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with ADHD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4초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장애의 행동 특성 - 과잉활동성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의 비교 -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COMPARISONS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

  • 송동호;정유숙;이홍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06-113
    • /
    • 1993
  • 저자들은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환자에서 과잉활동증을 동반한 집단과 과잉활동증을 동반하지 않은 집단간에 행동 및 정서적 특성을 비교하고, 각 증상척도들 간의 임상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ADHD 환자 36명을 Werry-Weiss-Peters Activity Rating Scale(WWPARS) 평가기준(20점)에 따라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ADD+H) 집단 19명과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out Hyperactivity(ADD-H) 집단 17명으로 분류하여 Conners Rating Scale(CRS), Home Situations Questionnaire(HSQ), School Situations Questionnair(SSQ),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등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집단간에 인구학적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2) ADD+H 집단의 CRS 행동증상척도는 점수는 ADD-H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HSQ와 SSQ를 통하여 가정과 학교에서의 행동문제 상황을 비교한 결과, ADD+H 집단의 행동문제 상황의 유형이나 개수 및 증상의 심도가 ADD-H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각 집단의 CBCL 8개 소척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ADD+H 집단의 비행척도와 공격성 척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ADHD의 행동증상과 CBCL의 행동정서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CRS, WWWPARS의 행동증상척도와 CBCL의 공격성척도, 비행척도, 정서불안정척도 간에는 유의한 양성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공격성척도와 과잉활동증 간에는 매우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ADHD는 과잉활동증의 유무에 따라 그 임상적 특징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ADHD의 여러 임상적 유형과 약물치료효과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및 ADHD 환자에서 행동 특성과 인지기능이 통합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PDF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간의 사건관련전위 소견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EVENT-RELATED POTENTIALS BETWEEN THE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 조수철;신성웅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179-189
    • /
    • 1996
  •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주의력결핍 양상을 발견하고자 뇌사건관련전위(ERP)를 측정하고, 연령을 맞춘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9세 이후의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환아군은 동일한 연령군의 정상아동보다 선택적 주의집중력 및 자극변별력을 시사하는 파형의 잠복기(N1, P2)가 과제와 연관된 자극에 대해서 정상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연되어 있었다. 2) 환아군은 과제와 무관한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아동보다 주의력을 시사하는 파형의 잠복기가 단축되고 진폭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환아군은 정상아동보다 쉽게 산만해지며 과제와 무관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반면, 과제를 수행하는 선택적이고 지속적인 주의집중력은 정상아동보다 떨어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Discriminativ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o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mong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 Lee, Ji-Seon;Kang, Na-Ri;Kim, Hui-Jeong;Kwak, Yo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4호
    • /
    • pp.150-160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SST) o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Twenty-three children aged 7 to 10 years participated in our SST. They included 15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nd 8 with ASD. The participants' parent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the ADHD Rating Scale, and Conner's Scale at baseline and post-treatment.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 (K-WISC-IV) and the Advanced Test of Attention at baseline and the Penn Emotion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Task at baseline and post-treatment.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i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occurred in either group before and after SST. However, when controlling for the processing speed of K-WISC and the social subscale of K-CBCL, the ADHD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total (p=0.049), female (p=0.039), sad (p=0.002), mild (p=0.015), female extreme (p=0.005), male mild (p=0.038), and Caucasian (p=0.004) facial expressions than did the ASD group. Conclusion: SST improv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or children with ADHD more effectively than it did for children with ASD, in whom additional training to help emotion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is needed.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와 우울, 불안증상과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조수철;정인과;윤혜진;남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213-223
    • /
    • 1996
  • 본 논문은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우울, 불안증상을 평가하고, 이에 기초를 두어 현상론적인 측면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를 다시 세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9{\sim}12$세 까지의 환아 51명과 정상대조군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와 소아의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우울과 불안을 평가하였다.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군은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상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높았으며 (p<0.01), 소아의 상태 불안척도상에서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높았다(p<0.05). 또한 각각의 척도상에서 기준점 이상의 점수를 획득하여 진단적으로 의미있는 대상아동이 각각이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군을 현상학적으로는 순수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우울형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불안형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로의 세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이들 장애들도 새로운 아형으로 독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에서 MTA의 주요 교훈 (Major Lessons from the MTA in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황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1호
    • /
    • pp.3-10
    • /
    • 2010
  • Objectives : The current review aimed to describe the major findings of the NIMH Collaborative Multisite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TA) with regard to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We performed a general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efficacy of the MTA's proposed treatments. Results : There is a large and still increasing body of evidence regarding the MTA's treatment outcomes. We present and discuss details of the findings at each follow-up point. Conclusion : Currently, findings regarding the MTA's treatments suggest children with combined-type ADHD exhibit significant impairment in adolescence, despite their initial symptom improvement. Further studies, using innovative treatment approaches and targeting specific areas of adolescent impairment,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ADHD treatment outcomes.

지적 능력이 연속수행과제(CPT)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lligence Ability on Continuous Performance Test)

  • 이지연;조아라;김봉석;김주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2호
    • /
    • pp.163-169
    • /
    • 2006
  • Objectives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lligence ability on attention using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Methods : 56 children with ADHD (52 boys, 4 girls) and 41 children in normal (28 boys, 13 girls) were sampled, their age range was 7 to 15. They performed IQ test and ADHD Diagnostic System (ADS) in order to examine intelligence and atten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and ADHD group, average IQ level children and superior IQ level children. Then ADS variables (o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reaction time, reaction time deviation, response sensitivity, and response criterion) were analyzed.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normal, ADHD) and intelligence (average, superio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group and ADHD group in omission error, commission error, reaction time deviation, and response sensitivity. Also average level IQ group had significantly showed more omission, greater reaction time deviation, and lower response sensitivity than superior level IQ group. Conclusion : ADHD group has attention deficit than normal group, and CPT is available tool to detect attention problem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lligence can contaminate inattention and cognitive impulsivity thus it compensates for attention deficit. And it suggests that intelligence effect is considered in analyzing CPT in ADHD children.

  • PDF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아스퍼거 장애, 학습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Comparison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sperger's Disorder, and Learning Disorder)

  • 신민섭;김현미;온싱글;황준원;김붕년;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2호
    • /
    • pp.131-140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ficits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ADHD, Asperger's Disorder(AD), and teaming disorder (LD), an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mong three groups. Methods : The clinical group consisted of 4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15 (16 ADHD, 16 LD, 14 AD).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measuring cognitive function,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were individually administered to children, and their performance scor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ge norm for each test.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SIQ, VIQ, and PIQ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AD group tended to show higher scores on the subtests of Information, Vocabulary and Digit Span, and lower score on Comprehension subtest than the ADHD and LD groups, while the LD group tended to show the lowest scores on the Information and Vocabulary subtests. On ADS, the ADHD group showed the highest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s. All groups showed poor performances belonging to below 25 percentile ranks on executive function tests when compared to the age norms of normative group. The number of completed category on WCST was the smallest in the ADHD group, while the working memory score was the lowest in the LD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HD, LD, and AD children have executive function deficit in common. However, the specific deficit areas in executive function are different for each group.

  • PDF

교사의 ADHD코칭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ulencing Teachers' ADHD Coaching)

  • 최연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33-343
    • /
    • 2018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초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사회적 관계 구축에 상당한 어려움을 불러일으키곤 한다. 교사들의 ADHD증상 완화를 위한 코칭역할이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코칭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353개의 교사대상 설문자료를 토대로하여 교사의 ADHD 증상에 대한 지식수준, 교사들의 ADHD학생들에 대한 태도, 촉진조건, 학부모와의 협업 등의 선행요인이 직, 간접적으로 ADHD 코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지식수준과 촉진조건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학부모와의 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업은 다시 교사의 ADHD 코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태도는 ADHD 코칭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으로 ADHD 관련한 교사들의 니즈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아형별 신경심리학적 특성 비교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SM-IV SUBTYP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정성덕;이종범;김진성;서완석;배대석;천은진;서해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39-152
    • /
    • 2002
  • 연구 목적:ADHD 아동을 대상으로 DSM-Ⅳ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세 아형으로 분류한 후, 임상적 특징과 신경심리학적 차이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연구는 1998년 7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주의력결핍 증상을 주소로 영남대학교 부속병원 정신과를 내원하여 ADHD로 진단된 6~1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신경정신과적 공존질환이나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아동은 배제하여 총 404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DSM-Ⅳ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아형으로 분류하였고, ADHD-C형이 234명(57.9%), ADHD-Ⅰ형이 156명(38.6%), ADHD-HI형이 14명(3.5%)이었다. 평균 연령은 9.63±2.49세였다. 약물치료 시작 전에, 정신병리평가, 지능 평가, 행동증상평가,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에 대해 각각 평가를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아동인성검사(K-PIC)를, ADHD행동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4종의 설문지형 평가도구인 한국판 주의력결핍장애 평가척도-가정판(ADDES-HV), ADD-H comprehensive teacher’s rating scale(ACTeRS), 한국형 소아기 집중력 문제척도(CAP)와 SNAP을 이용하였다. 지능은 K-ABC와 KEDI-WISC로 평가하였고, 주의력 및 실행기능검사는 Conner의 연속수행검사(CPT), 위스콘신분류검사(WCST), 정지신호검사(SST)를 사용하였다. 결 과:세 아형 별 비교에서 ADHD-C형이 가장 많았고 ADHD-Ⅰ, ADHD-HI 순 이었다. 아형간 남녀성별에 따른 유병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령은 ADHD-Ⅰ형이 가장 높았다(p<.001). 정신병리평가에서 비행 과잉행동 정신증 점수는 ADHD-C형과 ADHD-HI형이 ADHD-Ⅰ형보다 높게 나타났고(p<.05), ADHD-C형에서 가족관계의 문제와 자폐증 점수가 ADHD-Ⅰ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5), 자아탄력성 점수는 ADHD-Ⅰ형 보다 낮았다(p<.05). 불안, 우울, 신체화 증상은 세 아형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형별 행동증상측정 결과 ADHD-C형이 ADHD-Ⅰ형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p<.05). 단, 교사가 평가하는 ACTeRS에 의한 결과는 ADHD-HI형에서 주의력 결핍 증상과 과잉행동점수가 더 높았다(p<.05). 아형간 지능의 비교에서는 K-ABC를 이용한 평가에서 ADHD-HI 형이 순차처리항목과 계산능력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5), KEDI-WISC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ADHD- HI형은 대상수가 소수여서 비교할 수 없었으며, ADHD-C형과 ADHD-Ⅰ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PT, WCST, SST를 이용한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의 비교에서 아형간 계량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결론적으로 ADHD 세 아형은 임상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행기능상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 보다 잘 고안 된 연구와 발달중인 아동에 적절한 신경심리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결과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ffectiv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Juvenile Inmate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Focus on Items from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 Kim, Hyesoon;Kim, Bongseo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4호
    • /
    • pp.161-167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juvenile inmate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e impact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on quality of life. Methods: In total, 200 inmate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K-MINI)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K-SADS-PL-K). We extracted the inmates with ADHD and evaluated their quality of life, behavioral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with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 and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Among the 200 total inmates, 68 were diagnosed with ADHD by the K-SADS-PL-K.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edsQL scores and K-YSR items were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dsQL could be predicted by affective problems (among the DSM-oriented scales of the K-YSR) and attention problems (among the syndrome scales of the K-YSR).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among juvenile inmates with ADHD,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s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Meanwhil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affective and attention problems on inmates' quality of life suggests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treatments for thi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