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아동 색 선로 검사의 표준화 연구 (A Standardization Study of Children's Color Trails Test(CCTT))

  • 구훈정;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1호
    • /
    • pp.28-37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also to provide the Korean normative data for the CCTT. Methods : Normative samples consisted of 766 children and adolescents living in Seoul and aged from 5 to 15 years. Eighty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based on the DSM-IV criterion, were recrui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Among them, 46 ADHD children were receiving medication, while 34 children were drug-free. Results : The scores of the CCT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Stroop test.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visual track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distractibility and susceptibility to interference, and simple attention and impulsivity. The completion time of the CCTT for all children tended to decrease as age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CTT scores between the ADHD group receiving medication, the ADHD-drug free group and the normal groups. The CCTT also showed sound test-retest reliability. These results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CTT. Finally, we provided the Korean normative data for the CCT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CTT is a reliable and valid test, which can be used to assess frontal function related to child psychiatric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 PDF

차상위계층 가정 아동의 발달에 대한 보고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ear Poor Families' Children - Focused on Dae-jeon area -)

  • 송지현;김은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8-85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he near poor Families' Children via learning disability indices, frontal executive function. Methods: Seventeen children (10 boys, 7 girls, 6.6-11.9 years) from the near poor Famil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evaluated for a learning disability and frontal executive function. Results: In Learning disability indices, 3 children showed low scores in subscales and 2 children showed low scores in learning quotient. In Frontal executive function, 3 children showed low scores in CCT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and 11children showed low scores in STROOP (Stroop Color and Word Test). Conclusions: Intensiv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additional neuropsychological tests will be needed in children with low learning scores.

뉴로피드백 훈련이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Treatment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윤석민;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45-51
    • /
    • 2015
  • Objectives :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ve been shown to display more inhibitory deficits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atment effects of neurofeedback (NF)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of the trained children at pre- and post-training. Methods : Fifteen children with ADHD, aged 6 to 14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NF treatment consisted of slow cortical potential (SCP) training and these sessions took place once a week. The ADHD children performed 20 sessions of NF training within 6 months.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assessments encompass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Stroop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I&II (CCT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Results : Patients receiving NF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visual commission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of auditory response time on CPT ; and total errors on WC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roop test and CCTT. Conclusion : SCP training using NF improves the self-regulatory capacities and impulsivity in ADHD patient, especially impulsivity in visual stimulation tasks. This study showed evidence of clinical efficacy of NF on executive function in ADHD.

초등학생의 리듬 재산출 능력과 인지기능 수준 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Rhythm Reproduction Tas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ool-Aged Children)

  • 오소영;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8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 연령 9세의 초등학생 59명을 대상으로 iPad 기반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색선로 검사(CCTT), 키보드를 활용한 자가탭핑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 리듬 재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는 리듬 수행 검사 1단계 10개 문항은 자가탭핑 평균속도(s)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리듬 수행 검사 2단계에서 측정하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은 CCTT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문항 특성에 따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리듬이 두 번 이상 연속으로 반복되어 제공되는 리듬꼴의 정확한 수행은 자가탭핑 속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할박이 많은 리듬꼴의 리듬 수행력은 CCTT, 즉 집행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리듬 재산출 과제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동이 산출하는 자가탭핑 속도, 즉 내적 리듬 특성이 인지 기능과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관련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이러한 리듬수행력이 인지 기능의 측정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추후 리듬꼴의 특징 및 리듬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리듬 수행력이 학령기 아동의 인지적, 정서행동적, 음악적 특성을 다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제언되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at-Keeping Game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on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설예림;김진경;박소연;강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81-9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박자 맞추기 게임이 실행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사례 연구 방법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으로, 노래가 나오는 화면을 보고 화면에서 나타나는 검은색 타일을 누르는 게임이다. 박자 맞추기 게임은 주 3회기, 휴식 시간 포함 20분 동안 총 7회기 진행하였다. 종속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이 대상자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시각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에는 '아동 색 선로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와 '토막짜기(Block design)', '숨은 그림 찾기(Finding hidden picture)'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3명의 대상자 모두 독립 변인인 박자 맞추기 게임의 수행도가 향상되었고, 종속 변인인 '시각운동속도', '시각 주의력', 집중력의 실행기능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렵고 집중력이 부족한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 및 중재에 효과적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학령전기 아동 대상의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전산화 주의력 평가과제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puterized Attention Tasks Using Smart Devices for Preschool Aged Children)

  • 신민섭;이진주;오서진;김일중;홍초롱;김수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2호
    • /
    • pp.104-111
    • /
    • 2015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puterized attention tasks using smart devices for preschool aged children for assessment of auditory attention, visual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ing abilities. We then evaluated their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m. Methods : Sixty-seven 5- to 7-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were recruited. Newly developed computerized attention tasks and existing standardized attention tests such as Advanced Test of Attention (ATA) and Children's Color Trails Test-2 (CCTT-2) were successively administered.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se task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articipants' scores on the newly developed tasks and the scores on well-known measures were calculated for assessment of each component construct. We also examin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asks using the developmental trend of the auditory attention, visual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ing abilities with age. Results :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scores of computerized attention tasks using smart devices and corresponding scores of ATA-auditory task, visual task, and CCTT-2. And there were significant linear increasing trends of correct scores with age from 5 to 7 years.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promising evidence for the utility of computerized attention tasks using smart devices for preschool-aged children.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 음악 만들기 활동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지경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1
    • /
    • 2015
  • 본 연구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청소년 남학생 4명으로 세션은 주 2회씩 회기별 45분으로 진행하여 총 16회기 동안 개별 중재하였다.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은 노래 구상 및 태블릿 PC 조작법 습득, 음악 요소 탐색, 리듬 멜로디 가사 반주 리듬 만들기, 루프 구간 설정 및 생성, 발표하기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창작 과정은 난이도에 따라 단계별로 반복 진행되었다. 집행 기능 측정을 위해서 스트룹(Stroop)검사, 아동 색 선로 검사(CCTT), 작업기억지표의 하위검사인 숫자따라 외우기(DST)와 순차연결하기(LN) 검사를 사전 중간 사후에 실시한 결과 연구 결과 참여자들 모두 세 가지 검사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비디오 촬영을 통한 행동 분석 결과, 주의 지속 시간이 증가하고 리듬과 멜로디 수행 시 나타나는 오류를 자발적으로 개선해 나갔으며 정보 범주화를 통해 정보의 활용과 응용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 기능을 향상시키는 중재도구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에 지적장애 아동기에 집중되어있던 연구를 청소년기로 확장시켜, 인지기능 저하 및 인지적 과제 참여에 대한 동기가 낮은 다른 대상군에게도 확장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