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compression depth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Comparison of CPR Results And Muscle Fatigue According to Chest Compression Performer's Own Breathing Method

  • Jun-Ho 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75-182
    • /
    • 2023
  • 본 연구는 세 집단의 심폐소생술 결과와 근피로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네킹의 가슴압박을 할 때 큰 소리를 내어서 숫자를 세는 집단(A그룹), 숫자를 세지 않으며 자율호흡을 하는 집단(B그룹), 숫자를 세지 않으며 복식호흡을 하는 집단(C그룹)이다. 각 그룹에 12명씩의 인원을 배정하였고 5분간의 가슴압박을 시행한 후 심폐소생술 결과를 마네킹과 연결된 프로그램으로 분석하고 시행자의 근피로도를 무선근전도로 분석하였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B그룹으로 나타났다. 정상 범위 내에서 압박의 속도와 깊이만을 본다면 C그룹이 더 효율적일 것이나 B그룹이 근피로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A그룹은 흉부압박의 깊이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했고 근피로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손의 위치 정확도 또한 B그룹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흉부압박에 대한 집중력을 유지하는 것에도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소리를 동반한 가슴압박이 심폐소생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est compression with voice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장문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28
    • /
    • 2013
  • Purpose : The aim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ith voice and CPR without voice by one rescuer. Methods : Subjects were 26 students in C University who had basic life support certificate for Healthcare Provider. They performed 30:2 CPR for 6 minutes by two groups of CPR with voice and CPR without voice by one rescuer from August 14 to 16, 2012. They performed CPR with Resusci Anne SkillReporter$^{TM}$ and Laerdal PC SkillReporting System Ver. 2.4.1(Laerdal Medical, Norway and recored voice using TES-1350A(TES Electrical Electronic Corp, Taiwan). Between each experiment, 1 day of rest was given, providing enough time to recover from the fatigue of CPR. Results : The depth, rate of chest compression, and ventilation volume were not affected by a voice (p >.05), and the ratio of chest compression to ventilation kept 30:2, when the subject made a sound (p <.05). Conclusion : Making voice during CPR was associated with an accurate ratio of 30:2 and the reduction in hands off time.

The Effec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Kindergarten Students

  • Kim, Jae-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2
    • /
    • 2020
  • 본 연구는 유치원생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 효과를 분석하여, 최초반응자로서의 역할이 가능한지 파악하고 향후 유치원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J시 소재 일개 유치원 6세, 7세반 어린이를 대상으로 10주간 5회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반복하였으며, 피드백 장비를 활용하여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for 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paired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반복 교육 후 가슴압박 깊이, 가슴압박 적정 속도, 적절한 가슴압박 위치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치원생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에 효과가 있었으며, 유치원생들도 최초반응자의 역할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사전 교육 평가의 영향 (Effect of pre-educational evaluation on CPR education of the General population)

  • 양현모;김경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05-11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 평가 수행 여부가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는 것이다. 사전 평가그룹(PTG)의 경우 교육 전 1분 동안 사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사전 평가를 수행하지 않은 그룹(NPTG)은 정규교육만을 진행하였다. 두 그룹 모두 교육 후 1분 동안 술기 평가를 수행하였다. PTG의 사전 및 사후 평가를 비교한 결과, 가슴 압박의 깊이, 속도, 압박 후 이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두 그룹의 교육 후 가슴 압박 수행 결과에서는 가슴압박 속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 후 자심감 결과에서는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훈련 전에 실시한 사전 평가는 가슴 압박의 결과뿐만 아니라 자신감 향상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교육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전 평가 등의 추가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새로운 영아 가슴압박법의 비교: 마네킨을 이용한 랜덤화 교차 시뮬레이션 연구 (A Novel Method of Infant Chest Compression: A Study on the Cross-Simulation of Randomization Using Manekin)

  • 윤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527
    • /
    • 2019
  • 심정지(Cardiac arrest)는 원인과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심정지 발생 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유일한방법 중 하나는 심폐소생술이며 이 술기를 통하여 순환을 유지 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률과 신경학적 예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술기이다. 영아 심폐소생술의 경우 두 손가락으로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해부학적으로 손가락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수직압박이 힘들어 미국심장협회에서 권장한 가슴압박깊이에 도달하기 힘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영아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 시행 시 새로운 가슴압박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가슴압박 방법에 따라 가슴의 평균압박깊이 및 평균압박 속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또한 가슴압박의 편리성 및 통증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아 심폐소생술 중 새로운 가슴압박법 시행 시 정확도가 높아지고, 가슴압박 깊이가 나아져 가슴압박의 질적 지표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심폐소생술 구조자의 무릎 높이 정도가 흉부압박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nee Height of CPR Rescuer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 박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99-1705
    • /
    • 2012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행 시 구조자의 무릎이 바닥으로부터 10 cm 높은 위치와 바닥 위치 간에서 흉부압박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G광역시의 G대학 응급구조과 1학년 재학생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을 이수한 66명 중, 무작위추출과정을 통해 2011년 11월 8일부터 9일까지 실험군 31명, 대조군 32명으로 선정하였다. 바닥으로부터 10 cm 위치(재질: B4 Copy Paper)와 바닥 위치에는 공통으로 매트리스(재질: PVC, 사이즈: $185{\times}125{\times}0.65cm$)를 깔고 2분 동안 흉부압박 만을 시행하였다. 실험 처치는 Resusci Anne 마네킨 1대를 사용하였으며, Laerdal PC SkillReporting System으로 시행결과를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으로 $x^2$-test와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Mann-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심폐소생술 구조자의 무릎이 바닥으로부터 10 cm 높은 위치가 바닥 위치보다 흉부압박 적절한 깊이(회), 평균 흉부압박 깊이(mm)가 더 효과적이었는데, 신장 170 cm 이하 그룹, 몸무게 65 kg 이하 그룹에서 흉부압박의 적절한 깊이(회), 평균 흉부압박 깊이(mm)가 효과적 이었다.

COVID-19 대응 심정지에서 가슴압박 교대 인원에 따른 구조자의 피로도 -마네킹 연구- (Measuring rescuer's fatigue by evaluating varying sized groups of rescuers performing chest compressions on a manikin study for suspected COVID-19 patients)

  • 안희정;심규식;방성환;송효숙;한승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1-92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measure the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the fatigue of rescuers wearing PPE (Level D) during a CPR session and to ultimately provide suggestions of safety standards for rescuers. Methods: 36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of two-members, three-members, and four-members. Each group performed CPR for 30 minutes. Blood lactate concentration, heart rat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chest compression depth and rate were measured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ach cycle.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CPR cycle by member of shifts (p=.014).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creased during CPR (p=.000). Subjective fatigu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chest compression in cycles 3, 4, and 5 for the member of shifts during CPR (p=.049, p=.009, p=.015). Depth and rate of chest compression were not different for the member of shifts during CP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member of shifts during CPR, to reduce the fatigue of rescuers.

A Survey on the Performance Abi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Physical Therapists

  • Kim, Gyoung-Mo;Kim, In-Seop;Nam, Tack-Gil;Kang, Kwang-S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51-155
    • /
    • 2019
  • 본 연구는 물리 치료사의 심폐 소생술(CPR)의 지식 및 가슴압박 수행 능력을 조사하는 것이다. 심폐 소생술 교육받은 그룹과 교육받지 않은 물리치료사 그룹 간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가슴압박 수행 능력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물리치료사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확한 이론적인 지식과 가슴압박 수행력간의 불일치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물리치료사들의 응급상황에 대한 조기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심폐소생술 지식수준 향상과 가슴압박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교육 및 훈련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생 가슴압박소생술과 기본심폐소생술의 교육효과 비교 (Comparison of Educational Effects on Hands-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ith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안명자;김영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0-139
    • /
    • 2014
  •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ducational effect about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of Hands-only CPR and Basic CPR. Methods: I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repeated quasi-experiment study conducted with entire fifth grade students belong to one school in H city. The study participants are 68 person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 2013 to February 7, 2014.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10 items, and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was measured by 5 variables which are average compression depth(mm), average rate (n/min), average count per minutes (n), abnormal placement (n), compression accuracy (%). Results: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 and was the highest at posttest 1 (immediately after education), the lowest at pretest (before education), middle at posttest 2 (8weeks after education) (p<.001).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average rate per minute. At posttest 1, experimental group was $130.0{\pm}9.38$ times, control group was $95.1{\pm}11.82$ times. At posttest2, experimental group was $124.0{\pm}14.89$ times, control group was $90.8{\pm}14.89$ times.(p<.001). Average rate (n/min) was significantly declined at control group i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over time (t=-2.400, p=.022). Average count per minute and compression accuracy were declined significantly so it were not maintained to posttest2. Conclusion: We need continuous CPR education because self-efficacy of CPR getting lower significantly over time. Hands-only CPR can't be seen as a way to increase the CPR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ing difficulty to perform artificial breathing. And, because the effect of education is not maintained 8wks after training, the technique centered repeated training is needed and a method which can increase compression accuracy is also needed.

이송 중 구조자용 벨트(EMT-belt) 착용에 대한 가슴압박 성공률 비교 (Comparison of success rates of chest compressions performed with and without a rescuer's belt during transfer)

  • 김경용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3-123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This study suggests a more effective method of performing effective chest compressions for a cardiac arrest patient in a moving ambulance. Method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license (qualification), SPSS 18.0 (Windows) was used. Independent and paired t-tests were used for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wearing a rescuer's belt. Results: The success rate of chest compressions according to gender was higher in males ($68{\pm}21.91%$) than in females ($25.04{\pm}16.88%$).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license ($44.70{\pm}26.63$ for paramedic, $45.05{\pm}19.25$ for nurse). However, the depth (mm) and the success rate (%) were improved during the evaluation of chest compressions when wearing the rescuer's belt (depth: $46.95{\pm}6.49$ vs. $49.55{\pm}6.05$, success rate: $44.80{\pm}24.66$ vs. $57.39{\pm}26.823$). Conclusion: Wearing a rescuer's belt in an ambulance during patient transport can result in deeper and more accurate chest compress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recovering the circulation of patient with cardiac ar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