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compression quali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이동 중 주들것에서 심폐소생술을 위해 개발된 보조발판(C-step)의 적용 효과 (The Effect of applying Subsidiary step developed for CPR on the main stretcher during movement)

  • 심규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50-5957
    • /
    • 2012
  • 흉부압박의 중단을 최소화하는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동 중 주들것에서 보조발판(C-step) 장착 여부에 따른 심폐소생술 정확도 및 오류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C도 10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응급구조사 70명(대조군 35명, 실험군 35명)으로 주들것에서 심폐소생술 정확도가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C-step을 적용한 주들것에서 심폐소생술은 적절한 흉부압박 높이와 안정된 자세를 제공해 흉부압박 정확도를 높이고(t=65.104, p=.000), 인공호흡 시 적절한 환기량을 공급하여 인공호흡 정확도를 높이며(t=5.207, p=.000) 심폐소생술 자신감 또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t=-10.612, p=.000). 결론적으로 주들것에 C-step 장착은 고품질의 심폐소생술(high quality CPR)을 충실히 수행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와류 챔버를 사용하는 호흡기류 센서 (Air flow transducer with turbulence chamber)

  • 이인광;최성수;김군진;장종찬;김성식;김경아;이태수;차은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71-1972
    • /
    • 2008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s an important clinical technique performing artificial ventilation and chest compression on a patient under emergent situation before arriving in hospital. Since the quality of CPR significantly affects the survival rate, it would be of great advantage to monitor respiration in real time during CPR. However, currently applied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s are difficult to apply with sensing elements in the middle of the flow axis.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new turbulent air flow transducer conveniently applicable to CPR. Abrupt changes in diameter of the flow tube generated turbulence in air flow, thereby pressure difference was obtained to estimate the air flow rate, with no physical object on the flow plane. Expiration and inspiration were separated by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difference, resulting in good symmetry. Pressure-flow relationship was tested on a quadratic model, which provided accurate enough estimation results. Therefore, the present turbulent air flow transducer seemed appropriate to monitor respiration during CPR.

  • PDF

구급상황관리사에 의한 심폐소생술 안내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the emergency medical dispatcher)

  • 김창성;피혜영;이슬기;이현범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23-23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eck up the status of 119 emergency control centers usage. Therefore, the status of use of 119 emergency control centers and the incidence of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emergency activity daily reports and first aid diaries of 119 emergency control center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8 were reviewed. For more accurate status analysis, Among the first aid guidance received in the emergency rescue standard system,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log was reviewed. Results: In 2018, the total usage of the 119 emergency control centers was 1,358,356 calls, hospital guidance werethe most commom (n=629,676, 46.4%), followed by first aid (n=428,027, 31.5%), disease consultation (n=170,238, 12.5%), medical oversight (n=111,188, 8.2%), and interhospital transfer (n=5,052, 0.4%). Regarding the user number per 1,000 persons, Jeju was the greatest at 48.0, whereas Changwon was the lowest at 13.0. A total number of dispatcher-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12.181. The time from report to chest compression were 156.2±80.8 seconds for those with previou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nd 168.0±79.3 seconds for those without such training (p<.05). Conclusion: The ratio of first aid instructions, including dispatcher-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total usage of the 119 emergency control centers increased. Therefore, additional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expertise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119 emergency control centers.

말기암환자에서 심폐소생술금지 (Do-not-resuscit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

  • 권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79-187
    • /
    • 2015
  • 환자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환자, 보호자, 의사 사이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논의는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말기의 암환자인 경우에는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을 고려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음(Do-not-resuscitate, DNR)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DNR에 대한 선택은 환자와 보호자의 심폐소생술과 DNR의 의미 및 그 결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DNR에 대하여 환자, 보호자, 의료진이 상담을 할 때는 환자의 질환이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며,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과정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심폐소생술 이후에 삶의 질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합의가 필요하다. 충분한 이해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DNR을 선택하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DNR 자체 보다는 이미 생명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의 생명유지장치의 제거에 대한 법적인 문제가 2차례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이전보다 증가하였다. 환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DNR에 대한 인식과 의지가 80년대에 비해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DNR의 결정에 있어 환자가 직접 관여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DNR 작성 시점과 사망 시점과의 시간 간격이 1주 이내로 환자가 관여를 하거나 임종시기의 의료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조기 완화의료의 확산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에서는 DNR이라는 용어보다는 자연적인 죽음을 허용함(Allow-Natural-Death)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설명하는 것이 이해를 돕고 선택의 갈등을 줄인다는 보고를 하여 DNR 논의와 결정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 이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DNR은 말기암환자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며, 임상에서 DNR이 잘 시행되도록 임상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