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tube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29초

둔상에 의한 우측 주기관지 완전 절단 치험 1례 (Complete Transsection of Right Main Bronchus by Blunt Trauma -A Case Report-)

  • 조원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0호
    • /
    • pp.924-927
    • /
    • 1995
  • Main bronchial injury after blunt trauma is very rare in all bronchial injuries and the pathogenesis is variable and not well known in everycases. We report a case of complete transsection of right main bronchus by blunt trauma. This 24-year old patient was transferred from a local hospital with a chest tube. Because of the severe subcutaneous emphysema and tension pneumothorax, we inserted one more chest tube resulting no obvious interval change. With the impression of bronchial injury, we performed an exploratory thoracotomy. We couldn't proceed bronchoscopy in the operation room because of his unstable vital sign. After opening of the chest wall, we could identify completely transsected right main bronchus. We anastomosed the bronchus with 4~0 Vicryl interruptedly. After operation, the patient was recovered without any complication.

  • PDF

흉부 X-ray 검사 시 선량 비교를 활용한 유효 Detector Exposure Index 기반의 적절한 관전압 범위 제안 (Investigation of Tube Voltage Range using Dose Comparison based on Effective Detector Exposure Index in Chest Radiography)

  • 심지나;이영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5
    • /
    • 2021
  • 본 연구는 흉부 X-ray 검사 시 디지털 영상의 적절한 유효 Detector exposure index (DEI) 범위 내의 영상의 Dose area product (DAP)값과 유효선량을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관전압의 범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GE Definium 8000을 사용하여 흉부팬텀을 이용한 Chest PA 검사를 재현하였다. kVp range는 60~130 kVp, mAs range는 2.5 ~ 40 mAs로 설정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유효한 DEI 범위의 영상으로 분류하고 측정한 DAP을 이용하여 PC-Based Monte Carlo Program을 통해 유효선량을 계산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평가를 하기 위해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흉추, 갈비뼈가 포함된 폐야부위, 갈비뼈가 포함되지 않은 폐야부위, 간 등 총 네 부분의 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측정하였다. 관전압 별 그룹의 유의성은 Kruskal-wallis test와 사후검정으로 Mann-whitney test를 시행하여 검증하였으며 검증에 사용된 신뢰구간은 95%이다. 총 13개의 관전압 중 적정한 유효 DEI 범위안에 포함된 네개의 관전압 (60~90 kVp)을 각각 비교하였을 때, DAP는 60 kVp를 기준으로 80 kVp, 90 kVp를 비교한 결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0.034, 0.021). 유효선량은 모든 관전압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SNR은 간 부위에서 80 kVp와 90 kVp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그러므로 디지털 환경에서 적정한 흉부 X-ray 영상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해 100 kVp 이상의 고관전압은 환자 선량 및 영상 측면에서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 Novel Mediastinal Drainage Tube for Mediastinitis

  • Yhang, Jun Ho;Jang, In-Seok;Kim, Sung Hwan;Park, Hyun Oh;Kang, Dong Hoon;Choi, Jun 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378-379
    • /
    • 2015
  • Mediastinitis is a life-threatening disease, and effective drainage is needed to treat mediastinitis with abscess formation. We recommend an alternative drainage method using chest tube binding with a Silastic Penrose drainage tube. The use of a Silastic Penrose drainage tube may help to manage mediastinitis with abscess formation. This method facilitates effective draining and prevents tissue adhesion.

진단목적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Diagnostic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 백효채;홍윤주;이두연;박만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42-547
    • /
    • 1996
  •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92년 1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순수히 진단적 목적으로 비 디 오 홍강경 수술을 시 행 한 환자들을 대 상으로 진단율, 수술시 간, 수술후 통증, 함병 증 등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환자는 총 111명으로 남자가 57명, 여자가 54명이었으며 나이는 1세부터 74세까지로 평균연령은 49세 였다. 비디오흥강경수술을 하게된 원$\circledcirc$은 대부분이 타 방법으로 조직학적 진단이 내려지지 않은 경우 였으며 일부는 기관지 내시경이나 침흡입생검으로 폐암진단을 받은 환자에서 병기설정 및 수술대상을 감별하기 위하여 실시한 경우도 있었다. 111명의 환자중 17명은 1개이상 부위에서 생검을 실시하여 총 128예의 조직생검술을 시행하였다. 늑 막 생 검 49예, 폐 생 검 43예, 종격동 림프절생 검은 33예, 심막 2예, 횡 격막 1예가 있었으며 늑막생검 12예 와 폐생검 1례는 국소마취하에 수술을 하였고 나머지는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하였다. 폐생 검 환자들의 나이는 22~73세로 평균 49.1세 였으며 수술시간은 40~ 170분으로 평균 97분이 었다. 수술후 통증은 평가하기가 어려워 수술후 투여한 근육주사의 횟수로 비교하였으며 폐생검후 0~22회로 평균 4.7회 투여하였고 흥관의 제거는 1~ 26일 사이로 평균 7일만에 제거하였다. 폐생검후 2명을 제외한 전 예에서 진단이 가능하였으며 합병증으로는 수술중에 I명이 발작성 심방성 빈맥증이 발생하였고 7명 에서 개흥수술을 시 행하였으며 흥관과 관련된 합병증이 7명 에서 발생하였다. 늑막생검은 나이가 17~74세로 평균 49.0세 였으며 수술시간은 25~80분으로 평균 49분이었다. 수술 후 통증제거 목적으로 0~ 20회까지 (평균 3.6회) 근주하였으며 흉관은 0~67일로 평균 9.8일후에 제거하 였다. 진단은 전 예에서 가능하였으며 7일이상 흥관제거를 못한 합병증이 11예 있었다. 종격동 림프절 생검은 나이가 1~ 68세 사이로 평균 44.2세였으며 수술시간은 30~335분으로 평균 105 분이 었다. 통증으로 평균 3.2회(range 0~ 15회) 근주하였으며 흥관은 1~36일로 평균 6.1일만에 제거하 였다. 조직진단은 1명 에서 불확실하였으며 4명이 개흥수술을 하였고 7명이 7일 이후에 흥관제거가 가능 하였다. 1개 이상부위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나이는 20~71세로 평균 53.떼였으며 시간은 15~ 165분으로 평균 소요시간은 85분이었다. 통증은 0-17 막\ulcorner평균 3.1회였으며 흥관은 1~ 16일로 평 f 7.9일만에 제거가 가능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진단적 목적의 비디오 흥강경 수술은 합병증이 적으면서 높은 진단율을 보이며 많은 환자에서 개흥술 없이 시행할 수 있는 좋은 진단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Fibrin Glue가 자연기흉의 재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brin Glue as a Prevention Against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석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6호
    • /
    • pp.570-578
    • /
    • 1991
  • The spontaneous pneumothorax is the sudden collapse of the lung usually by air leakage from the ruptured sub-pleural bleb and has high recurrence rate. For prevention against recurrence, many drugs such as tetracycline, talcum powder, quinacrine, etc. have been used but the effects are not satisfactory. We reduced the recurrence rate successfully by the fibrin glue instillation through the chest tube. From the January 1989 to September 1990, we have managed 65 patient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ith closed thoracostomy and fibrin glue[fibrinogen 1gm/50ml with approtinin 3, 000kIU /ml, thrombin 5, 000IU /ml in 3% each 10ml] instillation through the chest tube. And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106 patient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ho were managed only by the closed thoracostomy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8. Only the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with recurrence were considered as the recurred cases but the others were considered as not recurred. And the removal of chest tubes usually done 3 days after cessation of air leakage or 2 days after fibrin glue instill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X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recurrence rate of fibrin glue instillation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non-instillation group[1st attack: 15.1% versus 27.6% p<0, 05, the 2nd attack: 33.3% versus 73.7% p<0.01, the total 18.5% versus 35.8% p<0.01]. 2. The mean duration of chest tube drainage in the fibrin glue instillation group was shorter than non-instillation group[4.24$\pm$1.36 days versus 4.48$\pm$1.73 days p<0.05]. 3.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shorter in the instillation group [8.12$\pm$3.5 days versus 10.8$\pm$3.8 days p<0.05] The complications were transient mild fever, chest pain, pleural effusion in 46 cases of 65 patients, but those didn`t make any problem. We concluded that the fibrin glue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recurrence rate, obliteration of air leakage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 PDF

디지털 흉부단층합성검사에서 감도와 관전압 변화에 따른 영상 최적화 (Optimization of Image Quality according to Sensitivity and Tube Voltage in Chest Digital Tomosynthesis)

  • 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41-547
    • /
    • 2018
  • 흉부 디지털 단층합성(chest digital tomosynthesis, CDT) 검사 시 관전압 및 감도(sensitivity) 변화에 의한 선량감소 효과와 정량적 평가로 선량 최적화 조건을 평가하고자 한다. 관전압 125 kV, 135 kV 설정에 따른 sensitivity 200, 320, 400 변화하여 팬텀의 CDT 영상을 획득하였다. 감도와 관전압 변화 따른 선량과 면적선량(DAP)을 평가하였다. 화질평가는 최대신호 대 잡음비(PSNR), 대조도 대 잡음비(CNR), 신호 대 잡음비(SNR)를 image J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량은 14~23%, 면적선량은 13~26% 정도 sensitivity 200, 125 kV에 비해 측정치가 낮아졌고, sensitivity 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율 커짐을 알 수 있었다. PSNR은 27dB 이상으로 모두 의미 있는 수치였고, CNR, SNR은 sensitivity가 낮을수록 우수했으나, 항목마다 통계의 유의성은 달랐다. CNR과 SNR 모두 sensitivity 320, 135 kV가 sensitivity 200, 125 kV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CDT는 감도, 관전압과 디지털 촬영의 장비의 장점인 보정능력을 이용하여 더 작은 선량으로 화질을 유지 시킬 수 있다.

흉부(胸部)의 X선촬영(線撮影) 및 촬영장치(撮影裝置) 현황(現況)에 관(關)한 조사(調査) (A Study on Radiographic Equipments and Situation for the Chest)

  • 고신관;안봉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8권2호
    • /
    • pp.3-9
    • /
    • 1985
  • From the study on the chest radiologic equipments and situations of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radiologic clinics located in Seoul area and Choong-cheong province, the author got conclusions as follows : 1. The rectfication methods of the equipments were employing mainly single or three-phase full wave, and 78% of the examined were using single phase full wave. 2. The focal sizes in case of small focus were less than 1.0mm in chest-only use, and more than 1.0mm in 81% of combined use. The focal sizes in case of large focus were more than 1.6mm in 78% of the total. 3. Maximum ratings of x-ray tubes were 47% at 125 kVp maximum tube voltage and 41% at 150kVp. The maximum tube currentes higher than 500mA were shown in 72% of all the examined. And the maximum exposure time was the range of 5-8sec. 4. Grid was not used in the 66% of all the hospitals. Equipment for chest-only was employing 10:1 grid ratio and the 2.0-2.9mmAl of total filtration formed 38% of all the examined. 5. In the processing time of exposed film, 68% of all was 90sec, and only 20% of all the examined used optimum develop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is condition. 6. In the radiographic conditions, more than 50% used low tube voltages lower than 70 kVp and only 3% of all the equipments used high tube voltages higher than 100 kVp. The 46.9% of all the equipments 300mA, and 53% of all used shorter exposure time less than 1/20(0.05) sec. 7. In the monthly average number of radiographs, 44% of all was x-ray the radiographs.

  • PDF

디지털 흉부 방사선 검사의 화질과 선량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Image Quality and Dose in Chest PA Digital Radiography)

  • 박한솔;김명성;정홍문;이종웅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17
  • Chest PA 검사 시 디지털 촬영에 대한 검사 조건 권고안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각 기기 회사들도 이전의 아날로그 촬영에 적용되었던 고관전압 촬영 조건을 권고하고 있다. 디지털 흉부 X-선 촬영시 관전압, 관전류, 부가여과 필터 변화에 따른 피폭선량을 비교하기 위해 Philips 사에서 권고하는 적정 노출지수( Expos ure Index ) 값인 200 ~ 800사이 값을 만족하는 검사조건을 선별하였다. 유효선량을 평가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으며 SNR과 CNR을 측정하여 영상평가를 시행하였다. 관전압과 관전류, 부가여과 필터를 조절하여 유효 선량을 최대 77% 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검사조건별로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영상평가 결과 비슷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흉부 CT 스캔에서 재구성 알고리즘 변화적용 시 화질과 스캔 선량 분석 (Analysis of Image Quality and Scan Dose when Applying Reconstruction Algorithm Changes to Chest CT Scans)

  • 김현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19-825
    • /
    • 2023
  • 흉부 CT 검사 조건 중 관전압을 100, 80 kVp, 재구성 알고리즘을 FBP, ASIR-V, DLIR로 변화 적용하여 검사 선량과 화질 변화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 관전압 보다 낮은 관전압인 100 kVp 에서 ASIR-V, DLIR 적용 시 선량을 낮추면서 120 kVp, FBP 적용 시와 가장 유사한 화질로 구현. 특히, DLIR 재구성 영상은 모든 관전압에서 SNR, CNR이 우수하였다. 또한, SSIM 지수가 1에 가장 근사하게 분석되어 원본 영상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흉부 CT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DLIR 적용은 검사 선량을 약 29.7% 감소시킬 수 있어 CT 검사의 가장 큰 문제점인 검사로 인한 피폭을 일부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