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enogobius annulari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경남 거제 연안 잘피밭에 출현하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 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Chaenogobius annularis in an eelgrass bed in the coastal water of Geoje, Korea)

  • 김현지;박종혁;정재묵;예상진;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2호
    • /
    • pp.176-182
    • /
    • 2016
  • The feeding habits of juvenile Chaenogobius annularis were examined based on gut content analysis of 281 individuals,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1 in the coastal water of Geoje, Korea. Copepods were the main source of food for C. annularis, which constituted 61.6% in IRI. Barnacle larvae was the second largest dietary component. Graphical analysis of the diet composition showed that C. annularis was a specialized predator characterized by strong individual feeding specialization. Both small and large size class of C. annularis mainly consumed harpacticoida and cirripedia cypris.

통영 연안 조간대의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ongchin goby, Chaenogobius annularis in the tidepools at the intertidal zone of Tongyeong, Korea)

  • 조갑자;김현지;박종혁;최희찬;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7-272
    • /
    • 2016
  • 채집기간 동안 총 315개체의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채집되었으며, 8.6%의 공복률을 보였다. 점망둑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 50.5%를 차지한 요각류(Copepoda)였다. 요각류 다음으로 해조류(Seaweed)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Mysidacea), 만각류(Cirripedia), 단각류(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점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요각류의 섭식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 암반조간대 웅덩이의 어류 종조성과 수직분포 (Species Composi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 of Fish in Rock Tidal Pools at Mohang, Taeanhaean National Park)

  • 최윤;이흥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7-233
    • /
    • 2013
  • 태안반도 모항항의 암반조간대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어류를 채집하여 고도에 따른 종조성분포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3목 8과 14속 16종이었으며, 이 가운데 망둑어과의 점망둑(Chaenogobius annularis)이 34.6%로 우점하였고, 아우점종으로는 그물베도라치(Chaenogobius annularis)가 22.0%, 조피볼락 (Chaenogobius annularis)이 6.9%, 두줄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6.8%순이었다. 그물베도라치는 고도에 관계없이 주거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점망둑은 상부조간대에서 가장 우점하였고, 모든 조사 시기에 채집되었다. 주거종의 개체수는 일시주거종과 기회방문종보다 높았으며, 생체량은 주거종이 61.4%로 가장 높았으며, 일시주거종이 14.2%, 기회방문종이 24.4%였다.

한국산 꾹저구(Chaenogobius annularis) 3형의 유전적 분화 및 생식적 격리 (Genetic Differentiation and Reproductive Isolation among Three Tvpes of the floating Gobv (Chuenogobius annufuris) in Korea)

  • 석호영;김종범민미숙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7-158
    • /
    • 1996
  • Since the floating goby, Choenogobius onnuloris, has intricate and diverse morphological variations, allozymic analysis at 25 loci was carried out for their populations in Korea to clarify its taxonomic status. A genetic assay carried out revealed that the floating gobies were clearly divided into three genetic groups (Tvpe-A, Tvpe-B and Tvpe-C) in Korea. Alternative alleles were fated at six loci (Aco, 6pgd, Ldh-1, Got-1, Gpf, Gp3l. Some loci had considerable heterogeneitv among three types and no evidence of gene exchange in slunpatric populations was found from statistical analyses. The genetic similarity (Rogers'S) among three types was lower than 0.80 and divergent time estimate indicates that they were speciated during 1.2-1.8 million year before present (WBP). ASso, these three types of C. unnuluris were distinguished morpholosicallv from each other by several characters such as band ornamentations. In conclusion, the evidences presented here support recognition of three types of Chuenogobius annularis as typical discrete species.

  • PDF

꾹저구(Chaenogobius annularis)의 난황단백질에 대한 다클론 항체와 단글론 항체을 이용한 Vitellogenin ELISA System (Vitellogenin ELISA System Based on Monoclonal and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Vitellin of Floating Goby (Chaenogobius annularis))

  • 강봉정;정지현;이재용;김명희;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2호
    • /
    • pp.135-142
    • /
    • 2005
  • 무척추동물에서 척추동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난생동물들의 난황 단백질의 전구체를 vitellogenin(VTG)이라 한다. 난생 척추동물에서 VTG는 간에서 합성되어 혈액을 통해 난세포로 전이된다. 암컷 어류는 정상적인 생식주기에서 난황단백전구체 형성이 시작되면 혈중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수컷도 VTG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낮은 수준의 내인성 에스트로겐으로 아주 적은 양의 단백질이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수컷에 외인성에스트로겐 유사물질에 노출되면 그 양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어류에서 VTG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효과를 조사하는 유용한 생물학적 추적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유사물질에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망둑어류의 혈중 VTG의 수준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꾹저구(Chaenogobius annularis)의 VTG를 분리하고, 이에 대한 단클론 항체와 다클론 항체를 제작하여 혈중 VTG 수준을 정량할 수 있는 sandwich 경합 ELISA system을 만들었다. 난황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와 다클론 항체를 사용한 ELISA system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하였다. 순차적으로 희석한 암 컷의 혈청에 대한 흡광도 곡선은 VTG 표준농도의 곡선과 평행하였으나 수컷의 혈청에 대한 흡광도 곡선은 평행하지 않았다. 이 VTG에 대한 sandwich ELISA system으로 꾹저구(C. annularis)의 혈중 VTG의 수준을 정량뿐만 아니라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과 풀망둑(A. hasta)의 혈중 VTG 수준을 정량할 수 있다.

  • PDF

강릉 섬석천의 하추계 어류상 (The Fish Fauna of the Sumsuk Stream in Kangreung, Korea from Summer to Autumn)

  • 김용억;한경호;강충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77-680
    • /
    • 1996
  • 섬석천 유역에 출현한 어류는 총 6과 14속 19종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은 금강모치 (Phoxinus keumkang),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및 새코미꾸리 (Cobitis rotundicaudata) 3종이었다. 우점종은 꾹저구, Chaenogobius annularis $(32.24\%)$,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 $(26.97\%)$ 및 버들개, P. lagowskii $(21.05\%)$의 순이었다. 잉어과(Cyprinidae) 어류가 6속 9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으며, 기름종개과 (Cobitidae) 어류가 6종 출현하였다. 섬석천의 하류지역은 수질이 오염되어 있으므로 수질정화와 남획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겠다.

  • PDF

Potent Influence of Exogenous Melatonin on In Vitro Oocyte Maturation in the Longchin Goby, Chaenogobius annularis

  • Dae Guen Kim;In Joon Hwang;Hea Ja Bae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3
  • Effects of changes in photoperiod on the reproductive events in fish are suggested to be mediated mainly via the action of melatonin (MEL). Changing levels of plasma MEL throughout the day and year are suggested to influence the hypothalamus-pituitary-gonadal axis in fish.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L on oocyte maturation and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in the marine fish, Chaenogobius annularis, in vitro. Oocytes at three different stages (pre-, mid-, and late-vitellogenesis) were incubated with (a) only MEL (5, 10, 50, 100, 500, and 1,000 pg/mL) and (b) 50 pg/mL of 17α,20β-dihydroxy-4-pregnen-3-one (17α20βP), maturation-inducing hormone (MIH) of this species, and MEL (4-h incubation before addition of MIH). Any single MEL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induce GVBD. However, treatment with 50 pg/mL MEL or MIH significantly induced GVB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incubation with MEL accelerates the effect of MIH on longchin goby oocyte maturation.

한국산 망둑어아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family Gobiinae(Pisces, Gobiidae) from Korea)

  • 김익수;이용주;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29-542
    • /
    • 1987
  • 한국산 망둑어아과 어류를 20속 33종으로 분류하고 속${\cdot}$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채집된 망둑어 아과 어류 16속 27종에 대하여 종별 전${\cdot}$후안견갑관과 전새개관의 유무 혹은 개공 서열구상을 비교하여 4 groups으로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근거로 하여 계통 유연관계를 논의였다.전새개관개공배열구상은 속의 구분과 일치하였고, 전안견갑관개공의 소실정도는 속내의 특화된 종이나 종군을 찾아내는데 유의하였다. Pscudogobisu masago는 후안견갑관과 전새개관이 없는 점에서 Acentrogobius 속과는 구별된다고 본다. Chaenogobius annularis, Chaenogobius casteneus 및 Acanthogobius lactipes는 두부감각관계와 predorsal scales의 수에 있어서 지리적 변이를 보여 주었다. 망둑어아과 어류의 한국고유종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동해연안과 서해연안의 어류상은 잘 구분되었으며, 남해연안에서 17속 26종이 출현하고 있어 가장 다양한 분포상을 보였다. 우리나라 연안의 망둑어아과어류의 우점속은 Acanthogobius Chaenogobius 및 Chasmichthys 속이었다.

  • PDF

경남 거제 명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27
    • /
    • 2011
  • 경남 거제시 저구리 명사 연안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1종, 1,387개체, 4,776.5 g 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으로는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가 378개체(27.3%)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 망상어(Ditrema temminckii),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점망둑(Chaenogobius annular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일곱동갈망둑(Pterogobius elapoides) 순으로 채집되었고, 전체 개체수의 89.3%를 차지하였다. 잘피 건중량은 2009년 8월 154 g/$m^2$에서 11월 31 g/$m^2$, 2010년 2월에는 41 g/$m^2$로 낮아졌고, 그 이후 증가하여 5월부터 78 g/$m^2$로 높아졌다. 살망둑, 점망둑, 일곱동갈망둑, 그물코쥐치 그리고 돌팍망둑은 잘피가 무성해지는 5~9월에 주로 채집되었고, 실고기, 풀해마(Urocampus nanus) 그리고 실비늘치는 잘피의 성쇠와 상관없이 연중 출현하였다.

동해 감포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Pot Nets in Coastal Waters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 강필준;김종관;황선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3-237
    • /
    • 2015
  • 동해 감포 연안에서 2005년 6월, 9월 및 12월, 그리고 2006년 3월에 통발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목 10과 1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붕장어 (Conger myriaster)로서 채집 개체수의 38.9%, 생체량의 52.2%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복섬 (Takifugu niphoble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등이 비교적 많았다. 이 5종은 전체 개체수의 44.1%, 전체 생체량의 37.3%를 차지하였다. 종수는 2006년 3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12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12월에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