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id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Embryonic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Buenos Aires Tetra, Hyphessobrycon anisitsi (Pisces Characidae) Characidae Fishes

  • Park, Jae-Min;Han, Kyeong-Ho;Han, R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1호
    • /
    • pp.25-31
    • /
    • 2015
  • We have launched an investigation for Embryonic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Morphology, of Buenos aires tetra in order to build basic data of Characidae and fish seeding production. We brought 50 couples of Characidae from Bizidduck aquarium in Yeosu-si, Jeollanamdo, from Korea on March of 2015. We put them in the tetragonal glass aquarium ($50{\times}50{\times}30cm$). Breeding water temperature was $27.5{\sim}28.5^{\circ}C$ (mean $28.0{\pm}0.05^{\circ}C$) and being maintained. The shape of fertilized egg was round shape, and it was adhesive demersal egg. The egg size was 0.63~0.91 mm (mean $0.74{\pm}0.07mm$, n=20). After getting fertilized egg, the developmental stage was gastrula stage, and embryo covered almost two-thirds of Yolk. Incubation was happened after 16 hours 13 minutes from gastrula stage, and the tail of juvenile came out first with tearing egg capsule. Immediately after the incubation, prelarvae had 3.78~3.88 mm length (mean $3.84{\pm}0.04mm$, n=5), and it had no mouth and anus yet. 34 days after hatching from the incubation, juvenile had 8.63~13.1 mm (mean $10.9{\pm}1.66mm$), and it had similar silver-colored body shape with its mother.

경골어류 카라신과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Hyphessobrycon serpae, Characidae, Teleost)

  • 김동희;등영건;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2호
    • /
    • pp.89-96
    • /
    • 2005
  • 카라신과(Characidae)에 속하는 Hemigrammus ocellifer, Gymnocorymbus ternetzi 및 Hemigrammus caudovittatus 의 경우 동물극 쪽에 정자의 통로인 난문 (micropyle)이 있으며, 3종 모두 난문 주위에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위치하여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난막의 단면구조는 종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문의 구조가 카라신과 어류의 공통적인 과의 특성인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라신과 어류에서 난문의 구조가 과의 공통적인 특징인지 아니면 종만이 가지는 종특성인지를 확인하고 계통분류학적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과 난막의 외부 및 내부형태를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하였다.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투명한 부착성 및 침성란으로 유적 (oil droplet)과 부속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극 쪽에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인 한 개의 난문 (micropyle)이 관찰되었고, 난문 주위에는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배열하고 있었으며 난막의 융기선은 $13{\sim}15$개로 수정란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난막의 표면은 산란상에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망상형의 섬유상 구조물들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이 망상구조물 내부에 pore canal이 산재하고 있었다. 수정란 난막의 두께는 $0.9{\sim}1.0{\mu}m$였으며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외층은 부착기능을 하는 전자밀도가 가장 높은 섬유상층이었고, 중층은 표면에서 관찰되었던 pore canal들이 중층이 끊어진 형태로 완전히 관통되어 있었으며 내층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6{\sim}7$층의 다층구조를 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Hyphessobrycon serpae의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이 종만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학적 형질로서 종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난문 주위에 난막의 융기선이 방사형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은 카라신과 어류의 공통적인 과 (Family)의 특성으로 생각된다.

카라신과 어류 3종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Ultrastructures of the Egg Envelope in Fertilized Eggs of Fishes, Characidae, Three Species)

  • 김동희;류동석;등영건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3호
    • /
    • pp.277-291
    • /
    • 1996
  • The structures of the egg envelope in fertilized eggs of three species of characidae, head and tail light fish (Hemigrammus ocellifer), black tetra (Gymnocorymbus ternetzi), and buenos aires tetra (Hemigrammus caudovittatus) were studied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fertilized eggs in all species were colorless, transparent, spherical and non-floted type. The egg envelopes have a single micropyle resembling the pathway of sperm in the area of the animal pole. The micropyle was surrounded by protruded lines of the egg envelope in a radiated form. Egg envelopes of fertilized eggs in both head and tail light fish and buenos aires tetra consisted of three distinct layers; an outer layer, a middle layer and an inner layer. And that of blacktetra consisted of two layers; an outer layer and an inner layer. Also, an outer layers of both head and tail light fish and black tetra were adhesive types but, in that of buenous aires tetra was non-adhesive type. An outer surface of egg envelope in black tetra was arranged by pores regularly. In that of head and tail light fish and buenos aires tetra have a rough side. An inner layer of egg envelope in fertilized eggs consisted of lamellae alternating with interlamellae of lower electron density; an inner layer of fertilized eggs in head and tail light fish consisted of three layers, that of black tetra was four layers, and that of buenos aires tetra was five layers.

  • PDF

경골어류 카라신과 glow-light tetra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Glow-light Tetra, Characidae, Teleost)

  • 이규재;장병수;등영건;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15-319
    • /
    • 2008
  • 조기어강 (Actinopterygii), 카라신목 (Characiformes), 카라신과(Characidae)에 속하는 담수산 경골어류에 속하는 Glow-light tetra (Hemigrammus erythrozonus)의 난자형성과정을 다른 어류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내에 다수의 이형염색질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제1난모세포의 경우 난황포가 단지 난세포 가장자리에만 배열되어 있었고 난막의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2난모세포에서는 난막이 형성되었고 제1난모세포에 비해서 난황포가 점점 핵 쪽으로 증식된 경향을 보였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호염기성 물질들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후에 난막 주위에만 국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난막의 두께와 난자의 크기는 점점 증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glow-light tetra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감소, 난막발달 및 두께의 증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광학현미경상의 조직학적 결과이므로 앞으로 정확한 난자형성과정을 단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적 연구가 필요하다.

Spawning Behavior, Egg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Morphology of Hyphessobrycon eques (Pisces: Characidae) Characidae Fishes

  • Park, Jae-Min;Kim, Na-Ri;Han, Kyeong-Ho;Han, Ji-Hyeong;Son, Maeng-Hyun;Cho, Jae-Kw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241-249
    • /
    • 2014
  • Hyphessobrycon eques is a famous fish for ornamental fish market and aquarium. They are inhabit in regions of Amazon and Paraguay River basin. Serpae fishs were investigated 2-3 males are chased to female, and then males attempted to simulate the females abdomen. After fertilization, eggs were kept in incubators at $28^{\circ}C$. The fertilized eggs had adhesive and demesal characteristics and had a mean diameter of $0.92{\pm}0.01mm$. Larvae hatched at 16 hrs post fertilization. The hatched larvae averaged $2.90{\pm}0.16mm$ in total length ($L_T$). Complete yolk sac resorption and mouth opening occurred on the third day post hatching. At 45 days post hatching, the larvae were $12.5{\pm}1.60mm$ $L_T$ and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