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of solvent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7초

Pore-filled PVDF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Pore-filled PVDF ion Exchange Membranes)

  • 변홍식;박병규;홍병표;여광수;윤무홍;강남주
    • 멤브레인
    • /
    • 제14권2호
    • /
    • pp.108-1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막을 기질막으로 하여 Pore-filled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먼저 다공성 PVDF막의 기공에 80%의 chloromethylate aryl ring을 가지고 있는 poly(vinylbenzyl chloride) (PVBCI)과 1,4- diaminobicyclo[2,2,2]octane (DABCO)을 tetrahydrofuran (THF)와 dimethylforamide (DMF)가 8:2로 혼합된 용액에 녹여서 채워 넣고 겔화시킨 후, 남아 있는 chloromethyl group에 trirnethylamine (TMA, 40 wt% in water)을 이용하여 양이온 암모니움 site를 형성시키면 pore-filled 음이온교환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2단계의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pore-filled 막은 크기의 변화가 없으며, 가교도의 조절로써 최종 막의 특성이 간단하게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SEM과 AFM의 표면촬영의 결과로부터 기질막의 기공 내에 고분자겔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투과도와 배제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용매를 조사한 결과 tetrahydrofuran (THF)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막보다 THF와 DMF를 함께 사용할 때 더 우수한 막이 제조되었다. 제조된 최종 막의 수투과도 조사결과, 가교도 10% 막의 경우 아주 낮은 압력에서(100 Kpa) 전형적인 한외여과막의 투과도(8∼10 kg/$m^2$hr)를 보여주었으며 배제율 또한 우수한 결과(55∼60%)를 보여주었다. 압력에 대한 pore-filled 이온교환막의 성능을 관찰한 결과 압력이 증가할수록 투과도와 배제율은 함께 증가하였다.

저농도 희토류 용액으로부터 PC88A를 이용한 중희토류의 용매추출 연구 (Solvent Extraction of Heavy Rare Earth Elements Using PC88A from Synthesis Solution of Low Concentration Rare Earth Solution)

  • 안낙균;임병용;이지은;박재량;이찬기;박경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4호
    • /
    • pp.26-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저농도(약 1 ppm 이하)의 희토류가 함유되어 있는 산업폐수로부터 중희토류의 회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C88A를 이용한 중희토류 용매추출 거동을 확인하였다. 평형 pH, 추출제 농도, 추출 상비(A/O) 변화를 통해 PC88A에 의한 중희토류의 추출 거동을 확인하였고 $HNO_3$, HCl, $H_2SO_4$ 세 가지 무기산을 이용하여 탈거 거동을 확인하였다. 평형 pH 0에서 중희토류의 추출이 시작되었으며 평형 pH 1.0에서 중희토류의 추출이 95~100% 완료되었다. 모든 추출 조건에서 원자번호가 높은 물질부터 (Yb > Tm > Er > Dy > Nd > Pr > La) 우선적으로 추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추출 상비(A/O) 10/1일 때 Yb과 Tm이 최대로 농축되어 초기 농도 대비 각각 6배, 3배 증가하였다. 이 후 희토류의 탈거 거동을 확인하고자 희토류 원소가 추출된 유기상과 세가지 무기산을 각각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HNO_3$, $H_2SO_4$, HCl 순으로 최대 탈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용액 및 물-유기용매 혼합용매에서의 Hg$^{2+}$ 에 의한 Co(Ⅲ) 착물의 수화반응 (The Aquation of Co(Ⅲ) Complexes in Pure Water and Mixed Water-Organic Solvents With Hg$^{2+}$)

  • 오창언;윤두천;도명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8-444
    • /
    • 1990
  • 촉매로서 Hg$^{2+}$을 사용한 수화반응에서 cis-[Co(en)$_2$(OH$_2$)Cl]$^{2+}$, [Co(NH$_3$)$_5$Cl]$^{2+}$, cis-[Co(NH$_3$)$_4$(OH$_2$)Cl]$^{2+}$ 및 [Co(NH$_2$CH$_3$)$_5$Cl]$^{2+}$착물들은 Hg$^{2+}$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관측속도상수(k$_{obs}$)의 값이 증가하였다. Hg$^{2+}$에 의한 수화반응의 속도법칙은 Rate = k$_2$K[complex][Hg$^{2+}$]이었고, 그 메카니즘이 연구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유기용매-물 혼합용매에서 Co(Ⅲ)착물의 Hg$^{2+}$에 의한 수화반응이 연구되었다. 용매의 성질인 Y (solvent ionizing power)값에 대한 log k를 도시하여 그 기울기인 m값을 얻었다. 그 m값으로부터 수화반응의 메카니즘을 추정하였다. 속도론적인 자료로부터 Hg$^{2+}$에 의한 Co(Ⅲ)착물의 수화반응이 I$_{d^-}$메카니즘으로 제안되었다. 각 Co(Ⅲ)착물의 속도의 차이는 여러가지 리간드가 배위된 Co(Ⅲ)착물의 리간드장파라메타(${\Delta}$)값과 관계가 있었다.

  • PDF

나프탈렌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존 및 생식지표 변화 (Change of Survival and Reproductive Indicator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ollowing Chronic Exposure to Naphthalene)

  • 진영국;김태익;명정인;황형규;박민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5-312
    • /
    • 2012
  • 나프탈렌이 바지락 (각장 $32.74{\pm}2.18mm$, 전중 $8.29{\pm}1.41g$) 의 생존, 성비 및 생식소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노출농도는 대조구, solvent 대조구 (에탄올), 30, 60, 90, $120{\mu}g$ Nap $L^{-1}$ 였으며, 노출기간은 20주였다. 노출 종료 후 바지락의 생존율은 $60{\mu}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성비는 대조구와 비교해 solvent 대조구 (에탄올)와 $30{\mu}g$ Nap $L^{-1}$ 실험구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0{\mu}g$ Nap $L^{-1}$ 실험구의 경우 수컷의 비율이 높았다. 그 후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컷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생식소 발달단계는 암컷의 경우 $60{\mu}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수컷의 경우 $30{\mu}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발달이 지연되는 결과를 보였다. 생식소에서 관찰된 intersex는 암컷에서 16.28%, 수컷에서 1.68%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 나프탈렌은 바지락의 생존 뿐 만 아니라 성비와 생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고농도의 Silica Nanoparticle을 함유한 Silica/polymer 나노복합체 : 실리카 표면 특성에 따른 수소이온 전도성 및 수팽윤도 변화 (Silica/polymer Nanocomposite Containing High Silica Nanoparticle Content : Change in Proton Conduction and Water Swelling with Surface Property of Silica Nanoparticles)

  • 김주영;김승진;나재식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14-521
    • /
    • 2010
  • Solvent-casting 공정을 통해서 제조되는 전형적인 Proton Exchange Membrane (PEM)과는 달리, 일종의 Bulk-Molding Compounds (BMC) Process와 유사한 공정을 사용하여서 실리카 나노 입자들이 나노 크기로 분산된 PEM을 제조하였다. 즉, 반응성 분산제인 Urethane Acrylate Nonionomer (UAN)와 Styrene, Styrene Sulfonic Acid (NaSS), 실리카 나노입자를 Dimethyl Sulfoxide (DMSO) 단일 용매에 혼합시키고 라디칼 개시제 존재 하에서 Mold내에서 공중합을 수행하면, 표면 특성이 각기 다른 실리카 나노 입자들이 나노 크기로 분산된 Poly(urethane acrylate-styrene-styrene sulfonic acid) random copolymer Membrane 즉 일종의 실리카/고분자 Nanocomposite Membrane이 제조될 수 있었다. 실리카 나노 입자들의 Membrane에서의 분산성은 TEM을 이용하여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Membrane은 분산된 실리카 나노입자들의 표면 특성에 따라서 각기 다른 수팽윤도 및 수소이온전도도 변화 거동을 나타내었다. Membrane에 친수성 실리카 나노 입자들이 분산된 경우에는, Membrane의 수팽윤도가 다소 증가되었지만 거의 일정한 수소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Membrane의 메탄올 투과도는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반면에 Membrane에 분산된 소수성 실리카 나노 입자들이 분산된 경우에는, 수팽윤도는 크게 감소되었지만 수소 이온전도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즉 소수성 실리카 나노입자들은 소수성 도메인에 분산되어서 친수성 도메인이 팽윤되는 것을 억제시키지만 수소 이온전도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membrane의 수팽윤도와 수소이온전도성을 실리카 나노 입자들의 표면 특성을 이용하여서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실리카 나노 입자를 membrane에 분산시키는 것만으로도 수소 이온 전도성을 유지시키면서 수팽윤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복식유물 오구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세척방법 및 장기간 보관에 따른 오구 변화 -혈액오구를 중심으로- (Cleaning Method for Selective Removal of Stains from Historic Textiles and Stains Change by Long Period Storage -Focused on Blood Soil-)

  • 노의경;유효선;채정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41-351
    • /
    • 2017
  • This study evaluates a cleaning method to maintain and minimize the change of blood soil for the selective removal of stains from textiles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and special meaning.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soiled with blood, aged artificially and then washed by wet cleaning or dry cleaning (water, nonionic surfactant; Triton, natural surfactant; saponin, organic solvent; n-Decane). The washed fabrics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four years. The change of the blood soil was evaluated by SEM, weight, thickness, and color differences. Subsequently, the shape and the amount of blood adsorption on the fabric varied depending on fiber type and fabric structu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long term storage affected changes to blood soil. It was difficult to remove artificially aged blood soil from fabrics by wet or dry cleaning. However, the changes of the blood soil by these cleanings can be explained by the changes on SEM, weight, thickness and fabric color. The changes (especially color) showed over time. Wet cleaning showed that the changes of those factors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by dry cleaning.

Chain Length Effect on the Configurational Properties of an n-Alkane Chain in Solution

  • Jeon, Seung-Ho;Ree, Tai-Kyue;Oh, In-J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5호
    • /
    • pp.367-371
    • /
    • 1986
  • Dynamic and equilibrium properties of n-alkane chains immersed in solvent molecules have been investigated by a molecular dynamics method. The n-alkane chain is assumed to be a chain of elements (CH$_2$) interconnected by bonds having a fixed bond length and bond angle, but each bond of the chain is allowed to execute hindered internal rot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the chain elements (N$_c$ = 10, 15 and 20) on the equilibrium properties of the system, e.g., the pair correlation functions between a chain element and solvent molecules, g$_{cs}$(r), and between the chain elements, g$_{cc}$(r), and the configurational properties such as the mean-square end-to-end distance < R$^2$ >, the mean-square radius of gyration < S$^2$ >, and the eigenvalues of the moment-of-inertia tensor < S$_i^2$ > / < S$^2$ > (i = 1, 2 and 3). We also studied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system, e.g.,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C(A;t) where A = R$^2$(t), = S$^2$(t), or = ${\vec{V}}(t)({\vec{V}}$ = velocity of the center of mass),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D. The g$_{cs}$(r)'s are almost equal irrespective of the change of Nc while g$_{cc}$(r) becomes larger as N$_c$ increases; The MD computed configurational properties < R$^2$2 > and < S$^2$ > were found to be a little different from the values calculated from the statistical equations of < R$^2$ > and < S$^2$ >,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our model for the MD simulations includes a long-range volume effect. From the < S$_i^2$ > / < S$^2$ >, it is found that the chain molecule has a nearly spherical shape irrespective of the variation of N$_c$. For the dynamic properties we found that the C(R$^2$;t) and C(S$^2$;t) of lower N$_c$ decay faster than those of higher N$_c$, while the C($\vec V$;t) of the center of mass in the chain is weakly dependent on the N$_c$. The center of mass diffusion coefficient D$_c$ decreases as N$_c$ increases while the end point diffusion coefficient D$_e$ is nearly equal irrespective of the change of N$_c$.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막을 통한 아미노산의 방출 조절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효과 (The Effect of Surfactant on Controlled Release of Amino acids Through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Membrane)

  • 김의락;정봉진;이명재;민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35
    • /
    • 1993
  • Poly(hydroxyethyl methacryltate)[P(HEMA)]막을 통하여 생체중에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들이 확산될 때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혼합 계면활성제의 존재여부에 따라 아미노산의 투과도를 조사 연구하였다. 글루타민은 양이온계면활성제인(CTABr)의 농도 1CMC에서 4가지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높은 확산값을 갖는다. 글루타민산의 확산은 CTABr의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메티오닌과 리진은 0.5CMC 영역에서는 다소 감소하나 1CMC와 2CMC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는 계면활성용액의 점도변화와 계면활성제에 의한 막의 구조변화에 기인한다. SDS와 Triton X-100 계면활성제에서는 4종의 아미노산중 글루타민산이 가장 큰 확산값을 갖는다. 한편 45% 물함량의 막을 통한 각 아미노산의 투과는 SDS/Triton X-100의 혼합 계면활성용액중에서 SDS의 0.5몰분률영역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수화겔막을 통한 아미노산의 확산은 막의 성질뿐만 아니라 용질과 용매의 상호작용 그리고 용액의 영향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값들은 각 아미노산들의 분자형태, 분자크기 및 전하량에 따라 다른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이성분계 $(THF-H_2O)$에서 용매화전자의 화학반응속도 (Chemical Reaction of Solvated Electrons in Binary Mixture)

  • 박유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1-207
    • /
    • 1983
  • 테트라히드로퓨란-물 이성분계에서 용매화전자와 벤젠간의 반응속도 상수를 광분해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온도 범위는 $-18{\circ}C{\sim}+51{\circ}C$이였다. 속도 상수를 Arrhenius식에 따라 도시하여 얻은 활성화 에너지는 테트라히드로퓨란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물의 함량이 증가하면 이성분계의 점성도는 감소하고, 또 반응속도 상수도 감소하였으므로 용매화전자의 반응은 확산지배가 아니다. 활성화엔탈피 변화와 이차반응속도 상수는 테트라히드로퓨란의 함량이 39, 49, 75M%일 때 각각 4.90, 2.80 및 $-0.3kcal{\cdot}M^{-1}$$8.86{\times}10^8,\;5.14{\times}10^8$$1.43{\times}10^8M^{-1}sec^{-1}$이었다. 활성화반응 파엔탈피변화, 활성화엔트로피 변화에서 얻은 등속도 온도는 본 실험온도보다 낮은 $244{\circ}K$로 이것은 라메터가 활성화엔트로피 변화라는 것을 의미한다. 활성화 에너지에 대한 용매효과로부터 용매화전자$({e_s}^-)$와 벤젠(B)간의 반응과정 중에 ${e_s}^-+B{\rightleftharpoons}B^-$ 단계는 테트라히드로퓨란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더 발열반응성으로 진행되었다.

  • PDF

고압하에서의 전지의 기전력과 열역학적 성질 (The Electromotive Force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of the Cell at High Pressure)

  • 지종기;정종재;황정의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20-328
    • /
    • 1974
  • 종래의 방법으로 고압하에서 전지의 표준기전력 $(E^{\circ})$를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완전평형상수의 개념을 종래의 Nernst 방정식에 적용하므로서 고압하에서 표준기전력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완전 Nernst방정식). 더욱이 다른 열역학적 성질 이를테면 수화수의 순변화(k), 용매의 압축을(${\beta}$), 전지반응에서 종래의 해리상수(K) 평형상태에서 표준자유에너지변화(${\Delta}G^{\circ}$) 표준엔탈피변화(${\Delta}H^{\circ}$) 및 표준엔트로피변화($S^{\circ}$) 등을 얻었다. 본 실험에서는 전지의 기전력(E)을 $20{\sim}35^{\circ}C$와 1∼2500 atms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일정한 온도에서 전지의 기전력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일정한 압력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역시 증가하였다. 전지반응의 수화수의 순변화(k)는 $20^{\circ}C$에서 41.96으로서 압력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나 한편 K와 ${\Delta}S^{\circ}C$는 압력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Delta}G^{\circ}$${\Delta}H^{\circ}$는 감소하였다. 고압하에서도 완전 Nernst방정식으로부터 표준기전력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상압에서와 마찬가지로 화학평형론을 취급할 수 있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