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a film festiva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중국 영화제에 나타난 레드 카펫 드레스의 미적 특성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d Carpet Dresses at the China Film Festival)

  • 이유가;김장현;김영삼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5호
    • /
    • pp.89-105
    • /
    • 2020
  • This study consider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red carpet dress in China film festival.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red carpet dress images collected from 2015 to 2019 on websites according to four criteria following previous research on red carpet dr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red carpet dress silhouettes showed that A-line silhouettes, slim silhouettes, and mermaid silhouettes appeared. Second, in terms of colors, one color, black, represented a higher proportion of the dress colors than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colors. Third, soft texture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of material textures, and combinations of materials with different textures were also used. In the case of patterns, the proportion of dresses without patterns was high, and natural patterns were found in the largest proportion. Beads and sequins accounted for most of the dress detail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various detail types such as embroidery, slits, ruffles, and belts were used in the red carpet dress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red carpet dresses worn at the China film festival were analyzed as sensual, elegant, decorative, and simple.

A Study on the Red Carpet Dress of Film Festivals in the Great China Region

  • Wang, Ling;Lee, Misuk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3호
    • /
    • pp.148-16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red carpet fashion design by examining the formativeness and fashion images of red carpet dresses at film festivals in the Great China Reg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methods include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red carpet 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film festivals in the Great China Region and their red carpet dresses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formative features and images of 615 red carpet dresses collected from each film festival official homepage, diverse media articles, and online search sites (www.google.com, www.hao123.com). The research find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ative features of red carpet dress designs were analyzed herein.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type of silhouette was straight followed by hourglass and bulk in order. More specifically these included fit and flare, mermaid, trapeze, and slim in order. For the neckline styles, strapless was the most frequently seen followed by camisole, jewel, and one shoulder. Solid colors were more often seen than multiple colors. Bk, W, R, and YR were the most frequent main solid colors in order. Solid materials were frequent as well, such as soft and shiny materials. Non-patterned and unadorned styles were most frequent as for pattern types and details and trimmings. Second, the fashion images of red carpet dresses in the Great China Region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 images were elegant, feminine, ethnic, modern, classic, avant-garde, others, mannish and sportive, in order.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생명자본의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ews of Vital Capital in Film )

  • 강병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5-88
    • /
    • 2021
  • 영화 <기생충>은 칸 영화제(Cannes Film Festival)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2020년 2월 아카데미 작품상도 받아 기념비적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평론가들은 이 영화를 격렬하게 뒤틀린 계급격차, 계급의 분노와 같이 계급(class)간 갈등을 주제로 논평한다. 영화 <기생충>은 마르크시즘(Marxism)의 정형화된 계급투쟁 구도보다 "악한이 등장하지 않는 비극", "문화로 체화된 내재적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주장한 기체화(substrate)된 현대사회의 계급관계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영화 <기생충>은 이념 대립이 과잉인 한국사회에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기생충>이란 키워드는 문화 콘텐츠가 아닌 정치권의 논쟁에서 차용된 경향도 발견할 수 있다. 기생충을 좌파 선동 영화라 치부하는 주장도 있지만 정작 사회주의가 국가이념인 중국에서는 개봉을 금지시켰다. 반면 이어령은 영화 <기생충>이 이분법적 시각으로 사회현상을 바라보지 않고 겹 시각(dual view)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주장하며 긴장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눈을 잃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은 생명자본론 (vital capitalism)에 기초한다. 생명자본론은 계급투쟁 갈등에서 역사발전 근인을 찾지 않고 생명이 가진 고유 특성 토포필리아(topophilia), 네오필리아(neophilia), 바이오필리아(biophilia)로 역사와 사회를 해석한다. 또한 문명 발전을 홉스 (Hobbes)의 포식주의 단계, 미셀 세르(Michel Serres)의 숙주-기생 단계, 마굴리스(Margulis)의 상호 기생, '상생'의 단계로 발전해왔다고 조망한다. 이 논문에서는 생명자본의 개념을 소개하고 문화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영화<기생충>의 내용 중 문화자본에서 주장하는 아비투스(habitus), 기초한 장(fields)의 개념으로 해석된 장면(차별, 취향, 교육, 기생)을 중심으로 생명자본적인 재해석을 시도한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문화자본론은 콘텐츠 해석에 있어 자기이해의 단일동기로 해석의 다양성과 우연성을 저감할 가능성이 높고 도식화된 해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속론 즉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자본주의의 속성은 연속된다는 주장은 새로운 하부구조(기술혁신, 생산성 증대)의 변화와 이에 의해 변화되는 사회관계와 개인의 역할을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화 <기생충(parasite)>을 텍스트로 선행연구들이 해석의 기초한 문화자본적 접근방법에 대응하여 생명자본의 해석적 대안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는 한국의 극단적 이념 풍토에 대한 대안의 시도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