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ff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5초

퇴비단 여과상이 부착된 혐기소화조를 이용한 돈분뇨 슬러리 메탄생산 효율분석 (Efficiency of methane production from pig manure slurry using anaerobic digestor combined with compost filtration bed)

  • 정광화;;최동윤;이동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1호
    • /
    • pp.53-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혐기소화액을 여과함과 동시에 퇴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지닌 퇴비단 여과상과 이 퇴비단 여과상에서 발생하는 열로 외부 측벽이 가온되는 방식의 혐기소화조를 이용하여 돼지분뇨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메탄생성 효율을 분석하였다. 혐기소화조의 형태는 약 $250m^3$ 규모의 긴 장방형 구조로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이 혐기소화조 내에 돼지분뇨 슬러리를 투입하여 혐기 소화하는 과정에서의 메탄생성 특성을 조사하였고, 또 한편으로는 혐기소화 폐액을 처리하는 방안으로서의 퇴비단 여과상의 소화폐액 여과효과를 분석하였다. 돼지분뇨 슬러리는 본 실험 시설인 장방형 중온성 혐기소화조에서 25일 동안 소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소화폐액은 톱밥층과 왕겨층 등의 2겹의 층으로 구성된 퇴비단 여과상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퇴비단 여과상을 통과한 후의 최종 여과액을 대상으로 하여 액비로서의 이용가치를 가늠하기 위해 비료성분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혐기소화조에서 배출된 소화폐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BOD, COD, SS, T-N 그리고 T-P 의 농도는 각각 1,800 mg/L, 3,500 mg/L, 11,800 mg/L, 1,200 mg/L, 그리고 350 mg/L 수준을 나타냈다. 이 소화액을 톱밥층과 왕겨층 등의 2겹의 층으로 구성되어 여과상 역할을 하는 퇴비단 여과상에 통과시킨 후에 채취한 여과수의 BOD, COD, SS, T-N 그리고 T-P 농도는 여과상 유입수에 비해 각각 97%, 62%, 89%, 39% 그리고 57% 수준의 감소정도를 보였다. 퇴비단 여과상을 거친 후 소화폐액의 질소, 인산, 칼륨의 농도는 각각 1,024, 111 그리고 407 mg/L 수준이었다. 또한 소화폐액 내의 chlorophenol, benzenedicarboxylic acid, dodecane, hexadecane dimethyloctane 등의 유기성 오염물질은 퇴비단 여과상을 거치는 과정에서 95%이상 제거되었다.

국산(國産)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부식조성(腐植組成)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 (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Humic Fractions Isolated from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 김정제;양재의;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2
    • /
    • 1996
  • 시판(市販)되고 있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17 가지를 수거(收去)하여 부식특성(腐植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에 함유(含有) 되어있는 내용물(內容物)의 종류(種類)는 다양(多樣)하였다. 예(例)를 들면 어박(魚粕), 유박(油粕), 주정박(酒精粕), 세르코-D, 부식토(腐植土), 톱밥.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나무 껍질, 돈분(豚糞), 계분(鷄糞), 우분(牛糞), zeolite, 골분(骨粉), 토룡분(土龍糞), 낙엽(落葉), 아미노산 발효(發酵) 부산물(副産物), 석회(石灰), 가축(家畜) 부산물(副産物), 농산(農産) 부산물(副産物) 등등이었다. 물리화학(物理化學)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1.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의 비료가(肥料價)는 유기질비료종류(有機質肥料種類)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내용물중(內容物中)에는 부식화(腐植化)가 완전(完全)히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물(有機物)이 있는 경우(境遇)도 있었다. 이것은 높은 C/N값으로 나타났다. 3. 대체(大體)로 한 가지 시료(試料)에서 추출(抽出)되는 humic acid의 양(量)이 fulvic acid의 양(量) 보다 많았다. 4. 부식화(腐植化)의 진전(進展)에 따라 humin의 상대적(相對的)인 양(量)도 증가(增加)하였다. 5. Total acidity는 phenolic hydroxyl group과 밀접(密接)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carboxyl group은 hydroxyl group과 alcoholic hydroctyl group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6. Humic acid와 fulvic acid의 UV 및 visible light absorption spectrum은 거의 같은 모양이었다. 7. 추출(抽出)된 humic acid의 종류(種類)는 B, P 그리고 Rptype이었다. Humic acid 중(中) 2가지는 B type, 3가지는 P type, 그리고 나머지 12가지는 모두 Rp type에 속(屬)했다.

  • PDF

음식물 소멸기에서 발생하는 응축폐수의 Polyethylene 침지형 중공사막을 이용한 처리 특성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d Wastewater Resulting from Food Waste Disposal using a Submerged Polyethylene Hollow Fiber Membrane)

  • 유재상;전태봉;김진호;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각시붕어(Rhodeus uyekii)와 떡납줄갱이(R. notatus) (Pisces: Cyprinidae) 잡종의 초기 발생 특징 (Earl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duced Hybrids between Rhodeus uyekii and R. notatus (Pisces: Cyprinidae))

  • 강언종;김치홍;박인석;양현;조용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9-346
    • /
    • 2006
  • 우리나라 고유종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이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속의 유사종으로 알려진 떡납줄갱이 R. notatus와 상호 교잡을 실시하였다. 이들 두 종은 난의 형태와 크기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여 잘 구분되었으며, 초기 자어의 난황 형태에 있어서도 각시붕어는 콩깍지모양인 반면 떡납줄갱이는 닻 형이어서 잘 구분되었다. 한편 종간 상호 교잡은 수정율과 부화율에 있어서 정상 교배군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자유로워 UN형이 부화율 71.6%이었으며, NU형이 부화율 97.5%에 달했다. 교잡체의 부화 자어 형태는 UN형에 있어서 극 소수이지만 UU형이 출현하여 주목되었으나 대부분 NN형이 우세한 중간형태이었고, NU형에 있어서는 NN형이 전혀 출현하지 않았고 모두 UU형이 우세한 중간형태로 부계 형질이 우선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들 교잡체는 현재 사육중으로 추후 외부형태, 성별 구분, 생식소 기능, 핵형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버섯배지 재료로서 케나프의 이화학성 분석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as mushroom culture media source)

  • 강찬호;유영진;서상영;최규환;이기권;송영주;김정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7-211
    • /
    • 2015
  • Kenaf(Hibiscus cannabinus L.)의 버섯 배지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물리성과 영양원 함유량 등을 분석한 결과 배지의 형태를 유지하고 영양원의 공급기지 역할을 하는 주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았으며 탄소, 질소 함량과 C/N율, 일반성분, 미량원소 그리고 아미노산 함량 등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배지 영양원으로서 역할도 기대할 수 있었다. 실제로 Kenaf는 다공성 세포구조 특성으로 높은 함수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bast 부위의 경우 수분 흡수율이 578%로 수분 조절제와 산소 공급자 역할을 충실히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탄소 함량은 91.4%로 포플러톱밥이나 밀기울, 미강에 비해 아주 높았다. 총 질소는 1.76%로 배지 주재료로는 높은 특성을 유지하였으며 C/N율은 51.9 였다. 가용성무질소물은 46.6%로 미강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탄소원 구성을 보면 cellulose 함량은 포플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lignin 함량은 낮았는데, 비교적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탄소원인 hemicellulose+pectin 혼합물이 포플러에 비해 3.7% 많았다. 무기이온 함량도 케나프가 포플러톱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았는데 Fe은 4.2배, P은 3.2배, K는 2.2배 많았고 Ca는 16 mg/kg 더 많았다. 아미노산 함량은 전체적으로 포플러톱밥보다 많았으며 미강보다는 함량이 낮았다.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土壤)에서 퇴비(堆肥)와 볏짚시용(施用)이 대두생육(大豆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mpost and Rice Straw Application on Growth of Soybean Plant in Newly Reclaimed Upland Soil)

  • 이명구;황광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6
    • /
    • 1982
  •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壤)에 볏짚과 퇴비시용시(堆肥施用時)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수분함량(水分含量), 미생물(微生物) 및 대두생육(大豆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해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인 야산(野山)을 개간(開墾)하여 볏짚과 퇴비(堆肥)를 각각(各各) 3수준(水準)씩 처리하고 이때 공급(供給)되어지는 질소(窒素), 인산(燐酸) 및 가리량(加里量)의 차이(差異)는 화학비료로서 조절(調節)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퇴비시용(堆肥施用)은 대두수량(大豆收量)을 증가시켰고, 볏짚시용(施用)은 대두(大豆)의 생육(生育)은 왕성(旺盛)했으나 수량(收量)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못했다. 2. 퇴비시용(堆肥施用)은 유합기(幼陜期)(8월(月) 14일(日)) 대두(大豆) 경엽중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칼슘함량(含量) 증가로 대두(大豆)의 입경율이 증가됐으나 볏짚구는 경향(傾向)이 없었다. 3. 토양중(土壤中)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유기물시용구들은 무시용구보다 대체로 높았으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위조점이하(萎凋点以下)일때는 유기물시용(有機物施用)이 무시용(無施用)보다, 퇴비시용(堆肥施用)이 볏짚시용구보다 더 낮았다. 4. 토양(土壤) pH가 더 높았던 퇴비시용구가 볏짚시용보다 대두(大豆)의 근류착생량(根瘤着生量)이 더 많았고 세균(細菌) 및 사상균수는 더 적었다.

  • PDF

The Effects of Water Deprivation on Cerebrospinal Fluid Constituents During Feeding in Sheep

  • Sunagawa, Katsunori;Weisinger, Richard S.;McKinley, Michael J.;Purcell, Brett S.;Thomson, Craig;Burns, Peta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67-473
    • /
    • 2001
  • The internal humoral factors in the central regulation of dry feed intake during water deprivation in sheep were investigated by measurement of cerebrospinal fluid (CSF) constituents. Five animals were fed dried alfalfa chaff for 2 hours once a day. Sheep in the water deprivation treatment were deprived of water for 28 hours, while the sheep in the control treatment were given free access to water. During the first hour of the 2 hour feeding period, a rapid reduction in blood volume occured in both treatments (water deprivation and free access to water). The CSF concentrations of Na, Cl and osmolality during the second hour of the 2 hour feeding period in both treatments were greater (p<0.01) than those during the first hour. The drinking behaviors in sheep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second hour of the 2 hour feeding period in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Water intake during feeding in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was 1110 ml/2 h. The levels of increase in CSF osmolality with feeding during water deprivation were greater (p<0.01) than during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The changes in CSF osmolality with feeding during water deprivation produced more vigorous thirst sensations in the brain compared to during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The eating rates for the first hour of the allotted 2 hour feeding period were the same under both treatments. However, the eating rates for the second hour during water deprivation period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compared to those during periods of free access to water. The decreased eating rates for the second hour during water deprivation may be due to the vigorous thirst sensations produced in the brai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CSF osmolality with feeding during water deprivation acts as a thirst and satiety factor in brain mechanisms controlling feeding to decrease dry feed intake in water-deprived sheep.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사회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Composition Among Plants in the Heronries)

  • 안경환;임정철;한창욱;이윤경;조항수;서재화;서민환;신영규;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99-515
    • /
    • 2015
  • 본 연구는 백로류 집단번식지를 구성하는 식물사회의 특성과 변화를 이해하고 기초 생태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100개 이상의 둥지가 있는 전국 25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군락은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17종의 귀화식물을 포함하여 총 60과 129속 167종이 확인되었다. 진단종으로서 호광성이면서 부영양화 또는 산성화된 입지에 내성을 가지는 미국자리공, 쇠무릎, 닭의장풀 등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일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입지적으로는 서식지의 0.5km 이내에 선호하는 취식공간 (논, 하천 등의 습지)이 분포하고, 주로 동향인 산지사면에 위치하였다. 집단서식지의 식물사회는 유형별 입지 환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토양 오염 지역, 수관이 개방된 지역 또는 교란이 빈번한 지역 등과 유사한 식물상을 가진다.

17세기 이전 장류(醬類)에 대한 문헌적 고찰 (Investigation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최영진;조신호;정낙원;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97호
    • /
    • pp.107-123
    • /
    • 2007
  • There were fifty two kinds of fermented soybean sauce before 17th century thirteen recorded in ${\ulcorner}$Sangayorock${\lrcorner}$, two in ${\ulcorner}$Sasichanyo${\lrcorner}$, one in ${\ulcorner}$Yongjechongwha${\lrcorner}$, nine in ${\ulcorner}$Soowonjabbang${\lrcorner}$, one in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six in ${\ulcorner}$Dongyoebogam${\lrcorner}$, four in ${\ulcorner}$Gushangchalyo${\lrcorner}$, five in ${\ulcorner}$Guhwangboyubang${\lrcorner}$, two in ${\ulcorner}$Yorock${\lrcorner}$, four in ${\ulcorner}$Chisengyoram${\lrcorner}$ and five in ${\ulcorner}$Joobangmoon${\lrcorner}$. These books had thing to know when making fermented soybean sauce like kinds of soybean sauce, how to make it, its ingredients and quantities to be used, how to make fermented soybean sauce in haste, and how to remake wrong made fermented soybean sauce, etc. Before 17th century, fermented soybean malt was divided into two kinds the only soybean malt and the mixed soybean malt that had bean, wheat, wheat flour and wheat bran. The bean only soybean malt was further divided into mashed soybean malt (Beans were steamed and mashed into past.) and unmashed soybean malt (Beans maintained their shape without being mashed.) while mashed soybean malts were made in Winger, in January of February, unmashed and mixed soybean malts were made in Summer, in July. When made fermented soybean sauce, mashed and unmashed soybean malts were used as they were and mixed soybean malt was dried and powdered for use. Fermented soybean sauce before 17th century could be classified by the features of soybean malts being used, Normal fermented soybean sauce was made from bean only soybean malts and other ingredients. Shi(시) was made from unmashed soybean malts, in which beans maintained their shape, and Gowhajang and Jeupjang were made from mixed soybean and wheat bran. Fermented soybean sauce was also made from old fermented soybean sauce, yeast. water leftover after boiling bean leaves, and soybean chaff without soybean malt. There were also side dish type soybean sauce like Kongjaban today and fish and meat sauce made from flesh ingredients. To make fermented soybean sauce in haste, the soybean sauce was heated. Beside there were how to maintain fermented soybean sauce and how to remake wrong made fermented soybean sauce.

바이오차르 토양투입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 변화 연구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Soils Amended with Biochar)

  • 유가영;손용익;이승현;유예나;이상학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71-477
    • /
    • 2013
  • Biochar amendment to agricultural soil is regarded as a promising option to mitigate climate change and enhance soil quality. It could sequester more carbon within the soil system and increase plant yield by changing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However, sustainable use of biochar requires comprehensive environmental assessment.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measure addi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soils after biochar addition. We investigated emissions of $CO_2$, $N_2O$, and $CH_4$ from incubated soils collected from rice paddy and cultivated grassland after amendment of 3% biochar (wt.) produced from rice chaff. During incubation, soils were exposed to three wet-dry cycles ranging from 5~85% soil gravimetric water content (WC)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effect of biochar when influenced by different water levels. The $CO_2$ emission was reduced in biochar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at WC of 30~70% both in rice paddy and grassland soils. This indicates that biochar could function as a stabilizer for soil organic carbon and it can be effective in carbon sequestration. The $N_2O$ emission was also reduced from the grassland soil treated with biochar when WC was greater than 30% because the biochar treated soils had lower denitrification due to better aeration. In the rice paddy soil, biochar addition resulted in decrease in $N_2O$ emission when WC was greater than 70%, while an increase was noted when WC was between 30~70%. This increase might be related to the fact that available nutrients on biochar surface stimulated existing nitrifying bacterial community, resulting in higher $N_2O$ emission. Overall results imply that biochar amendment to agricultural soil can stabilize soil carbon from fast decomposition althoug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dditional $N_2O$ emission when biochar addition is combined with the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