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ju - scori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7초

Application of Subirrigation Using Capillary Wick System to Pot Production

  • Lee, Chi-Won;So, In-Sup;Jeong, Sung-Woo;Huh, Moo-Ryong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7-14
    • /
    • 2010
  • Alternative subirrigation way, capillary wick system (CWS) was tested to reduce labor cost, waste water, contamination of ground water, and use of fungicide compared to overhead irrigation system (OIS). CWS helped reduce remarkably the working hours for watering from 4 hours in OSI to just 5 minutes. Labor cost was saved 98% in CWS compared to OIS. B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wing media, 1 coconut coir+2 perlite (v/v) mixture was selected because it had an ideal distribution of three phase, e.g. 1 solid: 1 liquid: 2 gas phase. Medium mixture containing scoria had so high bulk and particle density to hurt root. In bark-containing medium, the liquid phase and the percent saturation of liquid phase with time elapsed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mixture. It meant that the mixture contained very low level of water. Application of CWS for cyclamen pot produ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ncident of fusarium wilt symptom from 18% in conventional over watering system to 4%. Cyclamen pot irrigated by capillary wick had shorter petiole and more leaves than those by overhead watering. As a result, this system was highly beneficial to get uniform pot products with high quality. It improved water and nutrient solution efficiency relative to conventional overhead irrigation system (OIS).

섬오갈피나무의 발아 및 유묘의 생육특성 (Growth of Seedl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 고한종;송창길;조남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2
    • /
    • 2003
  • 제주특산 식물인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 NAKAI)의 다량증식을 위하여 번식방법 및 유묘 생육 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는 15 에서 60일간 후숙시킨 다음 Kinetin 50ppm에서 24시간 침지후 5 에서 60일간 저온처리 하여 휴면타파한 것이 발아율 64%였다. 2. 녹지삽에서 호르몬 농도처리시 발근율은 IBA 100ppm에서 61.7%, NAA 50ppm에서 56.7%, IAA 100ppm에서 60.0%였다. 3. 녹지삽목에서 상토재료별 루톤 분의 처리 시 발근율은 송이+원예상토에서 76.7%, 비화산회토양에서 66.7%로 효과적 이었다. 4. 3월 30일 삽목하여 8월 10일 정식묘에서 활착율은 75%, 차광망 설치구에서 96%로 좋았으며 지상부 생육상황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좋았다. 5. 9월 30일 삽목하여 다음해 5월 2일 정식묘에서 활착율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91%로 좋았으며, 생육 및 수량성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양호하였다. 6. 전정부위에 따른 줄기 재생력은 지상 30cm 높이에서 전정한 것이 생육이 좋았다.

암석의 파괴규준에 따른 제주도 현무암의 강도 산정 (Estimation to the Strength of Basalt in Jeju Island according to Rock Failure Criterions)

  • 남정만;윤중만;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19권2호
    • /
    • pp.153-1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현무암에 대한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고 암석의 Mohr-Coulomb파괴규준과 Hoek-Brown파괴규준을 적용하여 강도정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파괴규준에 의해 산정된 강도정수를 비교검토하여 각각의 파괴규준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였다. 암석의 Mohr-Coulomb파괴규준을 적용한 결과 표선리 현무암의 경우 점착력은 5.35 MPa, 내부마찰각은 $50.25^{\circ}$이고, 조면암질 현무암의 경우 점착력은 16.99 MPa, 내부마찰각은 $60.66^{\circ}$이며, 스코리아의 경우 점착력은 2.33 MPa, 내부마찰각은 $37.05^{\circ}$이다. 암석의 Hoek-Brown의 파괴규준에 대한 회귀분석결과를 토대로 암석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선정할 수 있다. 표선리 현무암의 경우 점착력은 4.77 MPa, 내부마찰각은 $52.47^{\circ}$이고, 조면암질 현무암의 경우 점착력은 14.69 MPa, 내부마찰각은 $60.70^{\circ}$이며, 스코리아의 경우 점착력은 2.22 MPa, 내부마찰각은 $47.60^{\circ}$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Mohr-Coulomb의 파괴포락선과 Hoek-Brown의 파괴규준으로부터 추정된 파괴포락선을 비교한 결과 Hoek-Brown의 파괴규준은 Mohr-Coulomb의 파괴규준보다 점착력은 대체로 낮게 평가되는 반면, 내부마찰각은 크게 평가되고 있다.

Lade의 3차원 파괴규준을 이용한 현무암의 전단강도 산정 (Estimation to Shear Strength of Basalt using Lade's Three-dimensional Failure Criterion)

  • 남정만;윤중만;송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9-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현무암에 대한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고 Lade(1977)의 3차원 파괴규준을 적용하여 강도정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3차원 파괴규준에 의해 산정된 강도정수와 파괴면의 특성을 살펴보고, Mohr-Coulomb의 파괴규준으로 산정한 전단강도정수와 비교검토하였다. 삼축압축시험결과를 토대로 Lade(1977)의 3차원 파괴규준을 이용하여 파괴시의 ($I_1^3/I_3-27$)과 ($P_a/I_1$) 관계로부터 매개변수인 ${\eta}_1$ 및 m을 구하였다. 3차원 파괴면을 나타내는 정팔면체 평면에서 조면암질 현무암의 파괴면이 가장 크고 스코리아가 가장 작으며, 단면형상은 조면암질 현무암이 가장 삼각형에 가깝고 스코리아가 가장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팔면체 평면에서 삼축실험결과와 Lade의 파괴포락선 및 Mohr-Coulomb의 파괴포락선을 비교한 결과 높은 응력하에서는 Lade의 파괴규준이 실험치와 일치하며, 낮은 응력하에서는 Mohr-Coulomb의 파괴규준이 실험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ade의 3차원 파괴면은 Mohr-Coulomb의 3차원 파괴면보다 크며, 이는 Lade의 파괴규준으로 산정된 전단강도정수가 Mohr-Coulomb의 파괴규준으로 구한 것 보다 더 크게 산정됨을 의미한다.

  • PDF

제주도 지하수관정의 오염저감방안 (Improvement Method for Preventing Groundwater Pollution in Jeju Island)

  • 양성기;한상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35-743
    • /
    • 2007
  • A grouting method is the way to effectively prevent pollutants from spreading into the ground during the digging process of groundwater. This study,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grouting methods being generally accepted, suggests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which are suitable for geological structure as follows: In Jeju Island, it is very likely that rocks may fall in shuttered zones such as cracks, joints, scoria layers, and clinker layers. For this reason, it is recommended that materials be injected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not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injected materials become too large in the areas of cracks or joints because of high level of permeability coefficient, grouting materials which smeared into surrounding areas may cause unwanted cut in the aquifer of the bottom level. To avoid this, the amount of water should be reduced from the typical water-cement ratio of 1:2, and grouting materials with larger grading should be used. If the deep excavation of ground is made in Jeju Island, it is likely to have lots of voids because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o construct interior casing, the centralizer should be attached to the casing to prevent the casing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counter fort. The grouting in Jeju Island should be thicker than usual. To avoid over-use of grouting materials, to prevent grouting in more than necessary zone, and to facilitate grouting of void areas, the flexible selection of materials is required. And, to exactly figure out the interior of dug well, an examination through CCTV should necessarily be performed when grouting work is in progress.

제주도 단성화산 소유역에서의 강우의 분배 - 한라산 어승생오름을 사례로 - (Rainfall Partitioning in a Small Catchment of a Monogenetic Volcano in Jeju Island: Case Study on Eoseungsaeng-oreum of Mount Halla)

  • 안중기;김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23
    • /
    • 2008
  • 한라산 어리목의 어승생오름 표고 $965{\sim}1,169m$에 위치하는 실험 유역의 수문 자료와 인근 어리목 관측소의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 단성화산에서 일어나는 강우의 분배 특성을 검토하였다. 어승생오름은 스코리아콘으로 실험 유역의 면적은 $51,000m^2$이며 식생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수문 자료의 일부 결측으로 인하여 전반기(2007년 4월 30일$\sim$9월 12일)와 후반기(10월 7일$\sim$11월 19일)로 관측 기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유역에서는 총강우량 2,296.5mm 가운데 20.2%에 해당하는 465mm가 유역 유출량으로 분배되며, 실제 증발산량은 강우량의 25.9%를 차지하는 595mm이다. 깊은 침루량은 1,236.5mm로서 총강우량의 53.8%가 실험 유역 하부의 지하로 이동하며, 특히 우기인 여름철에는 깊은 침루율이 62.2%로 높아진다. 한반도 편마암 유역에 비하여 적어도 2배 이상 높은 실험 유역의 지하수 함양률은 투수성이 높은 제주도의 화산 지질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 PDF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하논화산의 화구호 복원 (Reconstruction of the Volcanic Lake in Hanon Volcano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 최광희;윤광성;김종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1-403
    • /
    • 2006
  •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하논화산은 분화구에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는 습지가 있다. 이 습지퇴적층을 조사한 선행 연구자들은 과거에는 이 퇴적층이 마르호였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습지 퇴적층의 심도는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통해 $5{\sim}14m$로 추정 되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특정구간에 대한 정보일 뿐으로, 분화 구내 퇴적층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파 탐사를 통해 확보한 습지퇴적층의 심도를 바탕으로,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화구호를 가상적으로 복원하였다. 화구호의 복원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선행 연구자료와 본 연구의 탐사자료를 바탕으로 기본 데 이 터를 구축하고, 이를 IDW와 크리깅을 이용하여 내삽하였다. 이렇게 내삽된 자료를 다시 현재의 지형면과 연산하여 고지형면을 복원하였으며, 여기에 시추자료에 근거한 수면의 고도를 이용하여 화구호의 경계를 추출하였다. 복원된 화구호는 중앙 분석구의 북쪽에 반달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평균 수심은 약 5m, 최대 수심은 약 13m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내삽기법에 따라 미세한 차이는 있으나, 화구호의 면적은 $184,000{\sim}190,000m^2$, 부피는 약 $869,760m^3$로 추정되 었다. 분화구 생성직후부터 지속적인 퇴적작용이 있었기 때문에, 복원된 화구호가 특정 시기의 호수를 직접 가리키지는 않지만, 분화구의 내부 형태와 마르호의 퇴적 및 변화과정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