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lymph node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9초

방사선치료시 두경부 림파절 종양내 간질액 압력의 변화 양상 (The Change of Tumor Interstitial Fluid Pressure by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Lymph Node in Head and Neck Area)

  • 조문준;김재성;이인태;김준상;김기환;장지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27-132
    • /
    • 2000
  • 목적 :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중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여 종양내 간질액 압력 및 이의 변화가 갖는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6명의 전이성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를 대상으로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접근이 가능한 부위에 위치하고 주사침 끝이 적절히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cm 이상의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부 림프절에서 방사선치료 직전 및 방사선치료 중에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촉지하여 임상적으로 측정하고 방사선과적 검사로 측정을 확인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전 TIFP는 25명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평균치는 24.7 mmHg였다. 방사선치료 전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6), 치료 전 종양 크기가 크면 치료 후 TIFP의 감소가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43). 방사선치료 중 9명에서 TIFP의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이들의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후 TIFP변화는 평균 12.5 mmHg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9). 치료 전 TIFP가 평균치 이상인 환자군과 이하인 환자군 사이에 방사선치료 결과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229). 방사선 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 사이에 치료 전 TIFP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TIFP의 치료 전과 치료 중 비교시 평균 36 mmHg 감소하였으며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은 29.7 mmHg 감소하여 현재까지는 두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결론 : 방사선치료 전 TIFP의 평균치는 24.7 mmHg였으며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하게 유의하였다(p=0.06). 방사선치료 후 부분 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환자군의 치료 전과 치료 중 TIFP를 비교시 평균 29.7 mmHg로 감소하였으나 완전관해를 보인 군은 36mmHg의 더 큰 감소를 보였으나 현재까지는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는 않았다.(p=0.75)

  • PDF

인플루엔자 A 및 폐렴미코플라스마 감염과 병발한 가와사끼병 1례 (Kawasaki Disease with Influenza A Virus and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문혁수;허재성;김미경;람버트 모리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2호
    • /
    • pp.149-154
    • /
    • 2016
  • 그 동안 다양한 병원체와 가와사끼병의 관련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아직 확실한 원인으로 증명된 것은 없다. 본 증례는 가와사끼병과 폐렴미코플라스마, 인플루엔자 감염이 동시에 병발한 환자를 소개한다. 27개월 남아가 발열과 기침, 콧물 등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외래에서 인플루엔자 A 감염을 확인하고 oseltamivir를 복용하였으나 발열이 지속되고 경부 림프절 비대, 양측성 결막 충혈, 입술의 발적과 갈라짐, 딸기혀, BCG 접종 부위의 발진을 보였다. 이에 가와사끼병으로 진단하고 면역글로불린을 정맥주사 하였다. 환아는 혈청 항미코플라스마 IgM 항체가 양성이었고 비인두 도말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에서 폐렴미코플라스마 양성으로 나타났다. 본 증례와 더불어 가와사끼병과의 연관성이 거론되었던 병원체들을 살펴보고 가와사끼병의 병인에 대한 가설들을 고찰하여 가와사끼병의 증상이나 관상동맥 병변이 폐렴미코플라스마와 인플루엔자 뿐 아니라 다양한 감염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전이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Lung Cancer)

  • 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9호
    • /
    • pp.948-954
    • /
    • 1992
  • In spite of recent progress in anticancer chemotherapy,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ses to the lung treated nonsurgically has been extremely poor. So we adopted more aggressive surgical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since 1985. We experienced 22 operations of metastatic lung cancer in 19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in Kosin Medical College since 1985, so we reviewed the results of treatment retro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imary organs of metastatic lung cancer were 4 cases in each of the breast, uterus, and extremities, 3 cases in the rectum, 2 cases in the kidney, 1 case in each of the pelvis and liver, and the pathological findings were 13 cases in carcinoma and 6 cases in sarcoma. 2. The treatments for primary lesions were 15 cases of the operations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2 cases of choriocarcinoma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only, 1 cases of uterine cervical carcinoma with chemo-radiation therapy, and 1 case of pelvic synovia sarcoma with intra-arterial anticancer chemotherapy. 3. Disease free intrerval were as follows: 7 cases were in 2 years to 4 years, 4 cases were in 1 year to 2 years, and 5 cases were beyond one year, of them one case was discovered primary lesion and metastatic lung tumor concomittently. 3 cases were above 4 years, of them one case of breast cancer were above 13 years especially. 4. The sites of metastatic lung cancer was 15 lesions in the right lung, and 9 lesions in the left lung, And the lobar sites were 10 lesions in the upper lobe, 2 lesions in the middle lobe, and 12 lesions in the lower lobe. 5. The operative methods of metastatic lung cancer were 7 case of partial resection of lung, 12 cases of pulmonary lobectomy, 1 case of pneumonectomy and 1 case of dissection of mediastinal lymph node. 6.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mild respiratory insufficency, 1 cases of pyothorax, and 1 case of urethral stricture. 7.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ere as follows: No adjuvant therapy were 4 cases, anti-cancer chemotherapy were 8 cases, radiation therapy was 1 case, and combined with chemo k radiation therapy were 8 cases. 8. The results of long term follow-up were as follows: The 5 patients were died at 2 months, 22 months, 24 months, 32 months, and 49 months postoperatively, so mean survival period was 32 months postoperatively excluding one patient who was died at 2 months postoperatively. And 14 patients are aliving, of them 3 patients are living in recurred state, and the other 11 patients are living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 PDF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에서 HHV6과 EBV의 검출 (Detection of HHV6 and EBV in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 박경희;박성식;김지연;박수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9호
    • /
    • pp.987-991
    • /
    • 2008
  • 목 적 : Kikuchi-Fujimoto disease는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라고도 불리는 질환으로 발열과 경부 림프절염을 특징으로 하며 자연 호전되는 경과를 보이는 질환이다.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잘 밝혀지지 않았다. 자연 호전되는 경과 등은 이 질환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을 추측하게 되고, 고려되는 바이러스로는 대표적으로 EBV, HHV6, HHV8, CMV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 EBV, HHV6를 선택하여 HNL와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에서 2005년 사이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조직검사에서 KFD으로 진단된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발열기간, 침범된 림프절 등에 대하여 의무기록지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들의 조직을 이용하여 EBV에 대한 ISH을 시행하고, HHV6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남자가 24명, 여자가 2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9세였다. EBV에 대한 ISH에서 양성을 나타낸 환자는 51명 중에서 8명으로 15.7%였으며 HHV6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양성을 나타낸 환자는 15명으로 29.4%였다. EBV의 경우 혈청검사(VCA IgG와 VCA IgM)가 같이 시행된 경우가 23명이었고 이중 한 명에서 EBV VCA IgM이 양성이면서 EBV ISH에서도 양성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HNL의 원인으로서 EBV와 HHV6의 역할을 증명하지 못하였으나, 드물게 HNL의 원인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에서 HMGI(Y), p53, Ki-67의 발현과 임상인자와의 상관 관계 (Correlation of Clinical Factors with HMGI(Y), p53 and Ki-67 Express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 노영수;박준영;박일석;임영창;문성호;김성동;황준식;김덕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7
    • /
    • 2002
  • Objectives: Expression of HMGI(Y), a nucleoprotein that binds to A/T rich sequences in the minor groove of the DNA helix, is observed in neoplastically transformed cells but not in normal cells. We have analyzed HMGI(Y), p53 expression and Ki-67 labelling index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and evaluated its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Materials and Methods: 40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were entered on the study of immunohistochemical stains for HMGI(Y), p53 and Ki-67.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MGI(Y), p53, Ki-67 expression and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survival rate, recurrence. Results: HMGI(Y) expression evidenc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observed in 35 of 40 (87.5%)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MGI(Y) expression and other clinical factors such as primary site, tumor stage, differenciation,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recurrence and immunohistochemical status of p53. The Ki-67 labelling inde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urrence and HMGI(Y) expression (p<0.05).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e Ki-67 is a good prognostic factor and the HMGI(Y) expression plays some roles in carcinogenesis and cellular proliferat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HMGI(Y) gene can be used as a cancer mark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 expression and the prognosis of the cancer patient should be proved in the future studies.

소아에서의 갑상선 종양 - 수술적 체험 예들의 임상 고찰 - (Thyroid Tumors in Children - Review of Surgically Treated Cases -)

  • 양성환;김갑태;오성수;정을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4-60
    • /
    • 1998
  • Objectives: We'd like to give help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ren's thyoid tumor through our clinical experiences and reference consid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port their experiences with 33 cases of thyroid tumor in patients younger than 16 years of age who were treated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1979 to 1995. Results: 1) Girls were more predominant than boys by a ratio of 5.6:1.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15 years old of age. 2) The final diagnosis in the 33 patients were thyroid carcinoma in 12 cases, nodular goiter in 6 cases, adenoma in 6 cases, Graves disease in 4 cases, Hasimoto's disease in 4 cases and cyst in 1 case. 3) All of 12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had nodular tumor. 4) In 5 of 6 patients with palpable cervical lymphadenopathy, the final diagnosis was thyroid carcinoma. 5) Delayed diagnosis arose in 6 of 12 thyroid carcinomas which were treated for long periods as benign disease. 6) The surgical procedures were total thyroidectomy in 3 cases, subtotal thyroidectomy in 13 cases and thyroid lobectomy in 17 cases. 7) 11 of 12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had subtotal or total thyroidectomy with lymphnode dissection and only one had lobectomy. 8) The overall rat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3%(1 of 33 patient). 9) Postoperative $^{131}I$ therapy was done in 7 case because of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in six and severe local invasion in one. 10) In thyroid cancer, the metastatic rate of lymph node at initial surgery was 81%(9/11) and rate of recurrence was 50%(6/12). 11)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were followed up for a mean of 12 years but only one died as a result of thyroid carcinoma 3.5 years later. Conclusion: The authors suggest that thyroid tumors in childhood should receive the benifit of joint management by endocrine pediatrician and experianced surgeons with an agreed protocol of diagnosis and management. We, also, recommend aggressive surgical and $^{131}I$ treatment as the most effective regimen for children with thyroid carcinoma.

  • PDF

경부 림프절 종대로 발현한 원발 부위 불명의 전이암 (Metastatic Carcinoma of an Unknown Primary Site Presented to the Neck)

  • 김태용;조요한;김진수;홍용상;이근욱;윤탁;송은기;나임일;신현춘;김동완;이재서;성명훈;허대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1-188
    • /
    • 2004
  • Background: About 3% of all cancer patients suffer from cancer of unknown primary origin. Generally, carcinoma of unknown primary (CUP) carries a grave prognosis, but primary tumor presented to the neck is exception to this. The aims of study are to determine the role of chemotherapy and to find the prognostic factors in unknown primary tumor presented to the neck. Method and Material: Eighty-four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unknown primary tumor presented to the neck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2002. Among 84 patients, 43 patients (52%) received chemotherapy, radiation or surgery were performed in 20 patients (23%), 21 patients (25%) had no treatment. Results: The response rates to chemotherapy were 87.5% in CUP only localized to the neck and 44.0% in CUP systemically involved (p=0.012). A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4 years and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9 month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of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were 17 months and that of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or radiation were 20 months (p=0.3548). Th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were performance status and the number of involved organ. Conclusio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CUP presented to the neck is more favorable than that of patients with CUP of other localization. The effectiveness of chemotherapy for CUP only localized to the neck was similar to that of surgery or radiation. Th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were performance status and the number of involved organ.

무균성 뇌수막염을 동반한 Kikuchi-Fujimoto 병 (Kikuchi-Fujimoto disease with aseptic meningitis)

  • 박세진;문원진;김완섭;김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5호
    • /
    • pp.622-626
    • /
    • 2009
  • 키쿠치(Kikuchi) 병, 키쿠치-후지모토(Kikuchi-Fujimoto) 병, 혹은 조직구 괴사성 림프선염은 1972년 일본에서 키쿠치와 후지모토 두 사람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흔히 아시아 지역에서 30세 미만의 여성들을 주로 침범하는 자가 관해 질환으로 기술되어져왔다. 이 질환의 병인은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감염성(EBV, HHV-6 and -8, HTLV-1, cytomegalovirus, varicella-zoster virus, tuberculosis, toxoplasmosis, yersiniosis, cat scratch disease), 자가면역성(SLE, Kawasaki disease), 그리고 종양성 질환(lymphoma)이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발열과 통증 없는 경부 림프선염이다. 진단은 생검을 통한 조직병리학적으로 하게 되는데, 주로 풍부한 핵파괴(karyorrhexis)를 가진 피질 주위 지역에서 나타나는 국소 괴사, 괴사 지역 주위로 비정형적인 단핵구들의 집합, 중성구 및 형질 세포의 결핍, 그리고 대개 림프절 캡슐의 보존 등으로 특징 지워진다. 절대적인 치료법은 없어 대증 치료를 하게 되며 치료 없이도 대개 1-6개월 안에 자가 관해되고 재발률도 3.3%에 불과하다. 키쿠치-후지모토 병의 합병증으로 피부, 심장, 골수 등을 침범할 수 있으며 간질환, 무균성 뇌수막염, 간비비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드물다. 본 증례에서는 입원 당시 결핵성 임파선염과 뇌수막염으로 오인되었던 무균성 뇌수막염을 동반한 키쿠치-후지모토 병을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발현을 통한 구강 설암의 침윤 기전 연구 (Correlations of Oral Tongue Cancer Invasion with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Expression)

  • 김세헌;조남훈;임재열;김지훈;김정홍;장정현;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
    • /
    • 2005
  • Purpose: In oral tongue cancer, the degree of tumor invas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gnosis. We hypothesized that the destruction of extracelluar matrix and neovascularization are related to tumor infiltration mechanism. By studying the the tissues of early stage oral tongue cancer patients, we are intend to clarify the invasion related factors in oral tongue cancer. Material and Methods: To demonstrate the invasion process in early T-stage oral tongue cancer, the expressions of extracellular matrix destruction related molecules(MMP2, MMP9) and neovascularization related molecule(VEGF) were observed by immunohistochemical study. Also,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D31 was done for quantification of neovascularization. With the experiment showed above,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each substances and tumor invasion depth, tumor free survival rates and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rate in early T-stage oral tongue cancer. Results: The expression rates of MMP2, MMP9, VEGF in 38 early oral cancer patients were 52.6%, 78.9% 52.6%, respec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VEGF expression and microvessel density showed by CD3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p<0.001). VEGF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umor invasion depth(p=0.002). The tumor free survival rate of those patients with VEGF-positive tumors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in those with VEGF-negative tumors(p=0.019). Conclusion: This results indicate that VEGF is a useful marker for predicting the tumor invasion in patients with early tongue cancer and could be used as a beneficial factors in defining operative field and prognosis.

자궁경부 소세포암종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in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정은지;이용희;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69-377
    • /
    • 1997
  • 목적 : 자궁경부 소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조직병리학적인 재검사를 시행하여 조직병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환자 및 종양의 특징, 방사선치료 후의 치료 성적등을 조직병리학적 유형에 따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0월부터 1995년 4월까지 연세의대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총 2890명 중 조직학적 유형이 소세포암종이었던 환자는 60명으로 $2.08\%$였다. 타병원예서 조직검사 및 병기 결정 후 방사선치료 만을 위해 전과되었던 36예에서는 자궁경부 생검 조직을 확보할 수 없었고, 이들을 제외한 24명에서 조직에 대한 병리학적 재검사가 가능하여 H&E 염색 및 신경내분비 표지인 neuron-specific enolase(NSE), chromogranin, synaptophysin, Grimelius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들 24예의 환자 및 종양좌 특성,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실패 양상,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 생존율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H&E 염색 및 4가지 neuroendocrine marker 검사 후 13예는 신경내분비암종으로 진단되었고 11예는 소세포 유형의 편평상피암종으로 진단되어 병리학적으로 크게 2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신경내분비암종으로 분류된 13예 중 5예는 중등도 이상으로 분화가 좋은 편아었으나 8예는 분화가 나쁘거나 미분화되었다. 전체 24예 대상 환자들의 연령은 23-79세로 중앙 연령치 54세였으며 FIGO 병기 분포는 Ib 8예$(33.3\%)$, IIa 1예$(4.2\%)$, IIb 11예$(45.8\%)$, IIIa 2예$(8.3\%)$, IIIb 1예$(4.2\%)$, IV 1예$(4.2\%)$로 병기 I-II가 20예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골반 림프절에 전이가 있었던 환자가 5예(20.8%) 있었는데 이 중 3예는 수술후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었고(2예는 근치적 수술, 1예는 골반 림프절 생검) 다른 2예는 전산화 단층 촬영상 골반 림프절이 커져 있어 전이로 판단되었다. 이들 2가지 병리학적 분류군에 따라 환자 및 종양의 특성을 비교해 보았는데 특별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실패 양상,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 생존율 등의 치료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치료 실패 양상에 있어서 소세포형의 편평상피암종에서는 원격 전이가 2예$(18.2\%)$인데 반해 신경내분비암종에서는 6예$(46.2\%)$로 신경내분비암종(neuroendocrine carcinoma)에서 원격 전이율이 높았으나 환자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병리조직학적 재검사가 가능하였던 24예의 자궁경부 소세포암종 환자 중 13예가 신경 내분비암종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11예는 소세포형의 편평상피암종으로 분류되었는데 환자 및 종양의 특징, 방사선치료 성적을 비교해 볼 때 신경내분비암종에서 원격 전이가 호발하였으나 $(46.2\%\;vs.\;18,2\%)$,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이런 결과로 자궁경부에서 발생한 소세포암종 중 신경내분비암종의 경우는 원격 전이가 맡으므로 방사선치료, 수술 등의 국소 치료와 더불어 적절한 항암화학요법을 추가하여 치료 결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