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경험과 적응에 관한 현상학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Resilience of Incest Sexual Victims in Adolescence)

  • 천해리;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37-46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들이 사건 이후 겪게 되는 다양한 심리적 변화와 현실을 그들의 목소리로 전달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과 상담을 통해 삶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적인 삶의 경험을 현상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이해하고 기록하였다.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부모의 정서적인 방치와 가족구성원의 폭력적 행동과 위협, 침묵을 강요하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대한 불신감과 낮은 자존감이 형성 되었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둘째, 성폭력 사건에 의한 고통과 후유증은 사건이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현실부적응과 사회활동 회피를 반복하면서 역할의 갈등을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의 후유증은 PTSD를 통해 극단적으로 드러났다. PTSD의 경험은 참여자가 정신과에서 처방받은 약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물질에 의존하고 환청과 환각, 망상의 경험으로 외부활동을 더욱 기피하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넷째, 적응 과정을 통한 변화는 사건에 대한 직면과 분리, 삶에 대한 새로운 시선이다. 적응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과거의 상처로 인해 표현하지 못한 말과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앞으로 나아가려고 했다. 현실에서의 극복 경험은 참여자에게 자기존중감과 삶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는 자기효능감, 건강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믿음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서 근친 성폭력 트라우마가 새로운 일상의 위기를 통해 재경험되고 각 과정마다 새로운 적응 과정을 반복하는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본태성 고혈압 환자들에서 스트레스지각과 혈청 Cholesterol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tress Perception with Serum Cholesterol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 김상준;고경봉
    • 정신신체의학
    • /
    • 제1권1호
    • /
    • pp.35-44
    • /
    • 1993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stress perception and psychopathology with biological variables such a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triglyceride in 50 adult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and 50 normotensive individuals. Both of the groups were matched to each other regarding age, sex, the level of education and BMI(body mass index). Stress perception and psychopathology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GARS and SCL-90-R scales. Biological variables such as blood pressure(systolic. diastolic), serum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triglyceride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Hypertensive pati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ve individuals in stress perception related to unusual happenings, change or no change in routine and overall global area, respectively. 2) Regarding psychopathology, hypertensive pati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otensive individuals in depression. hostility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respectively. 3) Systolic blood pressur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stress perception related to sickness and injury, and change or no change in routine, respectively. Diastolic blood pressur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stress perception related to change or no change in routine. 4) In hypertensive patients.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stress perception related to unusual happenings. However,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stress perception related to changes in relationships, sickness or injury, and change or no chang in routine. 5)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cores of stress perception and biological factors in the normotensive group. 6)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correlated negatively with phobic anxiety in hypertensive group. whereas i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SDI in normotensive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ertensive patients have higher level of stress perception and psychopathology than normal individuals. In hypertensive patients, their stress perception is suggested to be correlated with serum cholesterol.

  • PDF

간호계 학생과 비간호계 학생의 감정이입 능력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mpathic Ability Between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 최선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2-74
    • /
    • 1987
  • The term 'nursing' is often defined as a therapeutic and interpersonal process that ultimately functions to help clients. In the process of helping, empathic ability(ability to entering into the another's feeling or motives) is an essential factor that has been proved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social psychology. In the sense, nursing personnel with high level of empathy is required to accomplish the comprehensive nur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empathy between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2) to examine changes of empathic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ir academic years, and (3) to show relationships, if any, between the two concepts, empathy and need-affiliation. For the survey, 325 respondents for nursing department and 378 from non-nursing departm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two universitie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questionaire survey method were Hogan's Empathy Scale and Mehrabian's Need-Affiliation Scale, each of them has establishe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many different people and settings.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ve statistics were mostly used by calculating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 scor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employed to test the difference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ic ability detween the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 (2) The levels of empathy among the nursing students, 'surprisingly enough,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years, even though statistical significations was not found. The scores of the empathy are somewhat dropped as academic year going up. (3)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revealed between empathy and need-affili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peatedly support the claim that the nursing education must empathize and, also, include the programs that enable nursing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of empathy for their clients.

  • PDF

임상 간호현장에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바람직한 인성: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Desirable Personality Required of Nurses in Clinical Nursing Field: Focus Group Interviews Centered On)

  • 김미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7-37
    • /
    • 2022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바람직한 간호 인성의 본질과 내용을 확인하여 임상간호사로서 간호역량 확보와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임상 간호현장에서 기대하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인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을 시행한 질적 연구이다. 2019년 11월 30일~ 2020년 1월 20일까지 경력 5년 이상 D지역 대학병원의 경력 간호사 6명을 대상으로 총 4회 진행하였으며,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임상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인성은 '환자 간호를 위한 자기 통제와 노력의 과정', '인간 중심의 간호를 위한 구성요인', '건강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영향력', 간호'조직을 구성하고 운영케 하는 영향력', '조직의 변화와 성과를 이끌어내는 영향력' 총 5개의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현장에서 바람직한 인성의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추후 전문직 간호역량 확보와 양질의 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 대상의 임상간호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방사선과 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Skills)

  • 장현철;이행기;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3호
    • /
    • pp.287-294
    • /
    • 2015
  • 직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기초직업능력의 중요성을 더욱더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대학교 재학생의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및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직업능력 일곱 개 영역에 있어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의사소통능력 중 읽기와 쓰기 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조직이해능력 중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병원 근무에 있어서 환자 및 구성원들과 대인관계를 잘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사소통능력 중 읽기와 쓰기 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중 글로벌 문화를 이해하며 외국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는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기초직업능력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대학교 재학생 및 모든 학과에 대해 일반화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자기관리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공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직업기초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학년별 및 학생 수준별로 진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및 산업체와 잘 연계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서중심심리코칭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motion Focused Psychology Coaching)

  • 김현진;정현섭;나은혜;신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03-212
    • /
    • 2022
  • 본 연구는 정서중심심리코칭 경험의 본질이 무엇이며, 그 경험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서중심코칭을 5회 경험한 4인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면담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서중심심리코칭은 Greenberg의 정서중심치료를 기반으로 ICF의 코칭 핵심역량과 함께 융합하여 정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코칭심리 모델이다. 분석결과, 정서중심코칭 경험 이전에는 자신의 정서를 회피하거나 억압한 면이 있었고, 이로 인해 행동에서도 효과적인 대인관계나 대안을 탐색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경험 이후에는 정서에 대한 인식, 정서 조율, 정서 표현, 상대에 대한 정서 이해(공감) 등이 적응적인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효율적인 대안을 마련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활기업의 컨설팅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ulting effect of Jahwal companies)

  • 김재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71-276
    • /
    • 2019
  • 본 연구는 자활컨설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이다. 전국의 8개 광역자활센터의 58개 자활기업의 자활참여자 27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컨설팅 전에 설문을 실시하고 컨설팅 후 설문을 실시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측정 변수는 3개의 변수와 6개의 하위변수로 구성하였다. 상위변수는 대인관계, 조직시스템, 자활사업의지이다. 하위요소는 상호작용, 구성원 간 소통, 수평적 리더십, 조직안정성, 개인적합성, 발전성이다. 설문은 SPSS 21.0을 시용하여 빈도분석,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컨설팅의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그 척도를 가지고 컨설팅 전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자활컨설팅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학력별 분석에서도 모도 유의미한 성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Two-Dimensional Suicidal Type Based on Psychological Autopsy: A Focus on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 육성필;서종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1호
    • /
    • pp.75-99
    • /
    • 2023
  •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를 비추는 거울: 대중음악 선호에 반영된 한국인의 문화성향을 중심으로 (Mirrors that Illuminate Culture: Koreans' Cultural Orientation Reflected in Pop Music Preferences)

  • 이인영;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221-257
    • /
    • 2020
  •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 주제인 대중가요 가사에 한국인의 문화성향 변화가 반영되어 있는지와 개인의 문화성향이 선호하는 대중음악 장르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1980년부터 2018년까지의 대중음악 가사를 내용분석하여, 대중음악 가사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한국인들의 문화성향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곡의 발매연대가 2010년대에 가까워질수록 대중음악 가사에 개인주의 문화권의 이상적 정서가 집단주의 문화권의 이상적 정서보다 더 자주 표현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시간이 흐를수록 한국인이 점차 개인주의화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 2에서는 개인의 문화성향과 선호하는 대중음악 장르 및 사용하는 음악기능이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주의 성향을 많이 지닌 사람들은 발라드와 랩/힙합과 같은 중·저각성 음악을 선호하는 동시에 록/메탈과 같은 고각성 음악을 덜 선호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각성 수준이 높은 것보다는 낮은 것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과 일정 부분 일치한다. 또한, 음악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기능 중 사회적 기능이 집단주의 성향과 가장 큰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성향의 사람들이 타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음악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성향과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라는 독특한 주제를 내용분석과 조사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논의에는 연구의 한계점과 결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집단사회성놀이가 자폐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sociality play in sociality of autistic adolescent)

  • 우희순;원성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8-105
    • /
    • 2016
  • 집단사회성놀이는 놀이를 통한 사회성 증진을 목적으로, 그룹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목적 있는 활동, 인지, 신체움직임 등 여러 요소들을 잘 조합하여 자유롭게 자아를 표현시키는 치료적 방법이다. 이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이 저하된 자폐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자폐청소년들의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성을 증진을 유도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 소재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사회성에 결함을 가지고 있는 8명의 자폐청소년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집단사회성놀이 프로그램은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2회씩 7주간(총 14회기), 한 회기 당 60분씩 시행하였고 중재 전후의 사회성을 Wilcoxon 순위검정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이화-자폐 아동 행동 발달 평가(E-CLAC)와 사회성숙도 검사의 점수의 총점이 $39.88{\pm}6.78$에서 $47.00{\pm}4.28$, $49.96{\pm}28.00$에서 $61.36{\pm}21.75$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집단에서의 적응, 지시 따르기, 행동 빈도 증진 등의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사회성놀이에 포함된 집단활동 요소와 대상자들의 발달을 고려한 놀이 활동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폐청소년의 사회성 증진 효과에 효과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