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tification Policy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초

데이터 리포지터리 인증 체계 분석 및 인증 전략에 관한 연구 - Coretrustseal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ta Repository Certification Scheme Analysis and Certification Strategy: Focused on Coretrustseal)

  • 김주섭;양성준;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09-22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포지터리 인증 체계를 분석하고 Coretrustseal 인증을 추진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인증 체계에는 Coretrustseal, RatSWD, CLARIN certificate B, DIN 31644, ISO 16363, TDR 그리고 nestor 등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Coretrustseal 인증은 타 인증의 기준 및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있는 핵심 인증 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retrustseal 인증 추진 전략을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인증 추진 전략에는 국내 데이터 리포지터리를 운영 하는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데이터 정책 및 가이드라인 관련 목록과 인증 신청서 예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CTS 인증 추진 과정을 통해 각 기관에서는 연구데이터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CTS 인증을 획득하게 되면 해당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대한 국제적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녹색건축인증제도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평가 (A Dynamic Approach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Boosting Pocliies for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 김정화;이현수;박문서;이슬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8-39
    • /
    • 2016
  • 건물부분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2002년 정부는 녹색건축인증제도(G-SEED Certification)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각종 활성화정책에도 불구하고 공동주택부분의 인증건수는 전체 공동주택 사업승인건수의 1% 내외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은 대부분 공급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정책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도 대부분 공급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주택시장은 시장의 참여자인 수요자와 공급자의 상호영향을 통해 작동되기 때문에 한쪽에 치우친 시각이 아닌 그들의 포괄적인 관계과 동태성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건축인증 공동주택시장을 수요자와 공급자의 의사결정을 토대로 분석하여,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모델을 작성한다. 그리고 해당 모델에서 현재 시행중인 정부의 인증 활성화정책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봄으로써 그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녹색건축인증제도의 활성화 정책 방향제시를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국내 학부 보건관리학과의 교육과정 분석연구: 취득면허·자격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Curriculum Analysis on Health Management Schools in Republic of Korea: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Licence and Certification)

  • 이유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34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conduct curriculum analysis on health management schools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licence and certification in Republic of Korea. Methods: Possible employment field, licence and certification as well as curriculum were collected from the home page of 30 health management schools. The subjects and credits of 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in subjects by areas were drew using categorization and ranking within qualitative methods.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hecking relationship between main subject and possible employment field, licence and certification. Results: First, major employment fields after graduation were public health officer, general hospital and clinic,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ossible licence and certificate were hospital administrator, medical recorde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nd medical insurance specialist. Second, total graduate credits were 133.9 including 79.0 for major education, 30.5 for of general education, and 30.5 for elective courses. Third, main subjects were reviewed by areas including basic medicine, health management, hospital business & management, medical records & information, insurance billing & assessment, healthcare marketing & tourism, and health education. There were highest number of subjects on health education area among 8 categories. By subjects, many health management schools open health law, medical terminology, introduction to public health, and biostatistics. Relationship between main subjects and possible employment field, licence and certification in health management schools was strong.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curriculum and for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in health management schools. Also,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for courses in health administration and introduction of accreditation system can be considered.

벤처확인유형을 중심으로 한 벤처기업의 성장 분석 (An Analysis of Venture Firms' Growth in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Venture Certification Types')

  • 김기완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5권1호
    • /
    • pp.63-101
    • /
    • 2013
  • 우리나라의 '벤처기업'은 법적 용어로서 벤처캐피털 투자기업('벤처투자기업')뿐만 아니라 연구개발기업과 정책자금 지원기업('기술평가 보증 대출 기업')들을 포괄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은 벤처확인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중소기업청의 1998~2010년 벤처확인기업 명단을 '한국기업데이터'(KED) 재무 데이터와 연계하여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투자기업은 기업공개 확률이나 최초 벤처확인 이후 3년 및 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매출 고용 성장률 모두에서 기술평가 보증 대출 기업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3년 이후 신규 인증된 연구개발기업 역시 기술평가 보증 대출 기업에 비해 우수한 성장성을 보이고 있다. 이 결과는 '벤처기업'이라는 단일한 명칭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업군은 상이한 속성을 지닌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업 성장 면에서 정책적 선별이 시장에 의한 선별에 상응하는 효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감안할 때 벤처지원정책은 벤처확인유형별로 상이한 기업군의 지원수요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명목상의 벤처기업 수 증가보다는 벤처캐피털 시장의 활성화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전자서명(電子署名)과 전자인증(電子認證)의 제문제(諸問題) (Some problems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Electronic Certification)

  • 최준선
    • 무역상무연구
    • /
    • 제15권
    • /
    • pp.211-238
    • /
    • 2001
  • This article discusses and analyses several issues regarding to the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Electronic Certification. The objects of the analyse are the each paragraphs of the Korean Electronic Signature Act of 1999 and that of the Korean Electronic Transaction Basic Act of 1999 in comparing to the paragraphs of the Electronic Signatures in Global and National Commerce Act' (E-Sign) of 2000, U.S.A. and that of the Draft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Signature of 2000. The main issues discussed herein are the scope of the electronic signature, the definition of the electronic signature, permission of services to the non-authorized certification service providers, the effect of the electronic signature, the liability of the concerning parties of the electronic signature including liability of the certification service providers, that of the subscribers and that of the relying parties.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problems of the possibility of issuing the electronic negotiable commercial papers, the validity of the electronic signatures done by electronic agents, the authority certificate, mutual certification of the foreign certification service providers, the permission of the electronic notary service, the problems of the consumer protection and the possibility of issuing electronic insurance policy, etc. The writer concludes by suggesting some measures that will activate the use of electronic signatures under the korean circumstances.

  • PDF

부조종사 자격증명(Multi-Crew Pilot License) 제도에 대한 국내 항공종사자 인식도 및 수요도 분석 (An Analysis of Domestic Airmen's Awareness and Demand for Multi-Crew Pilot License (MPL) Certification System)

  • 권문진;권한준;이장룡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0-18
    • /
    • 2022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the Multi-crew Pilot License (MPL) to prepare the legal institutional basis for the MPL certification system. A total of 288 airmen were asked questions about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he MPL certification system, and factors affecting the establishment and participation of MPL training programs. The survey results show the understanding of the MPL certification system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urrent pilot certification system. The demand for the MPL training progra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rainees and low-skilled airmen was greater demand.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MPL training program was identified as employment connection (airline recruit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MPL certification system policy.

수요기반 물류인증을 통한 물류산업 활성화 방안 (A Policy Proposal for Development of Logistics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Needs with a Device for Vitalizing Logistic Industry)

  • 오재영;문종근;이진용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7
    • /
    • 2015
  • 글로벌 산업화 및 경제성장으로 국내외 교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 물류비 부담이 지속적으로 상승되면서, 선진국이나 글로벌 선진기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이러한 국가물류비 감소를 통한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물류 효율화를 시도해 왔다. 특히 2000년대 초반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을 도입을 통해 T11($1100{\times}1100mm$)의 표준파렛트를 설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포장 모듈 및 물류 설비가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물류설비인증제도를 시행함으로써 물류표준화 확산과 동시에 3자 물류의 확산을 통한 물류효율화가 진행되면서 국가물류비 절감에 상당부분 기여해왔으나, 최근 인증수요의 감소와 함께 GDP 대비 국가물류비 비율에서 아직 선진국과 약 3%정도 격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물류분야 인증제도에 대한 현황 및 실효성 분석을 통해 국가 물류 효율화 및 선진화와 동시에 물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전략으로서의 물류인증 활성화 방안으로 인증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수요기반의 물류인증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즉, 동북아 교역량의 증가에 대응한 순환물류시스템(Returnable Transport System) 도입 필요성을 반영한 '동북아 물류설비 인증' 개발과 전자 상거래의 초국경적 글로벌 유통에 따른 '안전운송 인증'과 같은 수요기반의 인증 도입을 통해 물류산업 지원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Perspective of Forest Certification in South Korea: Case Study of Questionnaire for Forest Products Manufacturers and Consumers

  • Lee, Seong Youn;Joo, Rin Won;Yang, I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33-53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pring of 2005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o examine the opinions of forest products manufacturers and consumers about the perspective of forest certification in South Korea and to characterize those consumers who expect the activation of a forest certification system in South Korea.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spect for the activation of forest certification than forest products manufacturers. Respondents who had a negative view for establishing a forest certification system in South Korea pointed out a lack of customers' demand for certified wood products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Results also showed that, even when a forest certification system would be introduced as a possible policy for helping to attain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it would take at least 5 to 10 years to establish a forest certifi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many respondents suggested that an increased public awareness of forest certification systems was the most required precedent condition, and government for manufacturers and forest management association for consumers had to certify forest management practices as a competent organization. A profile of consumers who expected the activation of a forest certification system would describe in relative terms as the highly educated female who interviewed in the city of Seoul and of the 20 age bracket. Although there were an increased public awareness and positive prospective of forest certification by consumers and forest products manufacturers, it is required to arouse much more interest of consumers about the system.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나노기술 적용제품의 부정적 영향 완화 정책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Mitigation Polices for the Negative Effect of Nanotehcnology-applied Products Using Conjoint Analysis)

  • 배성훈;신광민;임정선;윤진선;강상규;김준현;조수지;이기광
    • 경영과학
    • /
    • 제32권3호
    • /
    • pp.1-1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policy of Nano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minimize nanotechnology's potential risk, using the methodology of conjoint analysis and market share analysis. The attributes of conjoint analysis were divided into potential risk factor and the policy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factor could alleviate the potential risk, subsequently increasing consumers' utility. Additionally, the government certification was more powerful than the mandatory labelling. The market share also increased in result of the nanotechnology-applied product with the certification or labeling ei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related policy makers in the fields of Nanotechnology.

정보통신 상호운용성 시험의 인증 체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ertification System Model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teroperability testing)

  • 김영태;박기식;김광현;조정호;이태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B호
    • /
    • pp.1305-1312
    • /
    • 1999
  • 정보통신 표준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에 대한 체계적인 시험방법 및 절차가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표준이 실제로 제품 구현이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소한의 사항들을 제대로 구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공인기관에 의한 시험인증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시험인증 제도의 수립과 국가적 차원의 시험인증 연구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관련 제도를 정립키 위해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 나라의 시험 인증제도 현황과 바림직한 인증 모델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