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response

검색결과 1,834건 처리시간 0.033초

화학사고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정보공유체계 개선 연구 (Improvement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Efficient Response of Chemical Accident)

  • 이태형;윤정현;허화진;이율범;유병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61
    • /
    • 2018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support system among the accident response organizations to enable prompt and efficient response in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In other words, by applying mobile messenger function, it is proposed to improve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ident response promptly and accurately, and facilitat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ccident response organizations and field responders, thereby enabling efficient and organic respons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time before and after the chemical accid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e ratio of processing of substance information and chemical air diffusion information within 30 minutes was improved by 8% and 3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applying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aring system to the chemical accident respons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accident more effectively.

국내 화학테러 초기대응체제의 발전방향 (한·미 화학테러 초기대응체제 비교를 중심으로)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Domestic Initial Response System for Chemical Terrorism)

  • 은종화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0-73
    • /
    • 2009
  • This paper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Initial Response System." Initial response system is most important and should be treated urgently among all preparations for chemical terrorism. The objects of Initial response system are to protect civilians and the first responder who are exposed directly to chemical terrorism.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wo main issues about Initial response system. One is to prepare immediate and exact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assures the safety and survival of exposed people. The other is to build Scene Response System integrated with Command-Control Procedure for early finished situation. Compared to United States, overcoming the Chemical Terrorism require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wo categories: Counter Citizen Response part and Initial Scene Response part. For Counter citizen response part' s sake, the web-sites of Response leader agencies for searching information about chemical terrorism should be modified specifically. These web-sites have to be re-organized in detail. The existing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has been vaguely informed as "CBRNE Accident" needs to be divided as "CBRNE Accident" and "WMD terrorism." Further, each of them should be specialized in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ategories. There is a need to rearrange current Emergency Instruction for civilians against chemical terrorism in feasible way.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applied consistently to all organizations through agreement between experts and related-organizations. For Initial Scene Response part's sake, "Initial scene response procedure (SOP)" and "Operational conception" should be produced through Simulated Exercises and workshops of all organizations related with initial response. These organizations have to cooperate with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is the main leader Agency as the center. Nex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and Scene Response Equipments, and to standardize the response equipments which consider the capability of First Responders for chemical terrorism. Especially, improving capability of equipments is required to overcome the vulnerability of Scene Response Equipments.

  • PDF

화학재난 현장에서의 사건원인 화학물질 탐지절차 연구 (On the study of Chemical Disaster Cause Chemical Detection Process)

  • Kim, Sungbum;Ahn, Seungyoung;Lee, Jinhwa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52-457
    • /
    • 2014
  • 화학재난 발생시 현장대응 요원들은 사건 원인물질의 성상과 잔류오염 농도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한 화학재난 현장에서의 적절한 대응절차 진행을 위해서는 화학물질의 성상과 오염농도 확인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사용하는 각 장비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장대응장비는 모든 화학물질을 확인할 수 없으며, 각 장비별로 물질탐지에 제한적이다. 장비별 물질탐지 범위와 상호보완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활용장비인 간이탐지 킷과 검지관식 탐지장비, 전자식 탐지장비의 신속한 현장 활용을 위한 대응절차를 마련하여 현장대응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모델링 기반 사고 대응 절차 수립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Recommendation for Planning Emergency Response Using Model-Based Approach)

  • 설지우;채충근;이경진;문명환;고재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95-200
    • /
    • 2017
  •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은 사고 발생 시 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용한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의 개발을 위하여 개발 절차에 공학적 방법론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방법론에 Bow-Tie 기법, 사고 전개 모델, 위험 대응 의사결정 등 위험 관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반화된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절차를 제안하였으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Sheet를 개발하고, 특정 Case를 적용하여 Sample Guide를 작성하였다.

화학사고 대응계획: 국내 지역간 비교연구 (Chemical Accident Response Pla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Regions in Korea)

  • 최민제;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57-64
    • /
    • 2024
  • 2015년 화학물질관리법 전면 개정에 따라 국내 유해화학물질 관리 패러다임이 사업장 단위에서 지역 단위로 변화하였다. 이에 2020년 지역화학사고대응계획이 수립되었으나 지자체마다 대응 범위와 기준에 대한 내용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지역내 수립된 화학사고대응계획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효과적인 화학사고 대응계획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공개된 자료를 기반으로 시 단위 4개 지역의 사고 대비 현황, 화학사고 대응시스템, 주민 대피 대응 및 교육훈련의 3가지 차원에서 지역별 대응계획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별 사고 대비 및 사고 대응시스템에서는 차이가 크지 않으며, 각 지역별 사업장 특성에 연계한 대비체계는 논의가 부족했다. 또한, 주민을 위한 교육 및 훈련에서 지역간 차이가 존재했다. 앞으로 각 지자체는 지역 환경 특성에 맞는 대응 조직을 구성하고, 유관 기관 협력을 통해 민첩하고 효과적인 사고 대응을 위해 전략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이상반응 화학사고 정보제공 개선 연구 (Investigation Study of Information Improvement in Chemical Accident by Extraordinary Chemical Reaction)

  • Kim, Sungbum;Lim, Myunghee;Park, Joongd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19-225
    • /
    • 2015
  • '12년 9월 발생한 (주)휴브글로벌 불산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를 대하는 국민과 대응기관의 인식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화학물질 취급업체는 소량 누출시에도 신속하게 대응기관에 신고절차를 이행하고, 대응기관은 사고대응에 많은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였다. 많은 화학사고 중 현장대응요원의 대응활동을 어렵게 하는 사고는 사고발생물질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와 혼합 화학물질, 대응과정 중 방재활동 즉, 소화용수 등에 의해 2차로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대응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응활동 시 이상반응에 의한 화학사고의 확대 또는 2차 생성물로 인한 피해상황을 맞이하는 대응요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도록 관련된 화학사고를 고찰하여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화학공장에서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이용한 비상 대응 계획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Plan System Us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Chemical Plants)

  • 임차순;서재민;엄성인;백종배;고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9-74
    • /
    • 2001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ccident scenarios of chemical plants through the analysis of lots of chemical accidents and using experts knowledge, and looked into the method of prevention and response. Moreover, we developed a systemic and actual Emergency Response Plan Software(ERPS) that could prevent, prepare and respond totally for the chemical industry facilities using the data from the accident effect estimation from the local society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a chemical plant. The ERPS consists of the information for the plant and process, the consequence analysis and the ERPTA(Emergency Response Plan Tree Analysis). In conclusio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help effectively all the chemical industry facilities to prevent and respond to possible accidents.

  • PDF

이동식 탱크차량을 위한 사고대응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Response Program for Hazardous Material(HAZMAT) Transport Vehicles)

  • 이현진;한승훈;채충근;용종원;태찬호;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6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탱크차량의 사고대응을 위해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사고대응 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잠재원인 식별 후,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절차에 따라 작성하였고, 최초 물질 데이터베이스는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를 적용하여 구축했으며, 데이터베이스 간의 유사점 확인을 통해 사고대응에 최적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Case Study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화학사고시 토양오염 사전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국내외 제도 분석 및 시사점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re-management System to Prevent Soil Contamination by Chemical Accident)

  • 유근제;양지훈;황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4호
    • /
    • pp.20-29
    • /
    • 2016
  • Although a number of chemical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in South Korea, the effective prevention act for soil contamin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so far. To effectively protect soil contamination from chemical accidents, decision support laws and regulations are absolutely essential. Regard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was aimed at diagnosing problems in current chemical safety management and prevention and response system against chemical accidents through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auses of chemical accidents and the accident response procedures and finally suggesting policy measures for solving those problems. In order to clarify management of soil contamination by chemical accident,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chemical accident preparedness, response, and making of local chemical management law and policy. This law needs to be supported by a clear management framework to guide government officials and all other stakeholders in the management of soil contamination by chemical accident.

단일 계단 응답에 근거한 Wiener형 비선형 공정의 간편한 모델 확인 방법 (Single Step Response Based Method for the Simple Identification of Wiener-type Nonlinear Process)

  • 임상훈;허재필;성수환;이지태;이용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89-96
    • /
    • 2023
  • 동적 선형 블록과 정적 비선형 블록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Wiener형 비선형 모델은 여러 화학 공정의 동특성을 묘사하는데 널리 사용되는데, Wiener형 비선형 공정의 모델 확인은 다소 긴 공정 활성화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일 계단 응답으로부터 Wiener형 비선형 공정 모델을 찾아낼 수 있는 새로운 모델 확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계단 응답의 초기 응답으로부터 선형 동적 블록의 예측 응답을 얻어 선형 동적 블록의 모델을 확인하고, 이어서 비선형 정적 블록의 모델을 확인한다. 본 방법은 단일 계단 응답만을 사용하여 공정 모델 확인을 위해 필요한 공정 응답을 얻는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적으로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공정 확인 방법의 성능은 대표적인 Wiener형 비선형 공정인 pH 적정 공정과 액위 공정을 대상으로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