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do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8초

진도 남도석성의 주거환경특성에 관한 기초조사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at Namdo Castle in Chindo)

  • 임만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23
    • /
    • 2004
  • Namdo castle located in Namdong-ri, Imhoi-myon, Chindo-kun Cholla South Province is 610 meters long 5.3 meters high, and 20,000 square meters wide. This castle hasn't an accurate built year record. But there is still a great possibility of its having been built in the Sam-kuk (Three Kingdoms) era (around A.D. 300∼700). This castle seems to have been enlarged after 1438 because Manho-pu (lower unit of government office in Chosun dynasty) in Namdopo first appeared in the 20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e main office, guest rooms, official residency of the castle were remov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land of the castle was sold separately for housing in the name of liquidation of Korean history. Thus, the Namdo castle that served as a naval base to defeat the Japan-based pirates' invasions throughout the Chosun period disappeared. As of Oct. 2000. 28 houses including a town hall occupy the site of the castle and are expected to be removed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program of the castle. In this thesis, I'd like to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in the site of the castle. To figure out the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program. I interviewed a few relating public officials in Chindo County Offic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I surveyed the residents for the surrounding of housing.

Marine Harpacticoid Copepods of Chindo Island, Korea

  • Sung Joon Sung;Cheon Young Ch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65-77
    • /
    • 1995
  • 1993년 10월 23-24일과 1994년 7월 23-25일의 2회에 걸쳐 진도의 7개 지소에서 채집한 해양 하르팍티쿠스류를 검토한 결과 6과 8속 9종 및 아종이 동정되었다. 이 중 6종[Tachidius (Tachidius) discipes Giesbrecht, 1881; T.(Neotachidius) triangularis Shen and Tai, 1963; Scutellidium longicauda acheloides Ito. 1976; Alteutha depressa(Baird, 1837); Amonardia normani(Brady, 1872); Onychocamptus bengalensis(Sewell, 1934)]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으로, 분류학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진도의 게류(갑각상강: 십각목) (The Brachyuran Crabs (Crustacea ; Decapoda) of Chindo Island , Korea)

  • Won Kim;Sa Heung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4호
    • /
    • pp.497-508
    • /
    • 1995
  • 진도에 서식하는 게류의 종류상에 10종(Nobilum japonicum japonicum,Paradorippe granulata, Pilumnus minutus, Carcinoplax vestitus, Eucrate crenata. Uca lactea. Ilyoplax pingi. Nanosesarma gordoni. A Achaeus tubercula tus. Parthenope validus)이 새롭게 추가된다. 과거 진도 근해에서 알려진 36종의 게류를 포함한 총 46종에 대한 분류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 바위 게과 2종인 Hemigrapsus longitarsis와 Sesarma erythrodactyla는 도판 과 함께 재기재 하였다.

  • PDF

전남 진도의 위생 절지동물상 (Fauna of Arthropods of Medical Importance in Chindo Island , Korea)

  • han-II R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87-100
    • /
    • 1995
  • 1994년 7월 전라남도 진도에서 위생절지동물상을 조사하였다. 모기는 8종이 채집되었는데 그중 일본뇌염 매개종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우점종이었다. 신종으로 보이는 Cluex sp. 유충이 채집되었는데 명명은 성충이 채집되지 않아 보류하였다. 깔따구는 모두 11속 23종이 채집되었는데 그 중 Cladopelma viridula(녹색사촌무깔따구, 신칭), Dicrotendipes septem-maculatus(여섯점갈래깔따구, 신칭) 및 Harnischia urtilamellata(혹무깔따구, 신칭)는 한국 미기록종이어서 자세히 재기재하였다. 깔따구류중 우점종은 안개무늬날개깔따구(Chironomus kiiensis)이었고(67.3%), 노란털깔따구(Ch. flaviplumus)가 그 다음이었다(15.6%), 등에모기는 모두 5종이 채집되었고 그 중 Culicoides punctatus가 88.7%로 우점종이었다. Foreipomia sp.도 채집되었는데 이 속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다. 들쥐 채집결과는 등줄쥐(Apodemus agrarius)가 높은 밀도를 보였고 등줄쥐에 기생하는 외부기생 절지동물로 Leptotrombidium orientale, Ixodes nipponensis, Laelaps jettmani, Eulaelaps stabularis 등이 동정되었다.

  • PDF

이벤트관광의 성장과정과 활성화 방안 -전남 진도 영등제를 사례로-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Event Tourism in the Case of Young-deung Festival at Chindo)

  • 추명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3-134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이벤트관광으로 성장한 진도 영등제를 사례로 최근 지역개발 및 관광정책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벤트관광의 성장과정과 활성화 방안을 관광지리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1998년 현재 21회를 맞이한 영등졔는 영등살에 바닷물이 빠짐으로써 나타나는 장소적 매력요인이 다른 지역축제와 뚜렷하게 차별화된다는 점과 원형에 가깝게 전송되어 온 다양한 무속 및 민속문화 자원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그 개발 잠재력이 매우 높은 축제이다. 1978년도부터 개최되기 시작한 영등제는 프로그램과 예산, 참가인원 및 관광수익등 규모면에 있어서 꾸준한 성장을 보여왔다. 개최기간도 1회의 당일 개최에서 3일로 연장되었고, 관공세력권도 꾸준한 확대되어 원거리의 수도권에 거주하는 관광객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영등제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영등제가 열리는 장소의 매력성을 이용한 지역이미지 창출, 민간주도형 추진체제의 강화, 적극적인 경영마인드의 도입, 진도군 주변관광지와의 연계방안, 지속적인 관광객 분석을 통한 시장세분화 등이 필요하다.

  • PDF

진도의 물진드기

  • 정경숙;김일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27-37
    • /
    • 1995
  • 진도의 2개지점에서 채집한 물진드기를 조사하였는데 이들은 다음의 6과 6속 7종이다. Hydrodroma despiciens despiciens (Mller), Sperchonopsis verrucosa verrucosa(Protx), Torrenticola (Torrenticola) nipponica (Enami), Hygrobates (Hygrobates) longipalpis (Hermann) , Unionicola (Unionicola) crasipes minor (Soar), Aturus glanerus Kim and Chung. Bharatalbia (Japonalbia) ibarakiensis Imamura. 이 중에서 Hydrodroma desspiciens despiciens Torrenticola nipponica. Hygrobates longipalpis. Bharatalbia ibarakiensis 는 한국내 미기록종이다. 채집된 물진드기의 종 구성과 분포가 알려주는 몇가지 사실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PDF

무주군 진도리의 생태마을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village Planning in Chindo-ri, Muju-kun)

  • 장원;김경화;최귀선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141-146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Eco-village centering around Chindo-ri, Muju-kun. The Eco-village project has three basic objects the Eco-village residents' lives adapting to ecological principles such as regeneration and circulation, life agricultural techniques based on organic cycle, and residents' harmonious lives with the surrounding nature. For constructing of the Eco-village, first, the subject area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n, on this analytic ground the concrete concept and the specific plan were set up. The following details also should be considered: the scale of the residential household, the population,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village, the material cycling structure, the waste treatment, the purification of the sewage, the energy supply, the landscape architecture, the production activity, the conservation of the ecosystem and so on.

  • PDF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1-264
    • /
    • 1992
  •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 군집구조 그리고 요인분석으로써 황해 동남 해역에 분포하는 수괴의 시공간적 변동 및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요각류인 Undinula darwini, Lucicutia flavicornis, Pleuromamma gracilis와 모악류인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 종으로, Euchaeta russelli 와 Euchaeta plana는 난류성이나 내성이 강하여 분포 범위를 넓게 가지는 종으로, Sagitta wassa는 연안성 종으로, Sagitta bedoti는 혼합성 종으로 그리고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 종으로 특성 지어졌으며, 이들의 분포로써 수괴를 분석하였다. 2월의 경우, U. darwini, L. flavicornis, P. gracilis, E. russelli, E. plana 그리고 S. enflata가 출현하는 제주도 서방, 수온 $14^{\circ}$ 이상인 해역이 쿠로시오 난류 수괴로, 수온 $10^{\circ}$이하이며,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해역이 황해 냉수괴로 나타났다. E. plana와 E. russelli가 소량 출현하며, 혼합성 종인 S. bedoti가 출현하는 수온 $12-14^{\circ}$인 제주도-진도간 해역은 혼합 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경우, 수온 약층을 경계로 하여 0-20m층과 20m- 저층으로 분리하여 수괴를 분석하였다. 0-20m 층의 경우, E. plana와 E. russelli가 출현하는 대흑산도까지 난류가 미치며, 집괴 분석 및 수괴지표성 종의 분포로써 볼 때 수괴는 연안에서 외양으로 가면서 크게 대별되어졌다. 20m-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흑미 혼용밥의 취반조건과 텍스쳐의 변화 (Cooking Conditions and Textural Changes of Cooked Rice Added with Black Rice)

  • 김두운;은종방;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2-568
    • /
    • 1998
  • 흑미(진도흑미와 수원 415호)를 백미(동진)에 5%, 10% 혼용하여 취반하고 texture analyser와 color and color difference meter를 이용하여 혼용밥의 텍스쳐와 색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진백미는 침지 50분 후에, 진도흑미와 수원 415호는 11시간 이후에 평형수화시간에 도달하였다. 수화에 필요한 가수량은 1.6배가 적당하였으며, 이 때의 경도는 진도흑미를 5% 첨가한 혼용밥에서는 $5.66\;kg_f$이었다. 침지온도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원415호가 진도흑미 보다 색소용출속도가 약 4배 빨라졌다. 흑미 색소용출액의 pH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는데 수원415호가 $20^{\circ}C$에서 120분까지 침지시 pH가 6.40에서 6.16으로 낮아졌다. 흑미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가수율에 관계없이 혼용밥의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a값)는 증가하였다. 혼용밥을 7일간 냉장$(4{\pm}1^{\circ}C)$ 보관한 후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가열시 취반 직후의 텍스쳐로 회복되는데 90초에서 120초 사이가 적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