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dogyo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건축가 이훈우에 대한 추가 연구 및 관련 자료 (Further Research on Architect Yi Hunwoo and Related Materials)

  • 김현경;유대혁;황두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3호
    • /
    • pp.45-54
    • /
    • 2021
  • In 2020, Yi Hunwoo was discovered as one of the earliest modern architects in Korea. However, his personal life was yet mostly unknown, including the time of his death. The research team ('the team' hereafter) searched for the records of his personal life and professional career. First, his family genealogical chart revealed that he died in 1937. Having located and contacted Yi's direct descendents, the team was able to clarify his family background with the descendants' testimonies. They possess the photographs of him and his family members, including Yi's picture when he was a freshman at the Nagoya Higher Technical School in Japan. The team also identifies his birthplace and the location of his grave as Hadong, Gyeongsangnamdo, Korea. The team visited his project site in Jinju, Gyeonsangnamdo, Korea and obtained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lshin Girls' High School, which he designed in 1928. Gyohoan, the congregation records of Cheondogyo, one of the leading religions in Korea during Yi's times, confirmed that he was one of the congregation members. The field research also discovered the house he designed and built in his hometown of Hadong, probably the only surviving architectural project by him. This paper is to report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Yi's life and career with the aim of providing materials for further studies in identifying and positioning him more properly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architectural scene.

The Post-Jeungsan Grassroots Movements: Charismatic Leadership in Bocheongyo and Mugeukdo in Colonial Korea

  • David W. KIM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57-85
    • /
    • 2023
  • The politico-economic waives of Wester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long with Christianity, affected East Asia's geopolitical landscape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While the Korean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witnessed the incompetence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folk religions in maintaining social cohesion with a sense of frustration, the new religious movements (NRMs) emerged to provide altrnative teachings of hope through historical figures like Choe Je-u, Kang Il-sun (or Kang Jeungsan), Na Cheol, and Pak Chungbin. In terms of popularity, colonial Korea (1910-1940) was impressed by the native groups of Cheondogyo (=Donghak), Bocheongyo, and Mugeukdo. Son Byong-hee (1861-1922) was the third leader of the first Korean NRM, but both Cha Gyeong-seok (1880-1936) and Jo Cheol-Je (= Jo Jeongsan) (1895-1958) participated in the post-Jeungsan grassroots movements. How, then, did both of these new religions originate? How did they conceptualise their deities and interpret their teachings differently? What was their policy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article explores the socio-religious leaders, historical origin, organizational structure, deities, teaching and doctrines, patriotism, and conflicts of both NRMs in a comparative context. As such, this article argues that they both maintained patriotic characteristics, but that Cha's Bocheongyo community with its ' 60-executives' system (60 bang) failed to manage their internal conflicts effectively. Meanwhile, Jo Cheol-Je of Mugeukdo had the charismatic leadership needed to maintain Mugeukdo, despite being seen as a pseudoreligion under the colonial pressure of Shintoism.

대순진리회의 이상사회론 연구 (A Study on the Theories of Ideal Society in Daesoonjinrihoe)

  • 나권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21권
    • /
    • pp.409-452
    • /
    • 2013
  • This paper aims to cast light on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 religions' utopia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and apply the findings to the utopian theory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The utopian theory of the new religions in Korea occurred to meet people's aspiration towards a new world on the background of the national ordeal and its consequential psycholog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a resul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hift from a pure religious framework to participation in reality to realize religious ideals 'right here, right now'. Thus, it basically defined an utopian theory as the product of a society and history, and explained the utopian theory as the projection of the thoughts about current conflicts. However, an approach in this way may leave the likelihoo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esoonjinrihoe would be overlooked and the utopian theory would be limited to the byproduct of the age, only. Thus,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founders as the lead of discussion, not a sociological approach. In this context, the religious experience of founders can be more significant clues to view the characteristics of an utopian theory. This directivity of a study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improve the previous sociological methodologies, the leading discourses, and to contribut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an understanding of the utopian theories of Daesoonjinrihoe. Furthermore, this paper is anticipated to give salience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new religions in Korea and to enhance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thoughts, not as the trend of the thought limited to the past.

양수명과 이돈화의 근대화에 대한 견해 및그 철학적 근거에 대한 비교 연구 - 한·중 신문화운동 시기의 저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iang Shu-Ming and Lee Don-Hwa's Perceptions of Modernization and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their Perceptions : Focusing on Works during the New Cultural Movement Period in Korea and China)

  • 황종원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319-352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신문화운동 시기, 양수명과 이돈화의 근대화에 대한 견해 및 그 철학적 근거에 대해 비교, 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시기 두 인물의 한중 양국 신문화운동에 대한 적극성은 달랐지만 서구적 근대화에 대한 태도 및 이 태도를 정당화하는 생명철학적 근거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양수명은 서구적 근대화에 찬동하면서 서구에서 과학과 민주가 발전할 수 있었던 정신적 동력의 문제에 대해 삶의 세 가지 근본문제, 그에 대한 인간의 세 가지 태도, 이로부터 유형화한 세 가지 문화 및 그것의 3단계 재현설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답변했고 생명의 자기중심성에 대한 주목에서 출발해 자기와 타자의 분리를 전제로 이성을 동원해 대상을 계산하고 개조하는 삶의 태도를 서양의 정신으로 규정함으로써 그것에 대한 문제의식의 첨예성을 드러냈다. 한편 이돈화는 서구적 근대화에 대해 기본적으로 찬동하면서도 처음부터 서구적 근대의 병폐를 지적하고 이를 천도교의 인내천(人乃天)주의로 극복하려 했다. 근대 과학을 수용하면서도 신비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주장, 진화론을 수용하면서도 이것이 천도교 식 창조론과 모순되지 않는다는 주장, 서구의 생철학적 개념을 사용하면서도 동학의 교의에 입각해 생명의 타자 연관성, 협동성, 연대성을 강조하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렇게 근대를 수용하면서도 근대를 넘어서려는 그의 태도는 양수명보다 한발 앞선 것 같지만, 아쉽게도 그에게는 서양의 정신에 대한 첨예한 문제의식이 보이지 않으며, 그로 인해 그의 서구 근대에 대한 비판은 양수명처럼 이성에 대한 비판으로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혼·상·제례 연구 (A Study on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ound in 『Hajaeilgi』)

  • 송재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435-466
    • /
    • 2018
  •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의 공인(貢人)이었던 지규식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 7개월에 걸쳐 거의 매일 쓴 "하재일기(荷齋日記)"에는 국내외 정세와 풍속, 의례, 분원 관련 각종 제반사항, 일상생활사 등을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특히 지규식의 신분은 양반계층이 아닌바, 이 같은 신분으로 쓴 일기는 흔치 않다. 그런데 필자가 여기서 주목하는 것은 "하재일기"에 기록된 의례, 그 중에서도 관 혼 상 제례 관련 내용이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당시 실제로 행했던 관 혼 상 제례 관련 내용을 "하재일기"에 기록으로 남겼는바, 이러한 일기는 매우 드물 뿐만 아니라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된다. 특히 19세기 말~20세기 초의 관 혼 상 제례의 일면을 엿볼 수 있어 여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관례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월에 행했는데, 이 시기에는 시행시기의 다변화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일부 양반가도 예외는 아니었다. 혼례의 경우, 혼사를 논의할 때 개화되어 가는 과정 때문에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 파기하는 경우가 종전보다 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택일도 신부 집에서 정했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중인들이나 평민들의 경우, 신부 집에서 혼례를 치렀지만, 부득이 한 경우에는 신랑 집에서 혼례를 치루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규식 자녀들의 혼례는 전통적 절차를 비교적 충실하게 밟고 있었지만, 양가의 형편과 사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예법을 무시한 채, 상중에 혼례를 치르거나 신부를 데려와 신랑 집에서 혼례를 거행한 것은, 근대화 과정에서 외래 종교 및 외래문화의 유입과 이식, 일제의 식민통치, 특히 유교적 사회질서 쇠퇴 등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이혼도 종전보다 흔했던 것 같다. 상례의 경우, 임종에서 발인하여 하관까지의 기간이 다양한바, 종전보다 다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대부도 보통 임종서 발인까지 3개월인데, 여기서는 7일인바 이를 안 지키는 양반가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하는 3일장과 초우 재우 삼우제의 흔적을 "하재일기"에서 찾을 수 있는바, 위의 자료들은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된다. 제례의 경우, 제사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규식은 기제사를 지내기 전에 재계(齋戒)를 안 했으며, 심지어 제사 전날 술집에 가서 애인을 만나거나 또는 술을 마시기도 하였다. 당시 양반사대부가 하고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지규식은 기독교에 입교하고 나서도 기제사를 지냈으며, 천도교에 입교한 후에도 제사를 지냈다. 한편, 지규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식과 추석 때 직접 또는 동생이나 아들들을 보내 묘소에 가서 차례(묘제)를 지내게 했다. 그렇다고 지규식이 10월에 묘제를 지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지규식은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상으로 지내는 생일제사를 생신차례라고 하여 거의 매년 지냈다. 그런데 생신차례와 제사를 별개로 지낸 적도 있어 특이하다. 신분제도가 철폐되고 일제가 강점할 무렵의 경기도 광주지역 중인출신 집안의 기제사, 차례와 묘제, 생신차례를 지내는 모습은 양반가의 제례 관행보다는 약간 다르고 덜 엄격하지만, 양반이 아닌 집안의 제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보듯, "하재일기"에 나타난 관 혼 상 제례의 내용은 자료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