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cancer Stage IB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and brachytherapy for vaginal resection margin positive cervical cancer

  • Kim, Donghyun;Ki, Yongkan;Kim, Wontaek;Park, Dahl;Lee, Joohye;Lee, Jayoung;Jeon, Hosang;Nam, Jih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147-152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adjuvant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vaginal brachytherapy (VB)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involved vaginal resection margin (VR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1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EBRT and VB for positive VRM FIGO stage IB-IIA cervical cancer between 2003 and 2015. Concurrent platinum-based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all patients. Results: The median whole pelvis EBRT dose was 50.4 Gy (range, 45 to 50.4 Gy). In the VB, the median dose per fraction, number of fractions, and total dose delivered were: 4 Gy (range, 3.0 to 4.0 Gy), 4 fractions (range, 3 to 5 fractions), and 16 Gy (range, 12 to 20 Gy), respectively. At a median follow-up of 46 months (range, 9 to 122 months), local recurrence was observed in 2 patients, and distant metastasis was present in 7 patients. All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subsequently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The 5-year local control,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89.1%, 65.9%, and 62.9%, respectively. Of the 21 patients, 7 patients (33.3%) reported grade 2 acute toxicity; however, there were no grade 3 or higher acute adverse events. Grade 1-2 late toxicities were observed in 8 patients. Late grade 3 urinary toxicity was reported in 1 patient. Conclusions: Adjuvant EBRT and VB showed excellent local control and low toxicity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positive VRM. Although limited by its retrospective nature, the findings from our study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additional VB in pathologically involved VRM.

초기 자궁경부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효과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arly Cervical Cancer)

  • 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164-170
    • /
    • 2006
  • 목 적: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6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133예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병기는 IB 113예, IIA 20예였고, 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세포암 118예, 선암 15예였다. 자궁경부 기질 내 침범 10 mm 초과 67예, 10 mm 이하 45예였다. 골반 림프절 양성 39예, 림프혈관강 침범 24예, 수술 절제연 양성 8예가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를 $45{\sim}50.4\;Gy$의 외부방사선으로 치료하였으며, 수술 절제연이 양성이거나 불충분한 경우에는 $15{\sim}39\;Gy$의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추적기간의 중간값은 48개월 이었다. 결 과: 대상 환자 전체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88% 및 84%였다. 자궁경부 기질 내 침범 10 mm 초과한 환자에서는 5년 무병생존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골반 림프절 양성인 환자에서도 5년 무병생존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조직학적 분류, 림프혈관강 침범, 수술 절제연 양성은 5년 무병생존율의 감소와 무관하였다. 수술의 방법, 항암제 추가 또한 5년 무병생존율의 감소와 무관하였다. 재발의 양상은 골반 내 재발 4예, 원격전이 11예, 골반 및 원격전이 1예 등으로 관찰되었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수술을 요한 소장폐색 2예, 내과적 치료를 요한 혈뇨 2예가 관찰되었다. 결 론: 고위험인자를 가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국소제어에 도움이 되지만, 원격전이를 막을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체 5년 생존율과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51.5%와 58.7%였다. N 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N0, N1, N2에서 각각 100%, 53.7%, 0%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100%, 47.6%, 41.2%였다(p=0.009). 종양의 위치에 따른 무재발 생존율은 상부, 중간부, 하부에서 각각 55.0%, 78.5%, 31.2%였다(p=0.006). 다변량 분석에서 5년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는 N 병기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N 병기와(p=0.001) 종양의 위치였다(p=0.006). 수술을 요하는 장 관련 후유증은 3명(6.5%)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직장암의 치료에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은 국소영역제어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었으나 원격제어에 대한 효과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향후 생존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실패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만주의로 표면화된 하나의 일본근대 유화의 형식 그대로가 한국아카데미즘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22년에 시작된 선전은 심사위원 대부분이 동경미술학교 교수이면서 구로다의 제자이거나 동료였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초기유학생들이 남긴 작품들은 완전한 인상파에 대한 지식이나 깊은 자아의식을 가지고 제작된 것은 아니라,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었던 것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그림은 구로다의 외광파라고 부르는 것들의 영향보다는, 인상파를 보고 배웠던 동경미술학교 교수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은 그대로 한국 근대미술의 아카데미즘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부적절한 수술루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Radiation Therapy Results of Invasive Cervical Carcinoma Found After Inappropriate Hysterectomy)

  • 최두호;김은석;남계현;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11-219
    • /
    • 1996
  • 목적 : 상피내암, 초기 침윤성 자궁경부암, 또는 양성 질환으로 자궁적출술 받은 후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확인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 결과와 예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수술후 침윤성 자궁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전 진단은 상피내암이 가장 많았으며 (38명), 초기 침윤성 자궁암 (10명), 자궁근종 (6명)등이었다. 대부분 수술후 2개월 이내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3명은 추적검사중 재발암으로 확인되어 치료하였다. 8명은 강내치료만을, 47명은 외부 방사선치료만을, 그리고 6명은 강내치료와 외부 방사선치료를 같이 시행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8\%$, $86.9\%$ 였으며 수술 당시의 육안적 잔존병소가 있었던 경우는 $38.4\%$로 매우 낮았다. 모두 8명의 치료실패가 있었으며 예후인자로는 후향적 병기, 잔존병소 유무, 병리조직유형이 있었다. 결론 : 조기 침윤성 자궁암은 부적절한 수술후에도 방사선치료로 효과가 좋으나 잔존병소가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좀 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조기에 정확한 검진과 병기 결정을 시행하여 각 병기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 PDF

조기 자궁경부 악성종양의 치료실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s in Early Uterine Cervical Cancer)

  • 김주영;이규찬;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85-291
    • /
    • 1991
  • 1981년 1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제1기에서 2기초까지의 자궁경부악성종양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26명의 환자를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행요법군(66)과 단독방사선치료(60)군의 두군으로 나누어 그 치료실패의 양상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총 126명 중 29명인 23$\%$의 환자에서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를 보였으며 각 군 사이에 병기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29명 중 25명인 86$\%$의환자에서 치료종결후 18개월이내에 치료실패를 보였으며 원격전이의 평균 시기는 국소적인 재발보다 빨라 약 60$\%$의 원격 전이 가 6개월 이내에 발생되었다. 첫 원격전이의 장소로는 단독방사선군에서는 주로 복부임파절이나 쇄골 상부임파절이 많았던 반면 병행요법군에서는 이를 제외한 원격임파절, 폐, 간 및 골전이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각 군에서 치료실패에 기여하는 요소를 알아내기 위해 조직병리학적, 또는 임상적인 위험요소들에 대해 다변수 분석을 시행한 결과 병행요법군에서는 불충분한 제거 범위 (p=0.0423) 및 전이 성 골반임파절 (p=0.0060)의 존재가, 단독요법군에서는 치료 종결시 종양의 불완전관해(p=0.0013)가 가장 의미있는 요소로 관찰되었다.

  • PDF

Prognostic Value of HPV18 DNA Viral Load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Siriaunkgul, Sumalee;Utaipat, Utaiwan;Suwiwat, Supaporn;Settakorn, Jongkolnee;Sukpan, Kornkanok;Srisomboon, Jatupol;Khunamornpong, Surap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281-3285
    • /
    • 2012
  • Objective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and prognostic value of HPV18 DNA viral load in patients with early-stage cervical neuroendocrine carcinoma (NECA). Method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of cervical NECA patients with known HPV18 infection and clinicopathologic data including follow-up results were collected. The HPV18 DNA load was assessed with quantitative PCR targeting the HPV18 E6E7 region. Results: Twenty-one patients with early-stage (IB-IIA) cervical NECA were identified. HPV18 DNA viral load ranged from 0.83 to 55,174 copies/cell (median 5.90). Disease progression, observed in 10 cases (48%),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y clinicopathologic variables. However, the group of patients with progressive disease tended to have a higher rate of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50% versus 9%, p=0.063) and a lower median value of HPV18 DNA viral load (4.37 versus 8.17 copies/cell, p=0.198) compared to the non-recurrent group. When stratified by a cut-off viral load value of 5.00 copies/cell, the group of patients with viral load ${\leq}5.00$ copies/cell had a significantly shorter disease-free survival than the group with viral load >5.00 copies/cell (p=0.028). The group with a lower viral load also tended to have a higher rate of disease progression (75% versus 31%, p=0.080).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clinicopathologic variables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viral load groups was identified. Conclusion: HPV18 DNA viral load may have a prognostic value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ECA of the cervix. A low viral load may be predictive of shortened disease-free survival in these patients.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의 외과적 고찰 (Surgery of Advanced Esophageal Cancer after Chemotherapy)

  • 임수빈;이종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36-541
    • /
    • 1996
  • Between June 1988 and June 1994, twenty fiv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rcinoma received preoperative chemotherapy (Cisplatln, 5-Fluorouracil with or without Etoposide) and followed by resection. All patients had clinical evidence of airway involvement or distant Iymphnode involve- ment (M 1 Iymphnode) on bronchoscopy or computed tomographic scans. The major response rate to chemotherapy decided by the postoperative stage was 48% (12125). The resection rate was 92% (23/25) with overall complete resection rate of 72% (18125). Two patients had exploratory laparotomy (thorn- cotomy) only. Thirteen patients had esophagogastrostomy with a combined abdominl and Rt. thoracic approach (Ivor Lewis operation), slx pAtients had transhiatal esophagectomy, four patients had esophagogastrostomy with a combined Rt. thoracotonly & abdominal, cervical approach. There were three postoperative deaths (12%). Follow-up duration was between 3.3 months to 65 months. Median survival ime of resected patients except hospital death was 14.8 months. Actuarial survival at 12, 24 months was 72.9%, 26.2%. Signifi- cant better survival was associated with responder group (postoperative stage less than lIB) (P=0.029).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1) Preoperative Cisplatin based combined chemotherapy Produce high response rate, 2) High complete resection rate with acceptable mortality rate occur after preoperative chemotherapy, 3) Better surviL dl can be anticipated if complete resection performed after major re- sponse to preoperative chemotherapy.

  • PDF

자궁경부암에 있어서 방사선치료 후의 치료실패 분석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urative Radiotherapy in Uterine Cervical Carcinoma)

  • 채규영;강기문;이종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24-229
    • /
    • 2001
  • 목적 : 방사선단독으로 치료했던 자궁경부암에서 치료실패 양상과 치료실패에 대한 위험인자를 확인하여 동시항암 화학방사선요법의 적용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4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중 외부방사선조사와 강내조사를 계획대로 완료한 1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에 의한 병기별 분포는 Ib 12명, IIa 24명, IIb 98명, IIIa 1명, IIIb 17명, IVa 2명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yer 법을 이용하여 구하였고, 생존율의 비교는 Log-rank test로, 다변량분석은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였다. 국소 또는 원격실패에 대한 단변량, 다변량분석은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사용하였다. 방광 및 직장의 합병증 평가는 RTOG/EORTC에서 제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SOMA scale을 적용하였다. 결과 : 전체 154명 가운데 완전 관해를 보인 경우는 130명으로 완전관해율은 $84.4\%$였다. 완전관해자 가운데 6명이 국소재발, 25명이 원격전이, 10명이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를 보여 완전관해자 가운데 $31.5\%$가 치료에 실패하였다. 연구대상 전체의 치료실패양상을 보면 국소실패가 25명, 원격실패가 25명, 국소 및 원격실패가 15명으로 전체환자의 치료실패율은 $42.1\%$ (65/154)였고, 국소실패율(국소단독실패와 국소, 원격 이중실패를 합한 것) 및 원격실패율(원격단독실패와 국소, 원격 이중실패를 합한 것)은 각각 $25.9\%$ (40/154), $25.9\%$ (40/154)였다. 국소실패의 위험인자로서는 단변량, 다변량분석 모두에서 종양의 크기가 유의하였고 원격실패의 위험인자로서는 단변량분석에서는 병리, 종양의 크기, 골반임파절전이, 치료전 혈색소 수치가 유의하였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종양의 크기, 골반임파절전이가 유의하였다. 5년 생존율은 $FIGO\;Ib\;74\%,\;IIa\;67\%,\;IIb\;63\%,\;IIb\;45\%$. 결론 : 종양의 크기가 4 cm 이상인 경우 방사선치료만으로는 국소 및 원격실패의 가능성이 높고 생존율 역시 낮다. 크기가 4 cm 이상이거나 골반임파절전이가 있는 경우 대동맥임파절 전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크기가 4 cm 이상이거나 골반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이고 원격전이를 줄이기 위해 동시방사선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 PDF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자궁경부암의 재 방사선치료 (Reirradiation in Rcurrent Cervical Cancer Following Definite Radiation Therapy)

  • 김진희;최태진;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30-236
    • /
    • 2001
  • 목적 : 저자들은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고 골반 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률, 부작용 등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7년 1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고 추적 관찰 중 골반내에 재발하여 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진단당시 병기로는 Ia 1명, Ib 5명, IIa 5명, IIb 3명, IIIb 2명, IVa 2명으로 평균연령은 57세($37\~79$세)이었다. 재발기간은 6개월에서 122개월로 평균 58개월이었다. 재발부위는 7명에서 자궁경부, 10명에서 질부, 1명에서 골반내 림프절에 재발하였다. 12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 방사선치료를, 4명은 외부방사선치료와 자입방사선치료를, 2명은 외부방사선치료단독를 시행하였다. 재 방사선치료의 외부방사선량은 $2,100\~5,400\;cGy$이었고 방사선총량은 $3,780\~8,550\;cGy$이었다. 재발 후 추적기간은 8개월에서 80개월로 평균 25개월이었다. 결과 : 재 방사선치료 직후 전체 18명 중 14명$(78\%)$에서 국소 제어가 되었으며 재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 2년 무병생존률은 $53.6\%$이었다. 재발부위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질에 재발한 환자 10명에서는 $71.4\%$, 자궁에 재발한 환자 7명에서는 $28.5\%$ (p=0.03)를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 방사선총량에 따라 2년 무병생존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6,000\;cGy\;71.8\%,\;{\leq}6,000\;cGy\;25\%\;p=0.007)$. 재 방사선치료 후 20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 10명중 7명에서 무병생존 중이다(7/18, $39\%$). 외부방사선치료와 강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가장 좋은 생존률을 보였다. 재 방사선치료 후 실패양상은 국소 재발이 국소 제어 안된 4명을 포함한 7명 $(39\%)$에서 자궁 및 질에 재발하였고 2명에서 원격 전이되어 사망하였다. 부작용으로는 장출혈이 3명에서 있었으며 수술을 요하는 장폐쇄가 2명, 방광손상에 의한 혈뇨가 1명, 2도 방광염이 2명, 연부 부종이 2명, 질부조직괴사가 1명에서 있었으나 자연 치유되었다. 재 방사선치료총량이나 재발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경우, 재 방사선치료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나 심각한 부작용을 줄이는 노력이 더 요구된다.

  • PDF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성적 (Results of Radiotherapy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김철용;최명선;서원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1호
    • /
    • pp.63-73
    • /
    • 1988
  • One hundred fifty-four patients with the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o assess the result and impact of treatment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orea University, Hae-Wha Hospital from Feb 1981 through Dec. 1986. Prior to radiotherapy, the patients were evaluated and staged by recommendation of FIGO including physical examination, pelvic examination, cystoscopy, rectosigmoidoscopy, chest X-ray, IVP. Ba enema. Also, an additional pelvic CT scan was obtained for some of the patients.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otherapy alone or adjuvant postoperative irradiation; in case of radiation therapy only, whole pelvic irradiation was given with Co-60 teletherapy unit via AP and PA parallel opposing fields or 4-oblique fields, 180 cGy per day, 5 days per week and intracavitary insertion was performed. In satges Ia, Ib, and IIa with small primary lesion, external irradiation was initially given to pelvis up to $2,000\~3,000\;cGy/2frac{1}{2}\;-3frac{1}{2}$ weeks and then intracavitary insertion was performed using Fletcher-Mini-Declos Applicator with cesium-137 cources and followed by external irradiation of $1,000\~2,000\;cGy/1frac{1}{2}\;-2frac{1}{2}$weeks via AP and PA parallel opposing fields with midline shield to spare of bladder and rectum. However, if the primary lesion is large, external irradiation was given without midline shield. More than stages IIb,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external beam irradiation up to 5,400cGy/30f for 6 weeks via 4-oblique portals and at the dose of 5,040cGy/28f the field was cut 5cm from the top margin for spare of small bowel, and followed by intracavitary irradiation, If there was residual tumor an additional dose of $900\~l,200cGy/5\~7f$ was given to parametrium and/or residual tumor area. Total dose of radiation to A and B-point were as follows; A-point; In early stages, Ia, Ib, IIa; $8,000\~9,000$ B-point $5,000\~6,000 cGy$ A-point; In advanced stages IIb, IIIa, IIIb; $9,000\~10,000$ B-point $60,000\~7,000cGy$ The results were obtained and as fellows; 1 The patients distribution according to FIGO staging system were stage Ia 6, Ib 27, IIa 28, IIb 54, IIIa 12, IIIb 18, and stage IVa 9. 2. Value of CT scan were demonstration of cervix tumor mass, parametrial and pelvic side wall tumor spread, pelvic and inguinal lymph nodes metastases, and hydronephrosis. Three dimensional quantitative demonstration of tumor volume is also important in planning radiation therapy. Another advantage of CT scan was detection of recurrent tumor after radiation or surgery. 3. Local control rate of tumor according to the size was $91.3\%$ for less than 5cm in size and $44.6\%$ in tumor over 5cm (p<0.0068). 4. Thirty out of 50 recurrent sites has locoregional failures and 17 cases has distant metastases. And the para-aortic lymph nodes were the most common site for distant metastases. 5.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temporal rectal bleeding which was controlled most by conservative management. However, 4 patients required for endoscopic cauterization. 6. The 5-year survival rates showed; stage la and Ib $95\%,\;stage\;IIa\;81\%\;stage\;lIb\;67\%,\;stage\;IIIa\;37.7\%,\;stage\;IIIb\;23\%$ and 3-year survival rate of stage IVa showed $11.6%$, retrospectively.

  • PDF

Pretreatment Thrombocytosis as a Prognostic Factor in Women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a Meta-analysis

  • Yu, Min;Liu, Lei;Zhang, Bing-Lan;Chen, Qi;Ma, Xue-Lei;Wu, Yu-Ke;Liang, Chun-Shui;Niu, Zhi-Min;Qin, Xin;Niu, T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077-6081
    • /
    • 2012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rognostic implications of pretreatment or preoperative thrombocytosis in women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Material and Methods: We surveyed 2 medical databases, PubMed and EMBASE, to identified all relevant studies. A total of 14 (n=3,490) that evaluated the link between thrombocytosis and 5-year survival were included. REVMAN version 5.1 was used for our analysis and publication bias was evaluated using the Begg's funnel plot and tested by STATA 11.0. Risk ratios (R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generated by the random effect model were used to assess the strength of any association. Results: 709(20.3%) of the 3,490 patients exhibited thrombocytosis (platelet counts > $400{\times}10^9/L$) at primary diagnosis, and their mortality was 1.62-fold higher compared with the others (RR=1.62, 95%CI=[1.28-2.05], p<0.0001). Thrombocytosis failed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the survival of advanced patients of stages III to IV in our study (n=478, RR=1.29, 95% CI=[1.13-1.48], p=0.0003), nor in women with cervical cancer in stage IB (n=1371, RR=1.73, 95% CI=[1.71-2.58], p=0.007). In addition, when adjusted for different carcinoma, it was associated with worse prognosis for all except the ones with vulvar cancer (n=201, RR=0.43, 95% CI=[0.14-1.29], p=0.13).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indicated that thrombocytosis might be associated with a worse prognosis for patients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but without specificity or sensitivity for the ones in advanced stage. When adjusted for different gynecologic malignancies, i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urvival of all except vulvar can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