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OPAC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5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기능성 및 그에 관련된 검색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청주기적의도서관, 노원어린이도서관의 OPAC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공도서관과 핀란드의 HelMet어린이용 OPAC을 대상으로 간략 및 상세검색 화면의 구조. 간략 디스플레이 서지레코드의 간략 및 완전 디스플레이, 다수 검색 결과와 검색 실패 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특성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 및 Nielsen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을 참조하여 검토하였다. 청주기적의도서관과 노원어린이도서관 OPAC 디스플레이가 어린이들의 요구와 행태를 특별히 반영하지 않은 한편. LAPL은 매우 단순하고 시각적인 특성을 지닌 어린이용 OPAC을 제공했으며, HelMet 어린이용 OPAC도 상당히 단순하고 어린이용으로 조정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17-34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들을 중심으로 어린이 도서관의 OPAC 디스플레이를 검토하여, 디스플레이에 반영되는 OPAC의 기능성 및 검색과 관련된 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서울특별시립어린이도서관, 청주기적의 도서관, 및 용산도서관 어린이도서관의 OPAC을 중심으로 검색화면의 구조와 검색방법, 간략 디스플레이, 레코드 정렬, 용어 및 명칭의 적절성, 및 서지 레코드 완전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도서관 OPAC은 어린이의 요구와 행태를 반영한 기능성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지 않았고, KOLAS 시스템의 전형적인 일반용 OPAC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보여주었다: 간략검색의 지나친 복잡성, 상세검색의 불필요한 검색 및 제한 기능, 미작동 기능, 도움말의 부재, 간략 디스플레이 및 소장정보의 복잡성, 도서관 전문용어의 사용, 목록 화면의 복잡성 등.

  • PDF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Searching Behavior of OPAC Users in Children's Libraries)

  • 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43-171
    • /
    • 2012
  •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친근하게 설계되어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데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검색도구로서의 온라인목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어린이 2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 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디지털 키즈'를 위한 기존 OPAC의 한계와 과제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OPACs for Digital Kid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7-364
    • /
    • 2014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계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OPAC이 어린이의 보편적 특성은 물론이고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의 정보행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유지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어린이의 관점에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 키즈가 도서관에서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과 OPAC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행태적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현행 OPAC의 한계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OPAC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초등학교 4-6학년 5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참여자들 중에서 선정한 8명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6개 도서관에서 진행했던 어린이들의 탐색과정에 대한 참여관찰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디지털 키즈'를 위한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OPAC Prototype for Digital Kids)

  • 노지현;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5-19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로 간주되는 디지털 키즈(digital kids)에게 적합한 OPAC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실험적으로 구현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앞서 시스템의 모형을 간단히 만들어 보는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토타입의 개발 대상은 초등학교 4~5학년생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요구분석에 근거하여 논리적 모델을 설계하고, (2) 논리적 모델에 따라 OPAC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다음, (3)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어, (4) 사용성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디지털 키즈를 위한 OPAC의 개발 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89-109
    • /
    • 2011
  •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opularity of Picture Books with Television Tie-in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 Ladd, Patricia R.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25-37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circulation statistics of television tie-in picture books from the Wake County Public Library System in North Carolina to determine their popularity among patrons. Caldecott winning picture books were used as a point of comparison. This study also examined OPAC holdings from North Carolina public libraries to determine television tie-in picture book popularity among collection build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television tie-in picture books are found to some degree in the vast majority of North Carolina public libraries, and are more popular than award winners in the Wake County system.

공공도서관 영유아실 자료조직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J시 시립도서관의 배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source Organization in Infants & Young Children's Section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the Arrangement of Library Materials in J City's Municipal Libraries)

  • 형은영;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5-106
    • /
    • 2016
  • 본 연구는 영유아 도서의 자료조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J시에 소재한 8개 시립도서관 영유아실을 대상으로 자료조직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방법은 분석대상 도서관의 어린이실 담당 사서 8명, 영유아실을 방문한 부모 2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모든 도서관에서 KDC를 적용하여 분류하고 있었으나 배가는 분류체계와는 달리 출판사명의 자모순 배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출판사별 배가 방식은 사서 측면에서는 정리의 편리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이용자들은 분류체계와 배가의 이원화로 인해 자료 검색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온라인검색목록시스템의 검색 결과에 도서 위치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 KDC를 유지하되 배가 방식을 청구기호 순으로 전환하는 방안과 (2) 새로운 영유아용 분류표를 개발하는 두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