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abbage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27초

시설재배 토양의 질산태질소 검정에 의한 배추의 질소시비량 결정 (Nitrogen Recommendation Based on Soil Nitrate Test for Chinese Cabbage Grown in Plastic Film House)

  • 곽한강;송요성;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4-88
    • /
    • 1997
  • 시설재배조건하에서 토양의 질산태질소함량과 시용질소에 대한 배추의 수량반응 및 시비효율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의 $NO_3{^-}-N$함량은 배추의 수량 및 질소흡수량과는 유의한 정상관, 시비효율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어서, 시험전 토양의 $NO_3{^-}-N$ 310mg/kg정도 있으면 질소무비재배가 가능하였다. 질소시비량 추정회귀식에서 시험전토양의 질산태질소함량에 따른 배추의 질소시비량 추천식은 y=-1.424x+441.356(x:시험전토양의 $NO_3{^-}-N$, mg/kg, y:질소시비량 kg/ha)이었다.

  • PDF

The Properties of Livestock Waste Composts Tea Depending on Manufacturing Method and Their Effect on Chinese Cabbage Cultivation

  • Jang, Jae-Eun;Kang, Chang-Sung;Park, Jung-Soo;Kim, Sun-Jae;Kim, Hee-D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4
    • /
    • 2015
  • Livestock waste compost tea is a liquid extract of compost obtained by mixing livestock compost. In this study, som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ost tea depending on the kind of raw materials used were examined, and several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effects on Chinese cabbage cultivation were conducted. This experiment showed that livestock composts needed to be added into aerated water at the ratio between 1:100 and 1:10 (1 part compost to 10~100 parts water) to produce the high quality compost tea. Compost teas must be aerated more than 24 to 48 hours to be able to support aerobic organisms. In cultivation test with compost teas, swine manure compost teas were made by the extracting ratio of 50x, in the aerated condition for 24 hours in water and oil cake in the extracting ratio of 100x were added as supplements. Following the input of oil cake,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and aerobic bacteria increased. Anoth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swine manure compost teas on plant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The fresh yield of Chinese cabbage was higher in the fertigated plots by compost tea with oil cake compared to those of N, $P_2O_5$, $K_2O$ fertilization plot with chemical fertilizer by soil test recommendation (Fert. NPK). The effect of compost tea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wa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increased number of microorganisms as well as nutrients.

Growth Performance of Chinese Cabbage using Soilless Cultivation Method

  • Keefe, Dimas Harris Sean;Yoon, Sangjin;Kwon, Soonhong;Kwon, Soongu;Park, Jongmin;Kim, Jongsoon;Chung, Songwon;Choi, Wonsi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5-60
    • /
    • 2019
  • Growing plant in potting media without soil is known as Soilless cultivation. This method is used mostly in greenhouse cultivation to increase hort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Peat moss is commonly utilized as potting media substrate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However, peat moss price is high because of the quantity of peat moss in nature has been decreased. Recently, most of the research is conducted to find the alternative growing medium to cultivate horticulture plant in potting media. Perlite and rice husk ash were mentioned that had a potent as alternative growing media for seasonal plants to increase agriculture production due to the lack of production area.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growth of in rice husk ash, perlite and peat moss as growing substrates. The method used was the soilless cultivation. The chinese cabbage was planted in the pot with perlite media, rice husk ash media, and peat moss media. The chinese cabbage was measured after 35 days after planting. The result showed that peatmoss was more potentials in chinese cabbage growth performance than rice husk ash and perlite. Peat moss had the significant result of every research parameters such as plant height, plant weight, number of leaves, plant diameter, root length, and root weight. The best alternative for cultivation chinese cabbage without substrate based on this research was peat moss then rice husk ash and perlite.

필름코팅 소재들이 배추 종자의 발아 및 활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ilm-coated Material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of film-Coated Chinese Cabbage Seeds)

  • 강점순;김현도;이정은;제병일;이용재;박영훈;최영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41-105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or extenders, adhesives, colorants, and fungicide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film-coated seeds of Chinese cabbage. In addition, the effect of various additives used for film coating on the germination of coated seeds and seedling vigor was investigated to establish appropriate treatment conditions for film coating efficiency. The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speed in Chinese cabbage film-coated see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extender, while the use of Talc resulted in superior granulation capacity and adhesion of the seed coat in comparison to Zeoli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rmination rate depending on the type of adhesive used for film coating of Chinese cabbage seeds, but the germination rate was slightly slower in the film-coated seeds using carboxymethyl cellulose as an adhesive. On the other hand, the seeds coated with a film using 1% PVA as an adhesive not only maintained hardness enough to withstand external pressure, but also showed a high germination rate. In addition, the suitable disinfectant for film coating was venoram, and the treatment concentration was good at 250 mg·L-1. The type of colorant used in the film-coated seeds of Chinese cabbag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ermination rate, germination speed, and seedling vigor. The seeds film-coated using the liquid colorant were superior in appearance to the seeds film-coated with the solid colorant,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in the manufacturing costs by using the water-soluble paints as colorants for film-coated seeds.

고랭지 배추재배를 위한 뿌리혹병 저항성 품종선발 (Screening of Resistant Chinese Cabbage Cultivar against Clubroot (Plasmodiophora brassicae) for Cultivation in Highland)

  • 윤철수;정은경;이상준;장연;이재은;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59-65
    • /
    • 2010
  • 본 연구는 53의 배추품종 및 계통에 대한 고랭지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원예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십자화과 작물 재배지역에서 심각하게 발생하는 배추 뿌리혹병에 저항성인 배추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4개 품종의 배추와 19개 계통의 배추를 배추뿌리혹병원균으로 오염된 고랭지 포장에 정식하였다. 정식 30일 후에 내서성 및 지상부 뿌리혹병 발생에 의한 시들음 조사를 하였고, 정식 60일 후에 뿌리흑병 지하부 발생조사, 품종 및 계통 별 수량성을 알아보고자 생체중을 측정하였다. 정식 30일 후 내서성 및 뿌리혹병에 대한 지상부 시들음 조사에서 '불암플러스', '강력여름배추' 품종과 'SP-02', 'SP-05', 'CR DB 29', 'CR DB 50' 계통이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60일 후 뿌리혹병 발병률에 대한 지하부 조사에서는 '대통 품종', 'Super CR Kimi 85 품종', 'super CR Hiraki' 품종이 뿌리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식 60일 후 품종별 생체중 조사에서는 'Super CR Hiroki' 품종이 생체중 2,500 g이상으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월등히 좋았다. 배추정식 초기인, 정식 후 30일 지상부의 시들음 조사에서 저항성품종으로 조사된 성적과 정식 후 60일 뿌리혹병에 대한 지하부 저항성 조사 성적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배추품종으로 'Super CR Hiraki', ' Super CR Kimi 85', 'CR 장군'이 배추 계통으로 'CR DB 29', 'CR DB 50'이 내서성 및 뿌리혹병 발생에도 저항성을 보였으며 아울러 원예학적 특성 중 생체중에 대해서도 윌등히 우수하여 강원도 고랭지 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배추의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 of Myzus persicae (Homoptera: Aphididae) at Chinese Cabbage)

  • 전흥용;강택준;김형환;양창열;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7-411
    • /
    • 2008
  •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접종밀도에 따른 진딧물의 밀도 증가가 배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을 배추정식 후 10일에 포기당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한 경우 접종 후 18일의 복숭아혹진딧물의 밀도는 각각 92.3, 177.4, 406.9, 440.4, 471.3마리로 증가하였으며, 배추의 생체중은 복숭아혹진딧물의 무처리, 2, 5, 10, 15 및 20마리 접종구에서 각각 602.0, 264.2, 262.0, 109.3, 151.0, 67.3 g으로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의 생체중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생밀도와 배추의 생체중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진딧물의 누적발생일수(cumulative aphid days)와 배추 생체중과의 관계식을 구한 결과 비선형의 대수모형에 잘 적용되었다. 이 관계식에서 경험적인 수익한계(gain threshold) 5%와 봄 배추 상품율(92%)을 감안하여 복숭아혹진딧물 5마리가 5일 동안 흡즙하여 13%의 수량감소를 유발시킨 경제적 피해수준을 추정한 결과 CAD 값이 25가 되었다. 또한 요방제밀도는 경제적 피해수준의 80%가 되는 CAD 값이 20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봄 배추 생육초기에 복숭아혹진딧물의 요방제 밀도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부추김치와 배추김치 발효양상 (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 안순철;김태강;이헌주;오윤정;이정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4-238
    • /
    • 2001
  • 배추김치와 부추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circ}C$$10^{\circ}C$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의 총 균수, 젖산균 수, pH 및 총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한 배추김치의 경우 총 균수와 Leuconastoc속과 Lactobacillus속 젖산균 모두 발효 초기인 2일째에 최대에 도달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그러나 $2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Leucanostoc속은 발효 3일째에 최대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였지만 Lactobacillus속은 발효 15일 이후까지 그 균수가 유지되었다. $10^{\circ}C$에서 발효한 경우에는 배추김치, 부추김치 모두 $20^{\circ}C$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Leuconostoc속과 Lactobacillus 속의 균수가 서서히 중가하다가 감소하였다. pH 변화는 배추김치 경우에는 3일 후에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부근에 도달한 후 발효 5일째에 3.5 까지 낮아져 그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나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발효 10일째까지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circ}C$의 경우 배추김치는 6일 후 pH 4.2 정도였으나 부추김치는 24일 후에도 pH 4.2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발효 기간에 따른 총 환원당의 함량은 배추김치와 부추김치 모두에서 발효초기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감소정도가 매우 완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젖산균의 종식이 더디어 배추김치에 비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됨을 알았다.

  • PDF

계분퇴비 시용시 고랭지 배추에 대한 질소 시비량 결정 (Determination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 for Chinese Cabbage with Application of Poultry Manure Compost in Highland)

  • 이춘수;신관용;이정태;이계준;안재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80-289
    • /
    • 2003
  • 표고 750 m인 고랭지 사질양토에서 계분퇴비(N 2.0%, $P_2O_5$ 3.5%)를 $6Mg\;ha^{-1}$ 시용한 조건에서 여름배추에 대한 질소 시비 추천모델의 설정과 추천모델에 의한 질소 비료의 절감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계분퇴비 시용 시 최고수량 생산을 위한 질소 최고시비량은 $291kg\;ha^{-1}$이었으며 안전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74kg\;ha^{-1}$로 나타났다. 이러한 질소 시비수준은 계분퇴비 무시용 시의 최고시비량인 $335kg\;ha^{-1}$에 비하여 각각 0.87 및 0.60배에 해당한다. 산출된 시비배율을 현행 평난지 조건의 시비추천식에 대입하여 고랭지조건에 적합한 새로운 시비추천식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고랭지 배추재배지의 평균 유기물 함량인 $33g\;kg^{-1}$을 적용해 보면, 계분퇴비 시용 시 질소 시비량은 최고 $215kg\;ha^{-1}$, 최저 $129kg\;ha^{-1}$로 현행 시비량에 비해 최고 59.7%, 최저 32.8%의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분퇴비 시용 시 최고수량을 생산한 질소 시비구에서는 계분퇴비 무시용구에 비하여 결구기와 수확기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과 수확기 배추 경엽의 질소, 인산 및 칼리 함량과 이들의 흡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질소 이용률을 10% 이상 높일 수 있었다.

항생제와 제초제가 배추 자엽 및 배축 절편체로부터의 신초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iotics and Herbicide o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of Chinese Cabbage)

  • 강병국;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17-21
    • /
    • 2001
  • 배추(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형질전환 세포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선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kanamycin, hygromycin, carbenicillin, cefotaxime등 4가지 항생제와 제초제 phosphinotricin가 자엽 및 배축 절편체로부터의 신초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엽절편체는 kanamycin $1mg{\cdot}L^{-1}$처리에서 신초형성에 아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2mg{\cdot}L^{-1}$ 처리부터 형성수가 감소하여 $6mg{\cdot}L^{-1}$ 이상 처리구부터는 신초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배축 절편체도 자엽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어 kanamycin의 경우 $7mg{\cdot}L^{-1}$의 농도가 배추 형질전환체의 선발에 적당하다고 생각되었다. Hygromycin은 $4mg{\cdot}L^{-1}$ 처리부터 신초형성을 억제하여 배추형질전환을 위하여 낮은 농도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발 마커로 생각된다. Cephalosporin type의 항생제인 carbenicillin과 cefotaxime은 신초형성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아 배추 절편체에 독성을 주지 않는 결과를 보여 주어, Agrobacterium과의 공동배양 후 이를 제거하는데 적당한 항생제라 할 수 있었다. 제초제인 phosphinotricin의 경우 $1mg{\cdot}L^{-1}$ 처리부터 신초 형성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2mg{\cdot}L^{-1}$ 이상부터는 완전히 억제되어 항생제와 더불어 형질전환 세포의 선발에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배추는 다른 배추속의 작물과 비교할 때 신초 재분화가 어렵기 때문에 비록 escape율이 높아진다고 해도 낮은 농도의 항생제나 제초제를 사용하여 선발압을 낮추어 주는 것이 형질전환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 PDF

Evaluation of Clubroot Resistance in Chinese Cabbage and Its Inheritance in the European Turnip Line 'IT033820', a New Genetic Resource

  • Cho, Kang Hee;Kim, Ki Taek;Park, Suhyung;Kim, Su;Do, Kyung Ran;Woo, Jong Gyu;Lee, Hee Ja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433-441
    • /
    • 2016
  • Clubroot caused by the protist Plasmodiophora brassicae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diseases of Brassica crops. Develop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with durable clubroot resistance (CR) is an important goal of breeding programs, which will require new genetic resources to be identified and introduc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resistance to P. brassicae race 4 using 26 Chinese cabbage (B. rapa ssp. pekinensis ) cultivars compared to the clubroot-susceptible Chinese cabbage inbred line 'BP079' and the clubroot-resistant European turnip (B. rapa ssp. rapifera ) inbred line 'IT033820'. No symptoms of clubroot disease were found in 'IT033820' infected with P. brassicae race 4, whereas the Chinese cabbage cultivars exhibited disease symptoms to various degrees. The Chinese cabbage cultivars that were reported to be clubroot-susceptible were susceptible to P. brassicae race 4; however, seven of the 20 cultivars reported to be clubroot-resistant were susceptible to this race of P. brassicae to varying degrees. Resting spores of P. brassicae were abundant within the infected root tissues of 'BP079', as revealed by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but they were not detected in root tissues of 'IT033820'. Although resting spores were not detected by light microscopy in root tissues of the clubroot-resistant Chinese cabbage cultivar 'Kigokoro 75', a few spores were observed by SEM. The $F_1$ hybrids from a cross between 'IT033820' and 'BP079' showed no disease symptoms, and all $BC_1P_1$ progenies from a cross between the $F_1$ hybrid and 'IT033820' exhibited a resistance phenotype. In the $BC_1P_2$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the $F_1$ hybrid and 'BP079', this trait segregated at a ratio of 3(R):1(S) (${\chi}^2=1.333$, p = 0.248) at a 5% significance level. Inoculated $BC_1P_2$ plants were either highly resistant or highly susceptible to the pathogen, indicating that the CR to race 4 of P. brassicae carried by 'IT033820' is dominant. In the $F_2$ population, this trait segregated at a ratio of 15(R):1(S) (${\chi}^2=0.152$, p = 0.696) at a 5% significance level, suggesting that CR in 'IT033820' is mainly controlled by two dominant genes. Therefore, 'IT033820' represents a promising genetic resource for developing durable CR breeding lines in Chinese cabb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