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gsa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1초

느타리 신품종 "청산"의 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ew oyster mushroom variety "Cheongsan")

  • 이광재;박영학;조병주;이병용;주진호;박동식;김경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4
    • /
    • 2007
  • 단핵균주 간 교잡을 통해 육성된 고품질 다수확 느타리버섯 "청산"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 균사생장적온은 $27{\sim}28^{\circ}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14{\sim}17^{\circ}C$이다. 나. 갓색은 진회색이고 얕은깔대기형이며 발생형태는 다발형이다. 다. 대색은 백색이고 형태는 굵고 긴형이다. 라. 버섯의 균일성에 있어서 갓색과 갓형태의 이형개체 발생은 없었고, 배양기간에서도 지역간 균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 균상재배 시 초발이소요일수는 20일 내외, 자실체 생육일수는 4일이며,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 평균 $38kg/3.3m^2$을 나타냈다. 바. 청산느타리버섯은 균사활력이 강하며 적정생육온도에서 진회색을 띄나 적정온도이상의 재배환경에서는 갓색이 회색으로 바뀌어 품질이 저하되므로 생육온도 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사. 발이량이 많으므로 재배 시 환기조절에 주의하여야 하며 갓이 약해 부서지기 쉬워 수확 및 포장 시 특히 주의를 요한다.

  • PDF

국내 양식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서의 주요 영양학적 성분의 평가 (Evaluation of Major Nutrients of Domestic Farmed Eels Anguilla japonica)

  • 조혜선;최종환;고홍범;서재성;안준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2
    • /
    • 2011
  • To evalu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ain nutritive ingredients (vitamin A, $V_A$; vitamin E, $V_E$; cholesterol;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between eels cultured in different domestic eel farms, we analyzed edible parts of eels that were cultured in three "Water Recirculation System (WRS)" farms and three "Still-Water System (SWS)" farms. We found differences in crude protein, crude lipids and the ash content of eel meat between the farms, but water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V_A$ and $V_E$ contents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e methods, but there was a noticeable distinction between the eel farms. In particular, $V_E$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els of each farm (highest farm, about 25 mg/100 g dry wt; lowest farm, about 1 mg/100 g dry wt). The fatty acids of cultured eels were composed of monoenes (MUFA, 55-60%), saturates (SFA, 30-33%), $\omega$-6 highly unsaturates (HUFA, 1.6-2%) and $\omega$-3 HUFA (8-9.2%). The MUFA content of WRS eels ($59.9{\pm}1.97%$) was higher than that of SWS eels ($55.8{\pm}0.48%$). The contents of other fatty acids were higher in SWS eels (SFA, $33.0{\pm}0.52%$; $\omega$-6FUFA, $1.98{\pm}0.2%$; $\omega$-3 HUFA, $9.2{\pm}0.67%$) than in WRS eels (SFA, $30.5{\pm}1.34%$; $\omega$-6 HUFA, $1.62{\pm}0.19%$; $\omega$-3 HUFA, $8.0{\pm}0.5%$).

복운모 화강암의 암석화학적 특징 : 청산, 인제-홍천, 영주 및 남원지역의 예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Mica Granites : Examples from Cheongsan, Inje-Hongcheon, Yeongju and Namwon areas)

  • 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0-225
    • /
    • 1997
  • 청산, 인제-홍천, 영주 및 남원지역에 분포하는 복운모 화강암은 과알루미나질이며, 일반적으로 S-타입 및 티탄철석계열의 화강암류임을 나타내어, 지각물질로부터 유래된 마그마가 환원 환경에서 관입.고결하여 생성된 것이다. 인제-홍천과 남원 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은 각각 반상 흑운모 화강암과 높은 Ti/Mg 비의 흑운모 화강암으로부터 분화.파생된 잔류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다. 청산과 영주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은 접촉하고 있는 반상 흑운모 화강암과, 화강섬록암과는 각각 성인적인 관련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원과 영주지역 복운모 화강암은 비교적 물에 포화된 마그마로부터 형성되었고, 청산과 인제-홍천지역 복운모 화강암질 마그마는 물에 불포화 되었음이 나타난다. 한편, 물에 포화되었던 남원지역의 흑운모 화강암과 복운모 화강암에 있어 마그마 내의 물의 함량은 5.8wt.%이상으로 추정되고, 영주 목운모 화강암질 마그마의 경우 2.4~5.8wt.%정도의 물을 포함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인제-홍천과 영주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의 최소융해액 조성으로 구해지는 압력 (0.5~2kb)과 세립질 내지 극세립질의 암석 조직은 화강암질 마그마가 지각의 얕은 곳에서 관입.배태된 양상을 나타내며, 청산과 남원지역의 복운모 화강암의 경우 최소융해액 조성 압력(2~3 kb)과 세립~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암석 조직으로부터 비교적 지하 심부에 관입.배태외었음을 알 수 있다. 화강암질 마그마의 고상선/백운모의 안정선의 교점으로부터 물에 포화된 마그마에서는 최소한 약 1.6kb (약 6km)이상의 압력에서 마그마기원의 1차 백운모가 정출될 수 있으며, 그 이하에서는 고상선 아래에서 교대작용으로 2차적인 백운모가 형성된다. 반면, 물에 불포화된 마그마에서 1차 백운모가 정출되기 위해서는 보다 놓은 압력이 요구된다. 백운모 형성에 대한 이 조건은 각 지역 복운모 화강암에 산출되는 백운모에 1차 백운모와 2차 백운모 양쪽이 나타남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한편, 실험으로 구해진 백운모의 안정선의 적용에는 주의가 필요하고, 특히 순수한 합성 백운모 단성분을 이용한 실험의 경우 팔면체 배위에 Ti, Fe, Mg의 성분이 첨가됨에 따라 안정선이 높은 온도 영역으로 이동됨을 고려해야 한다.

  • PDF

중부 옥천대의 지구조 발달과정 (Tecton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 강지훈;;류충렬
    • 암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9-15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옥천, 청산, 문경 부운령, 부산 지역에서 작성된 암상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 변형단계별 지질구조와 미구조, 변형작용과 변성작용 사이의 상대적 시간관계 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결과와 옥천누층군에서 최근까지 보고된 절대 및 화석 연대자료로부터 중부 옥천대의 지구조 발달과정을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첫 번째 지구조운동($D^*$)은 원경기육괴를 북부 경기육괴(현재의 경기육괴)와 남부 경기육괴(부산 및 박달령 편마암복합체)로 분리시키는 열곡작용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전기 고생대 동안에는 조선누층군과 이에 상응하는 옥천누층군의 하위층군(석영사질암, 이질암, 탄산염질암, 염기성질암)이 옥천열곡분지에 퇴적 및 분출 관입되었고, 후기 고생대 동안에는 평안누층군과 이에 상응하는 옥천누층군의 상위층군(역질암, 이질암, 산성질암)이 퇴적 및 분출 관입되었다. 두 번째 지구조운동(옥천-청산 지구조운동/송림조산운동: D1)은 후기 페름기~중기 트라이아스기 동안에 발생하였고, D1은 전기단계의 옥천 아지구조운동(D1a)과 후기단계의 청산 아지구조운동(D1b)으로 구분된다. D1a는 북부 경기육괴와 남부 경기육괴의 결합 즉 옥천열곡분지의 닫힘운동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며, 그 초기단계에는 옥천누층군에 조립흑운모, 석류석, 십자석 등 중압형 변성광물의 성장과 관련된 M1 중압형 변성작용을 발생시켰고 그 후기단계에는 옥천 중압형 변성암류를 남동-버젼스의 몇몇 나쁘로서 발굴시켰다. 그 결과 옥천변성대에서는 남동-버젼스의 지구조단위들이 형성되고 옥천누층군에는 이에 수반되어 대규모 칼집습곡, 광역엽리, 신장선구조가 형성되었다. D1b는 (북)북동-(남)남서의 압축지구조 환경하에서 발생하여 남중국판(경기육괴와 옥천변성대)과 북중국판(영남육괴와 태백산대)을 결합시켰다. 주요 지질구조로는 결합부의 선단부와 후미부에 (북)북동-버젼스 내지 (남)남서-버젼스를 갖는 (서)북서 방향의 충상단층이 형성되고, 결합부의 측면부에는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청산전단대와 조선 및 평안누층군에 북북동 방향의 직립습곡이 형성되었으며, 한반도에는 대동분지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 후기 트라이아스기~전기 쥬라기의 대동층군이 퇴적되고, 세 번째 지구조운동(호남 지구조운동/대보조산운동: D2)은 전기~후기 쥬라기 동안에 북북동 방향의 우수 주향-이동성 호남전단운동의 횡압축응력 지구조환경하에서 발생하여 옥천누층군에 비대칭 파랑습곡과 조선 및 평안누층군에 북북동 방향의 횡와습곡과 후기 트라이아기 이전의 지층군이 대동층군의 상부로 충상하는 동남동-버젼스의 충상단층을 형성시켰다. M2 홍주석-규선석형 접촉변성작용은 D2의 휴식기에 해당하는 중기 쥬라기에 대보 화강암류의 관입에 의해 발생하였다. 네 번째 지구조운동(청마리 지구조운동: D3)은 전기 백악기에 남-북 방향의 압축지구조 환경하에서 발생하여 북북동 방향의 좌수 주향-이동성 전단운동에 수반된 당겨-열림형 백악기 퇴적분지를 형성시켰다. M3 후퇴변성작용은 주로 D2 이후에 발생하여 옥천누층군에 녹니석 반상변정을 결정시켰다. D3 이후 옥천지역에서는 기생 킹크습곡과 함께 대규모 금강 끌림습곡을 수반하는 좌수향 금강단층운동(금강 지구조운동: D4)이 발생하였고 이들 킹크습곡은 후기 백악기의 산성 암맥에 의해 관입된다.

완도 양식장 해역의 수온변동 (Seawater Temperature Variation at Aquafarms off Wando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 양준용;이준수;한인성;최용규;서영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14-519
    • /
    • 2012
  • 전라남도 완도 연안 해역은 전복양식이 중요하고 최근 해상가두리 양식이 보편화되어 전복사육과 폐사에 중요한 수온의 변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완도해역에 위치한 신지도, 청산도의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연속자동관측 수온자료를 이용하여 완도 양식장 해역의 수온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안에 가까운 신지도의 연간 수온변동 범위와 수온증가율이 청산도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수심이 낮은 연안 해역에서 하계 태양복사열에 의한 가열과 동계의 냉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계의 수온 감소율이 춘계의 상승률보다 컸고, 하계에 조석 주기의 단주기 수온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급격한 수온변화에 해당하는 큰 수온일교차는 청산도에서 크게 나타났다. 수온 자료로 판단한 전복양식장은 외해에 위치한 청산도가 연안보다 더 적절한 해역으로 판단된다.

지하수 모델링을 통한 지하수댐 건설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Using Groundwater Modeling)

  • 김지욱;임경남;박현진;이보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3호
    • /
    • pp.11-22
    • /
    • 2013
  • SEAWAT, a linked modeling program of Visual MODFLOW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s and salinity related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in Cheongsan island, Wando-Gun, Jeollanam-Do. The steady-state model results show the groundwater flow and salinity distribution of the studied area. The groundwater flows from north-west and south-east highlands into the river,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basin, and is eventually discharged to the ocean. Part of the sea water infiltrates into the river; and through the estuary's alluvium aquifer, the sea water intrusion takes place spreading to about 830 m from the ocean. The transient model results show that after the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groundwater levels will rise to a maximum of 2.0 m upstream, and the groundwater storage will increase 21,000 after 10 years. Meanwhile 31% of the total area affected by sea water intrusion will decrease. To conclude, the groundwater dam is a very useful method for a secure water resource in preparation for drought and water shortages in the island regions.

복합탈묵제의 ONP 탈묵 적성 (Deinking efficiency of ONP with enzyme blended deinking agent)

  • 윤경동;박헌신;엄태진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67-173
    • /
    • 2006
  • Deinking is a series of unit operations designed to detach ink from cellulose fibers and separate the dispersed ink from the pulp slurry. Deinking chemicals are process aids that enable expensive mill equipment used in these unit operations to operate more efficiently - often much more efficiently. We propose the blended deinking agent with cellulolutic enzymes and synthetic collector in deinking pulp of conventional alkaline method. The deinking efficiency of old news print in alkaline pH was enhanced with enzyme treatments. The brightness of deinked pulp was increased with less residual ink particles and yield of enzymatic deinked pulp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deinked pulp of conventional alkaline method. Enzymes in biomass were use to Chemical Deinking for reduce environment pollution through surfactant and improve surfactants. examining into compatibility Enzymes and surfactants, these new materials are studied efficiency of deinking efficiency.

  • PDF

한탄강 인근 제4기 고토양층에 대한 토양화학 및 고지자기학적 연구 (Paleomagnetic and Soil Chemical Studies on the Quaternary Paleosol Around the Hantan River)

  • 김복철;황재하;이윤수;이규호;남욱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3호
    • /
    • pp.325-334
    • /
    • 2004
  •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靑山面) 궁평리(宮坪里)의 한탄강변에 발달하는 토양에 대하여 고지자기 분석, X-선 회절분석 (XRD), 토양 분광스펙트럼 분석, 총유기탄소(TOC)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토양은 비고화 지층으로 제4기 전곡현무암 하부에 놓여있으며, 선캠브리아기의 호상편마암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제4기 전곡현무암 분출 직전(271.2$\pm$189.8 ka)에 토양화작용을 받은 고토양층(古土壤: paleosol)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고토양층은 두 번의 서로 다른 시기에 형성된 켜(layer)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적학적, 자기적, 토양 화학적으로 뚜렷하게 구별된다.

남서해안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해조군집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South-west Coast of Korea)

  • 오병건;안중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01-106
    • /
    • 2021
  •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monthly during May, July and September 2012. As the results, a total of 86 species including 10 greens, 17 browns and 59 reds was identified, except for blue-greens and crustose reds. The seaweeds that commonly appear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are the green algae Ulva australis, the brown algae Ishige okamurae, Myelophycus simplex, Sargassum fusiforme and S. thunbergii and the red algae Gelidiophycus freshwateri, Gelidium. elegans, Corallina officinalis, C. pilulifera, Caulacanthus ustulatus,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and Chondrus ocellatus. In Jodo district (Yemiri, Changuri), Ulva australis and Gloiopeltis furcata were dominant species in May, Sargassum fusiforme and Ulva australis were dominant in July, and Gelidiophycus freshwateri and Ulva australis were dominant in September. In Soan/Cheongsan district (Hwaheungpo, Jungdori), Gloiopeltis tenax and Chondracanthus tenellus were dominant species in May, and Gloiopeltis tenax and Chondracanthus tenellus were dominant in July as well as in the spring. And the Caulacanthus ustulatus and Corallina sp. were dominant species in September.

남서해 도서 민가의 '마리' 공간 연구 (A Study on the Unit Space 'MARI' of the Private Houses in the Insular Areas of Southwestern Sea)

  • 김지민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41-56
    • /
    • 2011
  • This study mainly examined the unit space (room) called 'MARI' of the private houses that were built between the 19c and the early 20c in the insular areas of southwestern sea. Generally, this region has unique historicity (restructure of the insular environment in the 17c and the 18c) and geographic environment that are different from inland regions thus the environment is presumed as a related factor to developments and structures of the private houses. 'MARI' is a noticeable space that is installed in a main building without an exception even in small 3 bedroom private houses. Its nature has location and usage distinctions in an architectural plan with similar 'MARU' of inland Jeollanam-Do. There are large crocks filled with grains at MARI. Thus, MARI is a storage room. Mostly rice and various other kinds of grains are stored in the several crocks, large and small. Many household goods are kept here as well. Another peculiar function of MARI is that this space commonly enshrines ancestral tablets of three generations. Hence, MARI takes a role of a shrine of an aristocratic house from an inland regio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house and space, this seems to be a very unprecedented utilization of area. MARI is located at the top (at the head of the house) on the floor plan. In other words, it is located at the space in the highest rank. The importance of ancestor worship and grains is evinced architecturally. It is really interesting fact that MARI is also located within recently built modern houses (Cheongsan Island, Joyak Island, etc.).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MARI tradition of this region has an intact continuity even today. After all, MARI has a great significance as a unique unit space of insular areas of southwestern sea that is installed in the main buildings of all houses regardless of size and shape of the houses, and their insular lo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