customers' choice of the destinations. We also consider the factors related to medical competency and travel attribute which might affect customers' decisions along with some moderating roles of disease typ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proposed a research model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 among different variables of cultural similarity, medical competency, travel attractiveness, disease types, and destination choice. The questionnaire survey is processed in the more economically developed regions of China such as Beijing, Shanghai, and Jiangsu. Conditional logit regression i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of 881. Results - Results indicate that cultural similarity is the important predictor of Chinese customers' decision to select a medical country. However, the effects of cultural similarity vary according to the disease types. We also find that medical competency and travel attractiveness influence their decisions with the moderating role of disease types. Conclusions - Cultural similarity is the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Chinese potential medical tourists' decisions to select a destination. Marketing managers should consider the effects of cultural similarity when developing strategies for attracting Chinese medical tourists. Since medical competency and travel attractiveness are still the critical key elements for them to evaluate the destination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medical service quality and facilities. The results also recommend that medical managers should sharpen their marketing strategies by segmenting Chinese potential customers in terms of disease types.

한·중 문화관광산업 비교 연구 - 지역 문화관광상품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local cultural tourism products -)

  • 황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97-10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의 다양해진 문화관광산업에 대해 개념 정리를 하고 이를 통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관광산업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중 양국의 문화관광산업의 특징으로 공연, 테마파크, 축제, 박물관 등 유사한 문화관광 형태를 보였으며, 한국은 한류문화관광이라는 특유의 문화관광 형태가 있었고, 중국 또한 한국에서 희소한 문화예술 단지를 세워 문화관광을 발전시켜 왔다. 한국 문화관광산업의 강점은 문화자원이 풍부하며 문화적 내용을 담은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국 문화관광산업의 강점은 풍부한 관광자원과 거대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유사점이 많은 한·중 양국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는 문화관광산업에 많은 관심과 가능성이 높은 나라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문화관광산업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국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부단한 노력과 관심, 그리고 그에 합당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관객과 소비자 관점에서의 중국 K-pop 팬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inese K-pop Fando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and Consumers)

  • 소하미자;장웅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1-64
    • /
    • 2021
  • K-pop 팬덤 중 중국 팬들은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의 상대적 유사성으로 인해 K-pop 산업에 있어 매우 강한 소비력을 갖는 오래된 소비자 집단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K-pop 팬덤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부진한 실정인데, 있다 하더라도 K-pop 제작자 혹은 생산자의 입장에서 기술된 연구가 많아, 관객이자 소비자인 중국인 팬들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연구는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심층 인터뷰 및 참여관찰을 통해 K-pop의 관객이자 소비자인 중국 팬들의 팬덤 경험을 톺아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 팬들의 심리적 특성과 행위적 특성, 그리고 격동하는 외부환경에 대한 팬들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들의 입장에서 K-pop 문화의 발전에 관한 기대와 의견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K-pop 문화와 산업의 발전에 있어 주체적 개인으로서의 팬(independent fan)과 상호의존적 집단으로서의 팬덤(interdependent fandom)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팬들과 K-pop 아티스트, 그리고 기획사/소속사 간의 소통 및 신뢰의 구축을 촉진하는 기획사/소속사의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로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