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bike us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토지이용을 고려한 자전거도로 설계대안의 개발 (Developing Bike Road Design Alternatives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강경미;김응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93-102
    • /
    • 2011
  • 교통부문의 탄소배출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지난 몇 년간 정부는 선진국과 함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은 실시되지 않은 채 물리적인 조건만을 고려한 자전거도로의 설치는 미비한 자전거 이용률의 증가뿐만 아니라 무리한 자전거전용도로의 확장으로 자동차 운전자와의 마찰을 발생시켰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 또한 보장하고 있지 않아 관련 교통사고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고자 주변 토지이용 및 자전거 운전자를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 적절한 자전거도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토지용도(주거/상업/공업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요소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군집분석으로 그 특성을 그룹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에 적합한 자전거도로의 형태를 가로와 교차로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토지용도의 특성은 어린이/노인 비율 및 화물차종구성비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이들 특성에 의하여 주거지역은 편의성과 안전성이 동시에 고려된 자전거도로를, 상업지역은 편의성을, 공업지역은 무엇보다 안전성을 고려한 자전거도로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자전거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자전거 이용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 분석 -대여소별 거리에 따른 요인의 영향력 차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Usage of Public Bike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Different Influences of Factors by Distance to Bike Station-)

  • 사경은;이수기
    • 국토계획
    • /
    • 제53권6호
    • /
    • pp.39-59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of public bike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round the public bike stations using the public bike rental history data from 2016 to 2017 in Seoul,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t influences of determinant factors by distance to public bike station, this study identifies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usage of public bik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land use and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of bike station areas show strong associations with the usage of public bike. Second, the usage of public bike is also associated with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business facilities, land use mix, the distance to subway station, public facilities and universitie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public bike has played a role as a transportation mode for the short-distance travel and commuting purposes in everyday life.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 usage of public bik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average slope, traffic volume around public bike stations, distance to streams or rivers, and the types of bike lane. This finding also indicates that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usage of public bike. Finally,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t influences of determinant factors on the usage of public bike by distance to public bike station.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otential locations of public bike stations in the future.

빅데이터 기반의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 영향요인 도출 (Derivation of Factors Affecting Demand for Use of Dockless Shared Bicycles Based on Big Data)

  • 김숙희;김형준;신혜영;이현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53-3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에 도입되었던 dockless형 공유자전거인 모바이크의 이용자 빅데이터에 대한 이용현황 및 이용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9년 수원시의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 데이터를 구득하였고, 이를 동별로 정리하였다. 동별로 선정된 영향요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전거 이용수요가 많은 지역 또는 인접한 지역의 자전거도로 연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10-30대 인구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전거도로 정비율이 높고 택지지구 인근의 대규모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과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공유자전거 이용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모델 분석 결과, 자전거 겸용도로(비분리), 동별 10-30대 인구, 철도역 수, 상업시설 수, 산업시설 수, 초·중·고 학교 수가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시민이 dockless형 공유자전거를 이용하고 싶어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결과는 향후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자료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전시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Bike-sharing Demand focused on Daejeon City)

  • 도명식;노윤승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517-1524
    • /
    • 2014
  • 최근 휘발유 가격 폭등,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 환경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교통수단 중 하나로 유럽에서는 일찍이 공유자전거(Bike sharing)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대전시 또한 "타슈"라는 이름으로 2009년부터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공유자전거를 대상으로 이용효율을 높이고 최적의 공유자전거 정거장 위치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공유자전거 이용 특성을 알아보고 이용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공원 인근에서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설치 비율에 비해 이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주중보다 주말 이용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전의 경우 레저를 주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유자전거를 빌린 장소로 다시 회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절대적 근접 중심성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분포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 특정 지역(둔산, 유성 등)에 이용패턴이 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버스승하차 인원, 자전거도로 연장, 공원여부, 수변공간까지의 거리, 젊은층 비율 등이며, 선정된 변수의 신뢰도(R-Square)는 0.74 수준으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mpacts of Local Land Use on Individual Modal Choice

  • Yang, Hee Jin
    • 도시과학
    • /
    • 제9권2호
    • /
    • pp.63-68
    • /
    • 2020
  • In recent years, the planning of livable communities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The concept of livable communities is related to both the spatial balance of working, playing, and living and the promotion of green modes of transportation, such as walking and biking. This study uses a disaggregate travel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6. I applied a multi-level random intercept logit model to estimate the effects of land-use characteristics on the choice of green modes, holding a travel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tan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higher density and more mixed land-use development encourages people to walk and bike even when individuals have the sam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land-use planning by itself can play a role in the creation of livable cities and the decline of greenhouse gas production.

서울 공공자전거 신규 대여소를 위한 수요량 예측 분석 (Analysis of the Seoul public bikes usage for new rental locations)

  • 김예술;박시온;박건웅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6호
    • /
    • pp.739-751
    • /
    • 2020
  • 서울시는 시민의 건강 증진과 이산화탄소 저감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목표로 2015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공공자전거 대여소를 확장하고 있다. 매년 공공자전거에 대한 시민들의 접근성과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서울시는 수요와 접근성을 모두 고려한 공공자전거 대여소 신규 입지를 확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공공자전거 대여소 위치는 주변 지형지물에 영향을 받으며, 수요량은 지역적 특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을 고려한 신규 대여소 입지를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의 새로운 입지 선정을 위하여 2019년 서울시 공공자전거 데이터와 지리정보체계, 대중교통, 인구 등의 데이터를 전처리하여 신규 대여소 거치가 가능한 장소를 선별하고,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신규 대여소의 이용량을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균 경사도, 대중교통과의 거리, 특화 시설과의 거리, 하천과의 거리 등이 자전거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신규 대여소 설치 지역을 결정하는데 객관적인 통계적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IPA기법을 이용한 자전거 이용자의 의식평가에 관한 연구 (창원.마산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cious evaluation of Bicycle User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Changwon-si and Masan-si in Korea))

  • 김수성;송기욱;정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7-98
    • /
    • 2010
  • 최근 자전거이용활성화 정책은 많은 지자체에서 주요한 정책으로 선정되고 있다. 그리고 자전거 관련 연구는 사회적으로 자전거이용활성화 분위기 조성정도에 따라 연구방향에 있어 차이가 있다. 최근 선행연구에서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자전거이용 활성화 접근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지방도시는 광역시의 구단위 정도로 도시규모가 작기 때문에 접근방법을 다르게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도시규모가 작기 때문에 비교적 자전거로써 다양한 목적통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지방도시 지역주민의 의식평가 방법 고찰을 위해 30~50만 정도의 중규모 도시의 동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여건 외에 시설 및 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평가를 통해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지역주민 의식평가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위한 지역주민 의식평가방법은 지방도시의 자전거 이용여건을 동별로 간단하게 비교 가능하게 하며, 동별 이용여건의 차이를 고려한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대한 구상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중규모 도시들의 자전거 이용여건 분석 및 차별화된 자전거 이용활성화 접근방안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경유지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자전거 통행발생량 추정 모형 개발 (Estimating Travel Frequency of Public Bikes in Seoul Considering Intermediate Stops)

  • 박종한;고준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9
    • /
    • 2023
  • 최근 탄소중립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전거의 통행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유지를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의 GPS 주행궤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에서의 중간 경유지인 체류 지점을 파악하고, 인구, 토지이용, 물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량 모형을 분석하였다. 맵매칭과 체류 지점 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추정한 결과, 전체 통행의 약 12.1%에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가 발생한 통행은 비체류에 비해 평균 이용거리와 이용시간이 더 길며, 체류 지점이 집중되는 시간대는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사이의 비첨두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화 분석에 따르면 공원 및 레저 시설, 업무시설에서 주로 체류 지점이 나타났다. 체류 지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존의 대여소 기반이 아닌 육각격자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으며,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모형을 이용하여 체류 지점을 고려한 통행발생량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분리형)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자전거 인프라에서 통행발생량 및 체류 지점에서 발생한 통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자전거는 대중교통의 접근수단으로서 퍼스트&라스트 마일 수단의 역할을 하며, 생활중심지와 고용중심지에서 통행발생량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전거 인프라의 추가 확충 계획 시 이용자의 안전시설 및 공간 확보가 우선돼야 하며, 대중교통과 연계한 자전거 인프라 시설 보급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계절 및 회원 특성이 공공자전거 통행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시 따릉이를 대상으로 (Effects of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on Public Bicycle Traffic : Focusing on the Seoul Bike)

  • 장재민;이숭봉;이영인;이무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7-58
    • /
    • 2018
  • PURPOSES : Seoul introduced public bicycle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reate a healthy society. Because the use of bicycles is highly weather dependent, and bicycles are rented by the people, member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influence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bicycle traffic characteristics considering seasonal and member characteristics and highlighted some implications. METHODS : The Yeouido and Sangam districts, which have multiple business districts, were taken as the areas of interest. In order to reflect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the traffic volume, time of u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were categorized by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and membership type (season, daily, grou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attern of traffic volume and usage time according to the traffic purpose after separating rental locations into residential, business, subway, and park, reflecting the land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high for bicycle traffic, time of use, and occupancy rate for park locations in spring and autumn. In terms of membership characteristics, group and daily users appeared as major visitors for park locations, and the trends of commuter pass users showed that bicycle use meets the purpose of introducing public bicycles. CONCLUSIONS : Traffic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involve and extend the users of the commuter pass. Situations in which commuter pass users cannot function as a group or in which daily users monopolize bicycles (especially near parks, near subway stations, etc.) must be avoided.

윤활기유가 자동변속기유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se Oils on Performance of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 문우식;양시원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0년도 제32회 추계학술대회 정기총회
    • /
    • pp.273-279
    • /
    • 2000
  • Until recently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automatic transmission fluids have continued to change to reflect the design changes of automatic transmission. The major purpose for these design changes is to improve the fuel economy and easy driving. To meet recent performance requirements fur automatic transmission the needs for special base oils Bike API Group III and IV base oils become larger. In this pap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se oils on performance of automatic transmission fluids formulated with API Group I,II,III and IV and Dexron III and Hereon Type additive package, Brookfield viscosity, oxidation test, SAE No.2 friction test and seal compatibility test were examined. From the test we knew that the use of Croup III and IV base oils in ATF has several benefits in low temperature viscosity, oxidation stability and SAE No.2 friction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