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Hospital

검색결과 4,439건 처리시간 0.031초

Childhood Cancer Incidence and Survival 1985-2009, Khon Kaen, Thailand

  • Wiangnon, Surapon;Jetsrisuparb, Arunee;Komvilaisak, Patcharee;Suwanrungruang, Krittik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989-7993
    • /
    • 2014
  • Background: The Khon Kaen Cancer Registry (KKCR) was established in 1984. Previous population-based incidences and survivals of childhood cancer in Thailand were determined using a short cancer registration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retrieved of all children residing in Khon Kaen, between 0-15 years, diagnosed as having cancer and registered in the KKCR (1985-2009). The follow-up censored date was December 31, 2012. The childhood cancers were classified into 12 diagnostic group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Childhood Cancer. The incidence was calculated by the standard method. Survival of childhood cancer was investigated using the KKCR population-based registration data and overall survival calculated using the Kaplan Meier method. Results: In the study period, 912 newly diagnosed cases of childhood cancer were registered. The respective mean and median age was 6.4 (SD=4.6) and 6 (0-14) years. The age-peak for incidence was 0-4 years. The age-standardized rate (ASR) was 83 per million. Leukemia was the most common cancer (N=360, ASR 33.8) followed by neoplasm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N=150, ASR 12.8) and lymphoma (N=79, ASR 7.0). The follow-up duration totaled 101,250 months. The death rate was 1.11 per 100 person-months (95%CI: 1.02 -1.20). The 5-year overall survival was 52% (95%CI: 53-56.9) for all cancers. The respective 5-year overall survival for (1)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2) acute non-lymphoblastic leukemia (ANLL), (3) lymphoma, (4) germ cell tumors, (5) renal tumors, (6) retinoblastoma, (7) soft tissue tumors, (8) CNS tumors, (9) bone tumors, (10) liver tumors, and (11) neuroblastoma was (1) 51%, (2) 37%, (3) 63%, (4) 74%, (5) 67%, (6) 55%, (7) 46%, (8) 44%, (9) 36%, (10) 34%, and (11) 25%.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childhood cancer is lower than those of western countries. Respective overall survival for ALL, lymphoma, renal tumors, liver tumors, retinoblastoma, soft tissue tumors is lower than that reported in developed countries while survival for CNS tumors, neuroblastoma and germ cell tumors is comparable.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농약중독(農藥中毒)에 대한 역학적(疫學的) 조사(調査) (Epidemiology of Pesticide Poisoning in Kyungpook)

  • 정종학;조재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28-34
    • /
    • 1983
  • 농약사용량(農藥便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增加)하는 추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에 대한 역학조사(疫學調査) 보고(報告)가 없는 실정이다. 1981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2년간(年間) 경상북도(慶尙北道) 전지역(全地域)을 대상으로 의원(醫院), 병원(病院) 및 보건소(保健所)의 의무기록(醫務記錄)을 조사(調査)하여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를 파악하여 그 실태를 분석(分析)하였다. 1981년(年)에 765명, 1982년에 853명의 중독자(中毒者)가 발생(發生)하였다. 연령별(年令別)로는 20대(代)가 제일 많았고 성별(性別)로는 남자가 70% 여자가 30%였다. 중독경위별로는 직업적인 중독이 27.8%, 우연에 의한 사고(事故)가 5.6%였고 자살목적(自殺目的)이 66.6% 였다. 월별(月別)로는 6, 7, 8, 9월(月)에 발생(發生)이 많고 7월(月)이 제일 많고, 월평균(月平均) 67명이 발생(發生)하였다. 의료기관이용(醫療機關利用)은 개인의원이 49%, 병원이 43%였다. 치명율(致命率)은 직업적인 중독이 0.9%, 사고(事故)에 의한 중독(中毒)이 5.6% 자살목적(自殺目的)의 중독(中毒)에서 20.3%로 평균(平均) 14.1%였다. 인구 100,000 당 농약중독(農藥中毒) 발생(發生)은 년간(年間) 25.4였다.

  • PDF

우울 동반 여부에 따른 ADHD의 Rorschach 반응 특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RORSCHACH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ADHD WITHOUT DEPRESSION AND ADHD WITH DEPRESSION)

  • 이선미;이문숙;조은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2호
    • /
    • pp.174-182
    • /
    • 2003
  • 목 적: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이하:ADHD)로 진단 받은 아동들이 우울을 동반하였는지 여부에 따른 Rorschach 반응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 법:전주 D 소아정신과를 방문하여 정신과 의사와 임상심리학적 평가에 의해(DSM-IV 근거) 60명의 아동들(우울이 없는 ADHD 30명과 우울이 있는 ADHD 3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 간 Rorschach의 반응 특성을 t 검증과 ${\chi}^2$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우울을 동반하지 않은 ADHD 아동들은 m, M-, DV, (3r+(2)/R>.44 and Fr+rF=0, OR(3r+(2)/R>.33)=YES, pure H<2=YES, H+(H)+Hd+(Hd), FQ none, Sc 변인들에서 우울을 동반한 ADHD 아동들보다 의미 있게 반응을 많이 하거나 반응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을 동반한 ADHD 아동들은 p, H+(H)+Hd+(Hd), (Hd), M 변인들에서 우울을 동반하지 않은 ADHD 아동들보다 의미 있게 반응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의:우울을 동반하지 않은 ADHD 아동들은 충동적 사고 과정 특성을, 우울을 동반한 ADHD 아동들은 사고 중심적 문제 해결 방식을 고려하여 진단과 중재를 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고메티오닌혈증의 신생아 선별 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A Diagnostic Algorithm after Newborn Screening for Hypermethioninemia)

  • 김유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
    • /
    • 2016
  • 국내 정부 지원 무료 검사로 진행 중인 6종 신생아 선별 검사에서 호모시스틴뇨증을 진단하기 위해 메티오닌의 증가가 마커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고메티오닌혈증에서 감별해야 하는 질환들에는 간질환, tyrosinemia type I (MIM #276700),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MAT) I/III 결핍, glycine N-methyltransferase (GNMT) 결핍, 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 (SAHH) 결핍, adenosine kinase (ADK) 결핍, citrin deficiency (citrullinemia type I) 등이 있다. 고메티오닌혈증의 흔한 원인이자 양성 질환으로 알려졌던 MAT I/III 결핍 질환은 유전 방식에 따라 신경학적 증상 발현 및 치료의 필요성이 보고되고 있어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고메티오닌혈증 양성으로 나올 경우 감별 진단 및 처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겠다.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고메티오닌혈증 양성으로 나올 경우, 간수치 및 혈장 아미노산 분석,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통해 여러 질환 들을 감별할 수 있으며 혈장 총 호모시스테인의 증가가 40 umol/L 미만의 경우에서는 MAT I/III 결핍을 먼저 고려해 볼 수 있겠다. MAT I/III 결핍에서는 우성 유전형일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 없지만 열성 유전형에서는 정기적인 발달 지표, 혈장 메티오닌과 총 호모시스테인 수치의 추적이 필요하겠으며 심한 고메티오인혈증(>800umol/L)에서는 저메티오닌식이를, 발달 지연, 뇌말이집 형성 장애가 동반한 경우에는 S-adenosylmethio-nine (SAM) 복용을 고려한다. 호모시스틴뇨증에서는 절반에서 피리독신 반응형을 보이고 피리독신 반응형은 조기에 메티오닌 증가가 없을 수 있기에 선별검사에서 놓칠 수 있다. 치료에는 저메티오닌 식이, 피리독신, 베타인, 엽산 등이 있으며 베타인 투약시 메티오닌 증가로 인한 뇌부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 GNMT, SAHH, ADK 결핍은 현재 환자 수와 예후가 제한적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뚜렷한 이득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미국, 유럽의 일부 기관들에서는 낮은 메티오닌 수치로 재메칠화 장애에 대한 선별검사도 시행하고 있어 국내에도 관련 질환에 대한 현황 및 선별검사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겠다.

  • PDF

간섬유화스캔을 이용한 선천성 담도 폐쇄증의 최적 수술시기 시험적 제안 (Tentative Proposal of Optimal Timing of Kasai Operation for Biliary Atresia Based on Fibroscan Results)

  • 이화영;박영아;한석주;고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1호
    • /
    • pp.74-80
    • /
    • 2011
  • 목 적: 선천성 담도폐쇄증의 일차적 치료로 알려진 Kasai 수술에서의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수술 시기가 중요하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 환아들을 수술 시기별로 분류하고 간섬유화 스캔을 수술 전후에 시행하여 얻어진 간탄성률값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간 섬유화 변화를 비교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적의 수술시기가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지 재확인 하고자 한다. 방 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Kasai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후로 간섬유화 스캔을 시행한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수술 시기별 간탄성률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군의 수술 시기가 빠를수록 수술 전과 후 모두에서 간탄성률 결과값은 좋았고, 특히 8주 이전에 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그 이상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군보다 수술 후의 간섬유화가 적게 진행되었고 일부에서는 회복되었다. 또한 8주 수술 전후의 각 탄성률 간의 차이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Kasai 수술의 시기가 이를수록 수술 전 간 섬유화가 적고, 적어도 8주 이전에서 Kasai 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수술 이후의 간섬유화가 양호하였으며 수술전후의 간섬유화 진행 정도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섬유화스캔을 바탕으로 적어도 8주 미만의 연령이 Kasai 수술을 시행 받기에 최적의 시기임을 재확인하였다.

국내에서 1989년부터 2001년 사이에 세 번 돌발 유행한 홍역의 역학 및 임상적 비교 (Epidemiologic and Clinical Comparisons of Three Measles Outbreaks in Korea(1989~2001))

  • 윤주연;이경일;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223-228
    • /
    • 2003
  • 목 적 : 1989~1990, 1993~94, 2000~01년 3차례 홍역 유행 시기의 홍역 환아들에서 역학 및 임상적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차례의 홍역 유행시 입원한 환아 총 502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아군을 유행 시기에 따라 I군(1989~90년, 116명), II군(1993~94년, 127명) 및 III군(2000~01년, 227명)으로 나눈 후 각 군간의 역학적, 임상적 특징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연령 분포에서 2세 미만의 비율은 각 군에서 각각 61%, 58% 및 5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세 이상의 연령분포에서 I군의 2~5세 비율이 21%로, II군의 6~9세 비율이 28% 및 II군의 10세 이상 비율이 21%로 각 군의 같은 연령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녀비, MMR 예방 접종률, 총 발열일 및 간염의 빈도에서는 3군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입원일(P=0.019)과 합병증 발생률(P=0.012)에서 III군에 비해 I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3차례의 연속적으로 유행한 홍역에서, MMR 접종을 받았으나 홍역에 이환된 경우도 있었고, 또한 발생 연령이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홍역 예방접종의 이차적 실패의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NOONAN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CASE REPORT)

  • 서미경;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2017
  • 본 증례는 유구치부의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내원한 누난 증후군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에 대한 보고이다. 누난 증후군 환자의 특징적인 안모가 관찰되었으며, 높은 아치형의 구개와 작은 턱이 관찰되었다. 성장 지연, 발달 지연, 가슴 기형, 언어 지연을 보였다. 누난 증후군 환자는 다양한 전신질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치과 치료 시 전신적인 상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행동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행동 조절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누난 증후군 환자의 전신마취 시 기도 문제, 심폐 기능의 손상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Surgical indication analysis according to bony defect size in pediatric orbital wall fractures

  • Kim, Seung Hyun;Choi, Jun Ho;Hwang, Jae Ha;Kim, Kwang Seog;Lee, Sam Y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76-282
    • /
    • 2020
  • Background: Orbital fractures are the most common pediatric facial fractures. Treatment is conservative due to the anatomical differences that make children more resilient to severe displacement or orbital volume change than adults. Although rarely, extensive fractures may result in enophthalmos, causing cosmetic problems. We aimed to establish criteria for extensive fractures that may result in enophthalmo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patients aged 0-15 years diagnosed with orbital fractures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0 to February 2019.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used to classify the fractures into linear, trapdoor, and open-door types, and to estimate the defect size. Data on enophthalmos severity (Hertel exophthalmometry results) and fracture pattern and size at the time of injury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rgery during the follow-up and were used to identify the surgical indications for pediatric orbital fractures. Results: A total of 305 pediatric patients with pure orbital fractures were included-257 males (84.3%), 48 females (15.7%); mean age, 12.01±2.99 years. The defect size (p=0.002) and fracture type (p=0.017)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nophthalmometric difference between the eyes of non-operated patients. I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 affecting the fracture size was open-door type fracture (p<0.001).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nophthalmometric difference and the bony defect size (p=0.003).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a cutoff value of 1.81 ㎠ was obtained (sensitivity, 0.543; specificity, 0.724; p=0.002). Conclusion: The incidence of enophthalmos in pediatric pure orbital fractures was found to increase with fracture size, with an even higher incidence when open-door type fracture was a cofactor. In clinical settings, pediatric orbital fractures larger than 1.81 ㎠ may be considered as extensive fractures that can result in enophthalmos and consequent cosmetic problems.

상악 정중 과잉치 증례 중 선천 결손치 발생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CONGENITALLY MISSING TEETH IN MESIODENS CASES)

  • 권민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4-578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서 정중 과잉치는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치아의 발육이상이다. 그런데, 이와 더불어 인접 치아가 선천 결손된 경우에는 배열상에 국소적으로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처럼 동일 개체에서 과잉치와 선천 결손이 동시에 나타난 경우를 'hypo-hyperodontia' 또는 'oligo-pleiodontia'라고 부른다. 발생학적으로는 반대 현상인 이 두 가지 치아이상이 병발된 증례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소수의 증례보고가 발표된 바 있다. 본 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를 가지고 있는 환아 중에서 치아의 선천 결손이 나타난 발생양상을 조사하고, 치아의 선천 결손에 관한 기존의 역학 자료와 비교해 보았다. 지난 3년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과잉치 발거를 주소로 내원한 $5{\sim}12$세 아동 310명 (남아 247명, 여아 6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파노라마사진을 통하여 제 3대구치를 제외한 선천 결손치의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중 과잉치를 가진 증례 중 치아의 선천 결손 발생빈도는, 남자 247명중 39명(15.8%), 여자 63명중 14명(22.2%)으로, 전체적으로는 310명중 53명(17.1%)이었다. 2. 치아별 선천 결손의 분포는 상악 측절치와 하악 제 2소구치에서 각각 22.7%, 상악 제 2소구치 17.3%, 하악 측절치 16.0%로 나타났다. 상하악의 분포는 상악에서 49.3%, 하악에서 50.7%로 나타났고, 통계학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없었다. 3. 결손치의 갯수는 1개인 경우가 67.9%, 2개인 경우가 22.7%, 3개인 경우가 9.4%로 나타났다.

  • PDF

하악 절치부에 발생한 과잉치 (SUPERNUMERARY TEETH IN MANDIBULAR INCISOR REGION)

  • 마연주;이제호;송제선;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80-585
    • /
    • 2009
  • 소아치과 영역에서 치아수의 이상은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과잉치이다. 과잉치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며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치배 형성기의 정상 치판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잉치가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부위는 상악에서는 절치부로 그 빈도는 80-94% 정도로 보고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구치부와 소구치부 순서로 나타난다. 상악에 비해 하악에서는 대부분 소구치 부위에서 발생되며 절치부에서는 전체 과잉치 발생빈도 중 단지 1-2% 이하로 매우 낮은 빈도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증례는 드물게 나타나는 하악 절치부에 2개의 과잉치가 있다는 주소로 내원한 만 6세 남아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하악 절치부에 정상치와 크기와 형태가 비슷한 정상치형의 과잉치 2개를 포함하여 6개의 절치가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발치할 치아의 정확한 진단 및 결정을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발치 후 하악 전치부의 정상적인 배열을 위해 치아 맹출에 대한 주기적 정기 검진 후 교정적 평가와 치료를 진행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