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cheon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7초

차천(車川) 하류 구간의 퇴적지형 변화 (The Changes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the Downstream Reach of Cha-Cheon)

  • 유태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2-36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의 소규모 지류인 차천의 합류 구간에서, 1973년 직강화 이후 직강 하도 내에 이루어진 퇴적지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풍 우량 및 수위관측소의 10년간(1993$\sim$2002) 강우량과 수위자료를 분석해 보면, 1년에 1회 이상 범람하였고, 연평균 3회 이상 역류를 하였다. 둘째, 차천 직강 하도내의 범람원은 보(洑)에서 최종 여울(A 지점) 사이에서 거의 평탄한 단면을 나타낸다. 직강하도 내의 범람원의 두께는 상류로 가면서 얇아진다. 셋째, 직강 하도 내 범람원 퇴적물의 0$\sim$20cm 깊이의 평균입경은 C 지점 하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본류인 낙동강의 역류에 따른 퇴적 메카니즘을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강 하도 내의 범람원상의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의 역류에 따른 부유하중의 침전에 의한 수직퇴적과 사면에서 공급된 하상하중의 퇴적이 c번 지점을 경계로 구분을 의미한다.

  • PDF

Astronomical Books and Charts in the Book of Bibliographie Coreenne

  • Lee, Ki-Won;Yang, Hong-Jin;Park, Myeong-G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199-226
    • /
    • 2008
  • We investigate astronomical materials listed in the book of Bibliographie Coreenne written by Maurice Courant. He classified ancient Korean books into nine Divisions (部) and thirty six Classes (類), and published them as three volumes (ranging from 1894 to 1896) and one supplement (in 1901). In total, 3,821 books including astronomical ones are liste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physical size, possessional place, bibliographical note, and so forth. Although this book is an essential one in the field of Korea bibliography and contains many astronomical materials such as Cheon-Mun-Ryu-Cho 天文類抄, Si-Heon-Seo 時憲書, and Cheon-Sang-Ye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it has not been well known to the public nor to astronomical society. Of 3,821 catalogues, we found that about 50 Items (種) are related to astronomy or astrology, and verified that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Kyujanggak Royal Library 奎章閣. We also found an unknown astronomical chart, Hon-Cheon-Chong-Seong-Yeol-Cha-Bun-Ya-Ji-Do 渾天總星列次分野之圖. Because those astronomical materials are not well known to international astronomical community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materials in Korea, we here introduce and review them, particularly with the astronomical view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