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haracter Writing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196초

웹 기반의 한자 쓰기 시스템 (Learning System for Writing of Chinese Character based on WEB)

  • 권훈;곽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8-136
    • /
    • 2008
  •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어의 70% 이상이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자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히 한자의 독음과 뜻 뿐 만이 아니라 정확한 획순에 의해 올바로 한자를 쓰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사용자의 학습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적들과 인터넷을 이용한 콘텐츠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한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단순한 독음과 뜻만을 제시하고 학습하는 곳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서적들은 획순에 의한 한자 쓰기 학습을 적용하고 있으나 획일적인 반복만을 강조함으로써 학습효과가 높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을 통하여 인터넷상의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토록 하며, 한자의 독음 및 뜻과 함께 필순에 의한 쓰기 기능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의한 학습 상황 관리 및 한자 학습에 있어서 정확한 읽기와 쓰기를 이해함으로써 학습 효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자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위한 한자쓰기인식기능개발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Writing Recognition For Chinese Character Edutainment Contents)

  • 박화진;민소영;이하나;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29-536
    • /
    • 2009
  • 한자교육의 중요성이 증폭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한자 에듀테인먼트콘텐츠제작의 관심도가 높아가고 있다. 최근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수동적 교육에서 탈피하여 게임과 더불어 체험을 하며 배우는 교육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 멀티미디어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여 웹기반의 어린이를 위한 한자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제작한다. 특히 한자를 익히는데 있어서 쓰기교육이 중요하므로 획순에 따른 한자쓰기인식기능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외곽선영역기반의 쓰기 시스템과 달리 획 자체의 쓰기를 인식해서 특징점을 추출한 후 미리 저장된 기준점과 비교하여 잘 썼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 PDF

Designing Education Contents for Chinese Character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IoT)

  • Jung, Sugkyu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2호
    • /
    • pp.24-32
    • /
    • 2016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aching materials and the demand of digital learners have led the needs on the education contents that replace learning from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change of an information design method for thi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traditional schooling mainly focuses on writing and memorization (semantic memory). This way that the stories do not exist has brought the learners' recognition that Chinese character is difficult to learn. Meanwhile, for a language study such as English, cross-media development between printed materials and audio-visual materials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The method that extends episode memories along with memorization through a story is widely used. Therefore, this content suggests a prototype, which is broken away from an existing way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 that mainly focuses on writing, one sided instruction and information cramming. This makes learners learn through a story from printed materials and animation. Furthermore, it suggests a method that extends episode memories through Chines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IoT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 by combining IT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oT) and education contents on block toys.

기인체(記人體)와 표목(標目)의 연결방안(連結方案) (Approach Method of Heading in Korean (Hangul) and Body of the Entry)

  • 김치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1-177
    • /
    • 1984
  •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KCR (Korean Cataloging Rules), all headings should be done in Korean. But due to the existence of homonym, aris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 both of them are used in Korea,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original Chiness character of author's name. Therefore, a method to correctly distinguish the Heading in Korean by co-writing Chinese character for headings in Korean character in the author space of body of the entry is presented.

  • PDF

『강희자전(康熙字典)』과 한국 한자(漢字) 자형(字形)의 영향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angxizidian(康熙字典)』 and Chinese character's shapes used in Korea)

  • 김영옥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401-418
    • /
    • 2017
  • 본 연구는 청대(淸代) 강희제(康熙帝)의 칙명(勅命)으로 제작된 자전(字典)인 "강희자전(康熙字典)"의 한자(漢字) 자형(字形)이 조선 후기 및 그 이후 현대까지 한국의 한자(漢字) 자형(字形)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며, 그것이 한국한자학사(韓國漢字學史)와 자형학(字形學) 연구에서 가지는 의의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희자전"은 영조(英祖) 5년(1729년)에 조선에 유입되어 조선의 한자 자형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육부에서 2000년에 수정하여 제시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 표기 기준으로 '강희자전의 자형을 기본으로 한다.'고 명시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이, 현대까지도 그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하지만 "강희자전"과 역대의 한국 한자(漢字) 자형(字形)과의 영향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과 그것의 의의를 탐구하는 연구는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자료를 보강하면서, "강희자전"이 한국의 한자 자형에 미친 영향과 의의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강희자전"의 정자(正字) 제시 원칙과 방법의 구체적인 사례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강희자전"이 조선에 유입된 이래로 조선 후기 및 현대까지 한국의 한자 자형에 미친 영향의 구체적인 내용 파악 및 그것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 연구가 앞으로의 한국 한자 표준 자형 선정에 대하여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Comparative Study of Aphasics' 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Hangul and Hanja

  • Kim, Heui-Beom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289-293
    • /
    • 1996
  • In Korean, as with Kana and Kanji in Japanese, two kinds of word-writing systems--Hangul (the Korean alphabet) and Hanja (the Chinese character; Kanji in Japanese)--have been and still are being used. Hangul is phonetic while Hanja is ideographic. A phonetic alphabet represents the pronunciation of words, wheras ideographs are where a character of a writing system represents a concept. Aphasics suffer from language disorders following brain damage. The reading and writing of Hangul and Hanja by two Korean Broca's aphasics were analyzed with two goals. The first goal was to confirm the functional autonomy of reading and writing systems in the brain that has been argued by other researchers. The second goal was to reveal what difference the subjects show in reading and writing Hangul and Hanja. As experimental materials, 50 monosyllabic words were chosen in Hangul and Hanja respectively. The 50 word pairs of Hangul and Hanja have the same meaning and are also the most familiar monosyllabic words for a group of normal adult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The errors that the aphasic subjects made in performing the experimental materials are analyzed and discussed here. This analysis has confirmed that reading and writing systems are located in different parts in the brain. Furthemore, it seems clear that the two writing systems of Hangul and Hanja have their own respective processes.

  • PDF

웹 기반의 한자 쓰기 교육 시스템 (A Web-based Chinese Characters Training System)

  • 이혜선;권훈;김정희;이상준;곽호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2-295
    • /
    • 2006
  • 우리가 현재 구사하고 있는 단어의 70% 이상이 한자로 되어 있는 만큼 무엇보다도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한자 교육의 필요성은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히 한자의 독음만이 아닌 한자를 정확히 쓰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서적들과 인터넷을 이용한 콘텐츠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을 이용하여 개발되어진 한자 교육을 위한 콘텐츠들은 대부분 한자의 독음과 해석만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자 쓰기에 대해서는 한자를 출력해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지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한자 쓰기에 대한 비중이 많이 미약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한자 쓰기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직접 한자를 써 보고, 그에 따른 학습 진도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웹을 이용하여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처방명 연계를 위한 유니코드 한자 기반의 한글-한자 매핑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pping the Unicode based Hangul-Hanja for prescription names in Korean Medicine)

  • 전병욱;김안나;김지영;오용택;김철;송미영;장현철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33-139
    • /
    • 2012
  • Objective : UMLS is 'Ontology' which establishes the database for medical terminology by gathering various medical vocabularies representing same fundamental concepts. Method : Although Chinese character are represented in the Chinese part of Korean Unicode system in a computer,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is vary depending on Chinese input systems and Chinese writers' levels of knowledge. As the result of this, representation of Chinese writing in a computer will b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an old Chinese document. Therefor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hinese terminology and translated Korean is necessary in order to build Ontology for Chinese medical terms from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in a computer system. Result : This research will present 1:1 mapping information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the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with analysis of 'same character different sound' and 'same meaning different shape' in Chinese part of Unicode systems. Conclusions : Furthermore, the research will provide top-down menu of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term and Korean term in medical prescription with assumption of that the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has its own unique meaning.

침구학 교재에서의 한자사용 분석연구 (Study on the Chinese Character Use in Acupuncture & Moxibustion Textbook)

  • 채한;황상문;이병욱;양기영;이병렬;김재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87-194
    • /
    • 2010
  • Objectives : There has been a need for establishing operational curriculum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us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but it was not thoroughly recognized so far. Methods : We analysed the usage of unicode chinese characters of acupuncture & moxibustion textbook to recognize the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s for TKM studies as clinical perspectives. Results : It was found that 穴, 經, 鍼, 法, 寸, 部, 分, 刺, 下, 上, 中, 位, 氣, 陽, 灸, 脈, 陰, 治, 足, 主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20 chinese characters. We also showed that adequate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 should be designated for the more efficient education of TKM. Conclusions : This study was the first systematic approach to get essential and prerequisite chinese characters for the education of TKM especially for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The prerequisite characters by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KEET (Korean Medicine Education Eligibility Test), entrance exam to the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and textbooks, and educational curriculum of premed students.

CAI 응용프로그램 작성시 자료공유를 위한 한자 코드 체계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Sharing Codes Definition of Chinese in CAI Application Programs)

  • 고대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62-173
    • /
    • 1998
  • CAI 프로그램 작성시 자료 공유를 위한 한자 공통코드 정의를 위하여 주요 한자문화권 국가의 한자 코드에 대한 고찰 결과, 한자코드 정의시 발음순과 부수순을 혼용 및 동일 한자에 대한 간체자(중국 GB)와 이체자(일본 Shift JIS)의 개발, 사용이 많아 정체자(KSC 한국)간의 자료 호환시 적절한 변환 장치가 요한다. 발음순 원칙은 동차 이음어가 다른 코드로 인식되어 코드 영역의 낭비가 있고, 부수순 원칙은 자국의 두음법칙에 맞지 않으나 중복 코드를 방지할 수 있어 자료의 복원시 유리하다. KSC 제1수준과 제2수준 한자 영역은 학계 및 업계의 요구를 수용할 수준으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유니코드는 시스템의 호환, 확장에 유리하고, 다양한 문자 표현이 가능하여 교육목적 코드의 일시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