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lymph node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에서 신이식후 발생한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PTLD) 1례 (A Case of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PTLD)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in a Child)

  • 은병욱;박은실;이성용;한혜원;장주영;박경미;김철우;강진한;고재성;하일수;이환종;정해일;서정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1호
    • /
    • pp.123-130
    • /
    • 2002
  • 이식후 발생하는 림프증식성 질환(PTLD)은 양성 다크론성 B림프구 증식증으로부터 악성의 단크론 림프종에 이르기까끼 다양한 임상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PTLD는 Epstein-Barr virus(EBV)와 과도한 면역억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국내에서는 1997년 성인에서 신 이식 후 발생한 예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소아에서는 간 이식 후 발생한 예가 있을 뿐 신 이식 후 발생한 증례의 보고는 없어 이 보고가 국내 최초로 신이식 소아에서 발생한 PTLD 증례이다. 환자는 9세 남아로서 긴이식후 4개월후에 PTLD가 발생하였으며 주된 임상 양상은 발열, 림프절 종대와 혈변이었다. 림프절과 대장의 생검조직 에서 EBV in situ hybridization이 양성이고, 조직학적으로 B 세포계열의 PTLD에 합당한 소견이었다. 모든 증상은 면역억제제 감소와 ganciclovir 치료로 완전 관해되었다.

  • PDF

경부 종괴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Neck Masses)

  • 김정호;오상훈;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1997
  • A mass appearing in the anterior or lateral side of neck often can be a diagnostic challeng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neck mass covers a broad spectrum of diseases and the prope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 neck mass requires an impressive amount of anatomic and pathologic information. Because improper diagnosis and management may convert a potentially curable malignant metastasis into incurable disease, a differential diagnosis must be considered in all patients who present with a neck mass. Authors reviewed 2,148 cases of neck mass who were diagnosed by surgical resection, biopsy or aspira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ober 1982 to December 1993, excluding those with thyroid and parathyroid disease. The evaluated characteristics were age, sex, site of lesion, and pathologic diagno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2,148 cases of neck mass, the overall ratio of benign to malignant tumor was 3 : 1. In 1,603 cases of benign mass lesion, the most common disease was lymphadenitis(non-specific and tuberculosis) showing 53% incidence, the second was salivary gland tumor(13%), and the third was congenital lesion(12%). The minor problems such as lipoma and sebaceous cyst were 21 %. In the age distribution of benign lesion, tuberculous lymphadenitis showed peak incidence in second decade, non-specific lymphadenitis was main disease of childhood, salivary gland tumor was peak in fourth decade, and most of congenital lesions were diagnosed at the age below 15. In 545 malignant tumors, the most common lesion was metastatic cancer to cervical lymph nodes yielding 71 % incidence(head and neck primary 52%, infraclavicular primary 42%, unknown primary 5%), the second common disease was lymphoma(19%), and the third was salivary gland cancer(9%). In the age incidence of malignant tumor, 60% of them developed in the fifth and sixth decade, head and neck primary was more common in the fifth decade than sixth, however lymphoma showed higher incidence in sixth decade. In the analysis of mass location according to lymph node level grouping(I - V), lymphadenitis developed mostly in level V nodes, the next common occurring site was level IV in tuberculous lymphadenitis and level II in non-specific lymphadenitis. The majority of metastatic cancers were found in level IV and III, and common occurring site of lymphoma was in level II and IV. Pathologic diagnosis of neck masses were made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80 cases, incisional biopsy 533 cases, excisional surgery 1,399 cases, and neck dissection 116 cases.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neck mass, a proper diagnostic modality should be selected from imaging techniques, cytology, biopsy or neck dissec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patient's age, history and clinical findings. The scapel biopsy could be used freely in the inflammatory disease or inoperable metastatic cancer, but it should be reserved in the curable metastatic cancer or clinically possible malignancy.

  • PDF

소아 및 청소년에 있어서 림프절 종대에 대한 미세침 흡인 세포검사법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enlarged lymph nod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승민;오윤정;전용훈;홍영진;손병관;김순기;한지영;주영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67-172
    • /
    • 2006
  • 목 적 : 전신의 림프절 종대는 소아 및 청소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지만 연령, 위치 및 특성 등에 따라 원인 질환이 다양하기 때문에 임상 소견에 의해 진단되지 않을 경우 대개 조직검사에 의해 확진된다. 저자들은 소아 및 청소년에 있어서 미세침 흡인 세포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원인 질환과 임상 양상,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20세 이하의 인하대학교병원 외래 및 입원 환자들 중에서 미세침 흡인 세포검사를 시행한 413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은 연령 및 성별, 부위별 분포, 원인 질환에 따른 분류를 하였고, 조직검사 결과와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연령별 분포는 전 연령에 호발하나, 16세에서 20세 사이에 148례로 가장 많아 35.8%를 차지하였다. 남녀 비율은 1 : 1.15(192 : 221)로 여자에서 많았다. 발생 부위는 경부가 310례(75.0%)로 가장 많았다. 원인 질환으로는 비특이적 림프절염이 227례(54.9%)로 가장 많았고, 양성종양 18례(14.2%), 갑상선 질환 26례(6.2%)이었다. 악성종양은 총 18례로 전체의 4.3%를 나타냈고, 선천성 질환은 10례로 2.4%를 차지하였다. 결핵성 림프절염으로 진단된 경우는 22례(5.3%)로 민감도 83.3%를 보였고, 과거에 비하여 여전히 높은 결핵성 림프절염의 빈도를 보였다. 말초 혈액검사는 비특이적으로 나타나 진단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치료를 받은 례는 41.0%로 항생제 투여가 15.2%로 가장 많았으나 59.0%인 244례는 특별한 치료 없이 호전되었다. 결 론 : 소아 및 청소년에서 대부분의 경우 림프절 종대의 원인이 별다른 치료가 필요없는 비특이적 림프절염에 의한 것이었다. 임상 소견과 연관하여 적극적으로 미세침 흡인 세포검사를 시행함으로써, 합병증이 야기되는 불필요한 절개 생검을 피하고, 경제적이며 간편하고 안전하게 진단 및 치료 방침을 세우는 유용한 검사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에서 수지상돌기세포의 침윤과 임상양상의 연관성 (Clinical implication of Dendritic Cell Infiltration in Cervical Tuberculous Lymphadenitis)

  • 정재우;이영우;최재철;유승민;이화연;임성용;신종욱;김재열;박인원;김미경;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23-531
    • /
    • 2006
  • 연구배경: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은 우리나라에서 폐결핵만큼 빈도가 높은 질환이다. 이 질병에서 수지상돌기세포는 초기의 항원 제시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림프절염의 임상 양상과 관련된 항원제시세포의 역할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경부 림프절의 수지상 돌기세포의 침윤과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환자들의 입원기록 및 방사선사진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72례의 조직표본을 대상으로 항산균도말염색을 다시 시행하였고, 수지상돌기세포의 단클론항체로 S-100b를 이용하여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각각 결핵성 육아종안의 수지상돌기세포의 수를 세어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이 있는 환자들의 30%가 폐결핵의 과거력이 있거나 현재 폐결핵을 앓고 있는 상태이었고 21%의 환자에서 항산균도말염색양성을 보였다. 이들 한 육아종안에 침윤된 수지상돌기세포의 수는 평균 $113.0{\pm}7.0$개이었다. 육아종내 수지상돌기세포의 침윤수가 증가됨에 따라 발열과 기침의 빈도는 감소하였고 항산균도말염색상에서 결핵균의 수가 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다중로짓회귀분석을 보면, 수지상돌기세포의 침윤은 특징적으로 발열에 기여하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수지상돌기세포가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에서 발열과 기침 등의 전신증상을 줄이고, 결핵균의 침윤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수지상돌기세포가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감염을 조절하고 이와 함께 면역반응도 조절하여,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에서의 임상양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에서의 조직구성 괴사성 림프절염 : human herpesvirus 8과 Epstein Barr virus와의 연관성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in children : association of human herpes virus 8 and Epstein Barr virus)

  • 김현아;정주영;김상우;임성직;신행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8호
    • /
    • pp.875-881
    • /
    • 2006
  • 목 적 : KD는 주로 동양의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경부 림프절 종대로 발현하는 것이 특징이며 수개월 내에 자연 치유되는 양호한 경과를 가지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KD로 진단된 소아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환아들의 림프절 조직에서 바이러스 검출을 시도하여 KD와 HHV 8, EBV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KD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7세 이하 소아 26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병력지 고찰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추적 조사는 외래 병력 기록지와 전화 방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KD 환아의 림프절 조직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HHV 8 DNA를 검출하기 위해 PCR, EBV RNA를 검출하기 위해 ISH가 시행되었다. 결 과 : KD로 진단된 26명 중 남아 11례, 여아 15례로 성비는 1:1.4였고, 평균 연령은 13세였다. 환아의 연도별 분포는 2000년에 7례로 가장 많았으며, 여름에 가장 많이 진단되었다. 주증상은 발열(8/26)과 림프절의 동통(11/26)으로 발열의 기간은 평균 7.3일 이었다. 목빗근 뒷부위의 림프절 종대가 72%(18/24)였고 1례에서 경부 이외의 림프절 종대로 나타났다. 림프절의 크기는 $1cm{\times}1cm$에서부터 $6cm{\times}6cm$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백혈구 감소가 46%(6/13)에서 있었고 적혈구 침강 속도상승(>20 mm/hr)이 62%(8/13)에서 나타났다. 검체 확보가 가능하였던 20례 모두에서 HHV 8 DNA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SH를 이용한 EBV RNA 검사 결과도 음성이었다. KD 26례 모두 임상 경과는 양호하였으며, 1례(4%)만이 추적 중 발열과 함께 재발하였다.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를 포함한 결체 조직 질환으로의 이환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KD는 소아에서 드물지 않게 발생하므로, 림프절 종대를 호소하는 환아에서 감별 진단에 포함되어야 한다. HHV 8과 EBV는 소아에서 진단된 KD의 원인 병원체로 작용할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Bartonella henselae DNA에 대한 PCR 검사로 확진된 Cat Scratch Disease 1례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artonella henselae DNA)

  •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89-792
    • /
    • 2005
  • CSD는 고양이에 긁히거나 물린 다음에 발생하는 자가제한적 국소 림프선염을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CSD는 소아와 성인에서 비교적 흔한 인수 공통질환이며, 특히 소아 연령의 림프선염과 원인 불명열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SD는 고양이 벼룩에 존재하는 배설물에 있는 B. henselae가 고양이의 발톱이나 이빨에 물리면서 인체에 접종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감염 경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B. henselae는 고양이 벼룩 뿐 아니라 개벼룩, 쥐이 및 진드기 등의 다양한 매개 곤충에 존재하여 다양한 가축과 야생동물을 감염시킨다. 최근에는 고양이 벼룩에 교차 감염되는 애완용 개가 중요한 중간 숙주로 대두되었다. CSD는 애완용 개나 고양이와 접촉하거나 긁힌 기왕력과 전형적인 임상증상, 조직 소견, 혈청학적 검사에 의해 주로 진단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PCR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을 하게된다. 저자들은 10개월간 애완용 개를 키웠던 14세 남아에서 진단된 CSD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PCR로 진단된 최초의 CSD 증례인 점에 의의가 있다. 환아의 발열과 경부 림프선염은 10일 정도 지속되었으나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회복되었다. 환자의 혈청에 대해 시행한 B. henselae 간접면역 형광법 검사는 1 : 64 양성이었으며 경부 림프선 흡인물을 대상으로 시행한 PCR 검사에서 B. henselae DNA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Sperm-Associated Antigen 9 is a Promising marker for Early Diagnosis of Endometrial Cancer

  • Baser, Eralp;Togrul, Cihan;Ozgu, Emre;Ayhan, Sevgi;Caglar, Mete;Erkaya, Salim;Gungor, Tayf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635-7638
    • /
    • 2013
  • Background: Sperm-associated antigen 9 (SPAG9) has been recently proposed as a novel biomarker for early diagnosis of several human tumors, including ovarian, cervical and breast cancers. Its clinical value remains to be clarified for endometrial cancer (EC).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tility of serum SPAG9 levels in diagnosis of EC and its association with important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at a tertiary women's referral center in Ankara, Turkey. Preoperative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surgically treated for endometrial cancer between June 2012-April 2013. Similar aged women with a biopsy proven benign endometrium were used as controls. Serum SPAG9 levels were measured with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and assessed for links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power of SPAG9 levels for EC prediction. P 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 total of 63 women with EC and 27 with benign endometrium were included in the study. Mean age in the EC group was $58.7{\pm}1.1$. Median SPAG9 levels in the EC and control groups were 18.3 (range, 12.7-53.8) and 14.1 (range, 4.3-65.3), respectively (p<0.001). A cut-off value of 17 ng/ml for SPAG9 predicted presence of malignant endometrium with 74% sensitivity and 83% specificity [Area under curve (AUC)=0.82, p<0.001]. SPAG9 levels did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istological type, FIGO stage, tumor grade, size, myometrial invasion,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cervical involvement, adnexal involvement, peritoneal cytology or lymph node status (all p>0.05). Conclusions: Testing for SPAG9 may be useful for early detection of EC in asymptomatic high-risk women. Its role in post-treatment follow-up and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should be assessed in future trials.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 및 신생혈관생성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angiogenesi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정연기;이형석;박철원;강미정;박용욱;박찬금;장세진;태경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5-41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ngiogenesis within malignant tumors has been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cancer cells, especially for solid tumors, and has been implicated in the overall growth and metastases of tumors. Such angiogenesis within tumors depends upon the secretion of vascular growth factor to allow the growth of newly formed vessels from peripheral tissue into the malignant tumor. %n,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cancer cells and vascular growth factors is absolutely critical to understanding the growth of malignant tumors. According to recent report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has been found to play a role in lymphatic metastases, tumor recurrence and survival in various human tumors. To evaluate the role of VEGF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HNSCC) we performed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VEGF and microvessel density in 39 HNSCC by immunohistochemistry and correlated them with various clinical data such as stage, cervical lymphatic metastasis, recurrence, and overall survival. Results : The expression of VEGF was not correlated with overall stage, T stage and N stage.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and recurrence in the Primary site, cervical lymph node, and the distant metastases.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and microvessel density.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not a major prognostic factor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significance of VEGF expression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PDF

분화성갑상선암에서 방사성요오드 SPECT/CT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Radio-iodine SPECT/CT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이정원;이호영;오소원;김석기;정기욱;김선욱;강건욱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5호
    • /
    • pp.350-358
    • /
    • 2007
  • 목적 : 분화성갑상선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 사용되는 방사성요오드전신스캔(Radio-iodine whole body scan)은 해부학적인 정보가 부족하여, 갑상선암의 재발 및 전이와 위양성 병변을 감별하기 힘들며 재발 및 전이 병소의 정확한 해부학적인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요오드전신 평면스캔에서 관찰된 판별이 어려운 병변에 대해서 SPECT/CT를 시행하여, SPECT/CT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6년 2월부터 7월까지 분화성갑상선암으로 방사성요오드전신스캔을 시행한 환자 253명 중,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 파악이 필요하나 이를 정할 수 없는 병변이 있는 환자, 혹은 전이와 양성 병변을 판별하기 어려운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SPECT/CT를 시행하였다. 총 26명의 환자(남:여=8명:18명, 나이: $50.7{\pm}12.5$세)에서 SPECT/CT가 시행되었으며, 평면상의 영상과 SPECT/CT의 영상이 함께 평가되었다. 전이 유무는 방사성요오드전신 스캔, 방사성요오드 SPECT/CT의 결과와 혈액 검사, 그리고 추가적으로 시행한 영상 검사를 바탕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 방사성요오드평면스캔에서는, 경부 부위에서 섭취를 보인 환자 16명 중 13명과 경부 이외 부위에서 섭취를 보인 환자 11명에서 전이가 의심되었다. SPECT/CT시행 후, 26명 중 16명의 환자(62%)에서 판정의 변화가 있었다. 경부 부위에서 SPECT/CT를 시행한 환자 16명 중 5명에서만 경부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었으며, 경부 이외 부위에서 SPECT/CT를 시행한 환자 11명 중 3명에서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었다. SPECT/CT상 전이가 의심된 8명 중 6명에서 추가적인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SPECT/CT를 시행한 26명 중 25명(58%)에서 진료방향이 변화하였다.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25명의 환자 중 24명(96%)에서 SPECT/CT결과가 추가적인 영상 검사와 추적 관찰 결과와 부합하였다. 결론 : 방사성요오드 SPECT/CT를 통해서 갑상선암의 전이와 양성 병변을 보다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었으며, 재발 및 전이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 파악에 도움이 되었다.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자궁경부암의 재 방사선치료 (Reirradiation in R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 김진희;최태진;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30-236
    • /
    • 2001
  • 목적 : 저자들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고 골반 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률, 부작용 등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고 추적 관찰 중 골반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진단당시 병기로는 Ia 1명, Ib 5명, IIa 5명, IIb 3명, IIIb 2명, IVa 2명으로 평균연령은 57세($37\~79$세)이었다. 재발기간은 6개월에서 122개월로 평균 58개월이었다. 재발부위는 7명에서 자궁경부, 10명에서 질부, 1명에서 골반내 림프절에 재발하였다. 12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 방사선치료를, 4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자입방사선치료를, 2명은 외부방사선치료단독를 시행하였다. 재 방사선치료의 외부방사선량은 $2,100\~5,400\;cGy$이었고 방사선총량은 $3,780\~8,550\;cGy$이었다. 재발 후 추적기간은 8개월에서 80개월로 평균 25개월이었다. 결과 : 재 방사선치료 직후 전체 18명 중 14명$(78\%)$에서 국소 제어가 되었으며 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2년 무병생존률은 $53.6\%$이었다. 재발부위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질에 재발한 환자 10명에서는 $71.4\%$, 자궁에 재발한 환자 7명에서는 $28.5\%$ (p=0.03)를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 방사선총량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6,000\;cGy\;71.8\%,\;{\leq}6,000\;cGy\;25\%\;p=0.007)$. 재 방사선치료 후 20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 10명중 7명에서 무병생존 중이다(7/18, $39\%$).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가장 좋은 생존률을 보였다. 재 방사선치료 후 실패양상은 국소 재발이 국소 제어 안된 4명을 포함한 7명 $(39\%)$에서 자궁 및 질에 재발하였고 2명에서 원격 전이되어 사망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장출혈이 3명에서 있었으며 수술을 요하는 장폐쇄가 2명, 방광손상에 의한 혈뇨가 1명, 2도 방광염이 2명, 연부 부종이 2명, 질부조직괴사가 1명에서 있었으나 자연 치유되었다. 재 방사선치료총량이나 재발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경우, 재 방사선치료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심각한 부작용을 줄이는 노력이 더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