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broside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율무의 극성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Polar Lipid in Adlay)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9-35
    • /
    • 1987
  • 현미율무와 백미율무를 chloroform-methanol(2 :1, v/v)로 추출한 총지질중 극성지질인 당지질 및 인지질을 SACC에 의하여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미율무 총지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5.67%, 1.83%였으며, 백미율무에서는 5.49%, 1.78%로 나타났다. 현미율무와 백미율무의 당지질 조성중 주요한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 esterified steryl glycoside와 digalactosyl diglyceride로 나타났으며, 이외에 cerebroside & steryl glycoside도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질 조성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와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요한 성분 이었으며, 이외에 phosphatidyl inositol, lysophosphatidyl choline와 phosphatidyl serine의 순으로 함유 되었으며, 현미율무와 백미율무에서는 거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현미율무와 백미율무의 당지질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oleic, palmitic acid였으며, 인지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은 당지질의 조성과 그 양상이 거의 같았으나, 당지질에는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은데 비하여 인지질에는 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잣지질 성분의 분획정량 및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Lipid Classes in Korean Pinenut)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6-412
    • /
    • 1984
  • 잣(Pinus koraiensis S & Z)에서 얻은 총지질 성분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로써 재분리시켜 구성성분들을 분별하고 scanner에서 정량하였으며,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지질의 구성은 중성지질이 총지질의 $95.9{\sim}96.7%$, 당지질이 $2.5{\sim}3.2%$, 인지질이 $0.8{\sim}0.9%$였으며,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80.8%), diglyceride(6.3%), free fatty acid(5.2%), sterol(4.6%) ,sterol ester 및 hydrocarbon 등이 분별 정량되었으며, 이 중 triglyceride가 주된 물질이었다. 당지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ylglycoside(23.5%), cerebroside 및 steryl glycoside(7.8%), digalactosyl diglyceride(2.3%) 등이 분별정량되였고, 인지질의 획분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40.2%), phosphatidyl ethanolamine(19.4%), phosphatidyl inositol(7.3%), lysophosphatidyl choline(5.8%), phosphatidyl serine(2.6%) 등이 분별 정량되었다. 2)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48.7%), oleic acid(28.8%), arachidic acid(14.4%), palmitic acid(5.7%), stearicacid(1.84%), linolenic acid(0.7%), myristic acid(0.1% 이하), lauric acid(0.1% 이하) 등이 분리 정량되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17.7%)와 stearic acid(6.0%)의 함량이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다소 많았다.

  • PDF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2보(報) :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I. Composition of Polar Lipids-)

  • 이상영;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에서 추출한 총지방질중 극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의 총지방질중 당질의 평균함량은 8.9% 및 12.3%, 인지질의 평균함량은 17.3% 및 19.2%였으며, 보리중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맥아에서 평균 39.5% 및 11.5%가 증가하였다. 2. 보리의 당지질 중에는 DGDG 와 MGDG가 평균 35.5%및 28.6%로 주요성분이 었고 SG와 Cerebroside는 20.7% 및 15.2%이었으며, 보리중의 DGDG 와 MGDG 는 맥아에서 감소되었으나, SG 와 Cerebroside는 증가하였다. 3. 보리의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PC), lysophosphatidyl choline(LyPC), diphosphatidyl glycerol(DPG),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는 보리에 비하여 PC, LyPC는 감소하였으나 PE와 DPG는 증가하였다. 4. 보리와 맥아의 지방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과 그 변화는 총지방질과 중성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 및 그 변화 패턴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중에는 리놀레산, 인지질 획분중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획분들에 비하여 많았다.

  • PDF

신령버섯에서 분리된 Glucosylceramide 및 Sterol의 피부 세포 개선 효과 (Effect of Glucosylceramides and Sterols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Extract on Improvement of Skin Cell)

  • 김정은;이소영;장윤희;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5-117
    • /
    • 2020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은 항암, 면역력 개선, 항비만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 미백 등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이러한 효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신령버섯의 성분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 추출물의 피부 효능을 재확인하고 유용한 효능성분을 밝혀내어 이를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신령버섯 추출물은 100 ㎍/mL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 콜라겐 합성 증진, 보습과 관련된 유전자(hyaluronan synthase-2, 3와 aquaporin-3)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은 분광학적 데이터와 문헌값을 비교하여 ergosterol (1), 5-dihydroergosterol (2), cerevisterol (3), cerebroside B (4), cerebroside D (5), adenosine (6), 및 benzoic acid (7)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비교적 효능이 알려지지 않은 3종의 sterol (1-3)과 2종의 glucosylceramide (4, 5)에 대하여 피부효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5-dihydroergosterol (2)이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하였다. 그리고 cerevisterol (3), cerebroside B (4), cerebroside D (5)는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cerebroside D (5)는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2와 aquaporin-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신령버섯 추출물과 분리 화합물은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의 랫드를 이용한 90일 경구투여독성시험 (Repeated Dose 90-Day Oral Toxicity Study of Dried Thermitomyces albuminosus Powder in Rats)

  • 안민지;허혜선;이지선;손혜영;임해옥;박강백;이준헌;지재규;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53-1162
    • /
    • 2016
  • 계종버섯(Thermitomyces albuminosus)의 안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사료에 계종버섯의 분말을 5%, 2.5%, 1.25%, 0%를 혼합하여 90일 동안 랫드에 자유 급이 시켜 실험동물의 일반증상, 체중변화, 혈액학적 검사, 부검소견, 임상병리, 조직병리학적 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독성을 평가하였다. 독성판정기준은 독성의 정도와 양상에 따라 weight-based classification (독성 강도에 따른 분류)로 분류 하였는데 비시험물질-유래 변화인 NOEL, 시험물질-유래 경미한 변화는 NOAEL, 시험물질-유래 중요한 변화는 LOAEL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시험결과, 수컷 좌, 우측 신장 중량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여 고용량군에서는 12%, 8% 증가 하였다. 하지만 임상, 조직병리학적 결과 독성으로 판단되는 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시험물질-유래 경미한 변화로 판단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판정기준에 따라 수컷은 NOAEL 암컷은 NOEL이 식이함량 5%로 추정되지만 식약처고시에 따라 암수 모두 NOAEL이 식이함량의 5%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계종버섯은 식품 또는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현미와 백미의 극성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2-268
    • /
    • 1989
  •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에서 추출한 극성지질의 조성을 TLC로 분별 정량하였고,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지질은 TLC 상에 6가지가 분리되었으며,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함량이 가장 높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와 steryl glycosides(SG) 함량은 다음으로 둘은 비슷한 값이었다. 현미와 백미 그리고 겨의 ESG함량은 51.05%, 47.88%, 50.76%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MGDG는 겨에서 높았고, SG, cerebrosides(CB), digalactosyl diglycerides(DGDG)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2. 인지질은 TLC 상에서 7가지가 분리되었고 이중 phosphatidyl cholines(PC)와 phosphatidyl serines(PS)는 겹쳐져서 나타났으며, 한가지의 확인할 수 없는 물질이 있었다. 인지질 조성은 PC+PS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현미중의 PC+PS가 62.0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PE로 시료 군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와 백미에서는 총 지질, 중성지질의 조성과는 달리 palmitic acid의 함량이 30.84%, 34.13%로 매우 높아서 linoleic acid 함량과 비슷하였고 oleic acid 함량이 23.11%, 18.11%로 매우 낮았다. 이와 달리 겨는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이 linoleic acid 그리고 Palmitic acid 였다. 4.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3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oleic acid로 34.04% 였으며, palmitic acid는 22.60%였다.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0.55%로 가장 높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으며, oleic acid는 현미와는 달리 함량이 낮았다. 한편 겨는 현미, 백미와는 달리 남풍, 화성, 진흥에서 myristic acid 함량이 각각 37.53%, 44.20%, 45.42%로 가장 높고 linoleic, oleic, palmitic acid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밀양 23호 겨만이 oleic, linoleic acid 함량이 비슷하게 37% 정도였고, palmitic acid 20.52%, myristic acid가 2.02%로 현미, 백미의 조성 비율과 비슷하였다.

  • PDF

쌀보리 결합지질의 추출과 그 조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and Composition of Bound Lipids in Naked Barley)

  • 김혜경;김복남;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14
    • /
    • 1989
  • 쌀보리가루에서 결합지질을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고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등으로 분획하였으며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 지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석을 분석하였다. Water saturated butanol ($25^{\circ}C$, WSB-LT) 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질의 함량이 각각 35.5%, 32.4%, 32.1% 그리고 WSB($95^{\circ}C$, WSB-HT)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인지질의 함량이 50.6%로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triglyceride$(66{\sim}82.9%)$이고 그외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cte, esterified sterol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당지질 성분중에서는 digalactosyl diglycerides, cerebrosides, steryl 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였고 이중 digalactosyl diglyceride$(40.2{\sim}44.8%)$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lysophosphatidyl choline $(20.3{\sim}34.4%)$, phosphatidyl choline & phsphatidyl serine$(18.6{\sim}22.5%)$, phosphatidyl ethanolamine$(18.4{\sim}28.2%)$, dtphosphatidyl glycerols $(10.5{\sim}16.9%)$등으로 그 성분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체로 구성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인지질외에는 그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 또한 쌀보리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로서 추출방법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큰 차이점은 없었으며, 특히 중성지질에서는 palmitic acid 함량이 $34.3{\sim}38.2%$, linoleic acid 함량이 $44.2{\sim}48.8%$였다.

  • PDF

싸리종자(Lespedeza bicolor)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of Bush Clover (Lespedeza bicolor) Seed)

  • 김향란;고무석;양희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5-84
    • /
    • 1987
  • 싸리종자의 지질을 chlorform: methanol(2:1, v/v)로 추출한 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한 다음 TLC와 GC로 분리,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리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11.60%, 조단백이 20.10%, 조지방이 15.25%, 당질이 48.92%, 회분이 4.13%로 나타났다. 2. 싸리종자의 지질은 중성지질이 71.75%, 당지질이 23.26%, 인지질이 4.99%였다. 3.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 61.9%, free fatty acid 22.04%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 외에 free sterol, esterified sterol, diglyceride, monoglyceride 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4. 당지질 중에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38.19%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esterified steryl glycoside, steryl gly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등의 지질 성분이 비슷한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5.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 36.46%, phosphatidyl inositol 21.52%, phosphatidyl ethanolamine 17.29%가 주성분이었고 lyso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serine과 1가지 미확인 인지질 성분이 존재하였다. 6. 전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36.83%, linolenic acid 19.65%, oleic acid 11.25, palmitic acid 9.61%였고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5.36%, linolenic acid 19.40%, oleic acid 12.47%, palmitic acid 9.81%였다. 당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26%, linolenic acid 18.67%, palmitic acid 12.20%, oleic acid 11.39%였다. 인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53.86%, palmitic acid 27.83%, linolenic acid 9.51%, stearic acid 5.00%로 전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 pattern과는 차이가 있었다.

  • PDF

마늘의 지방질(脂肪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에 관한 연구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innaeus))

  • 양규열;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8-393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재배 수확한 6쪽 및 여러쪽 마늘을 클로로포름-메탄올-물(1.0 : 2.0 : 0.8)의 용매로 추출한 지방질의 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료 마늘중의 총지방질의 함량은 신선물 100g 중 $310{\sim}342mg$였으며, 이중 중성지질은 $36.4{\sim}43.5%$, 당지질은 $20.3{\sim}24.3%$, 인지질은 $36.2{\sim}39.3%$이였다. 2. 중성지질중에는 TG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중성지질의 $80.5{\sim}83.6%$), 그 외에 SE, FS, FFA와 잠정적으로 동정한 1,3-DGA, 1,2-DGA, C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3. 당지질중에는 ESG와 SG가 전체 당지질의 70%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DGDG, MGDG, CB, SL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C와 PS 및 PE가 전체 인지질의 85%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PI, P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5. 총지방질 및 각 지방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다같이 리놀레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렌산이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은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보다 리놀레산의 함량이 적고, 중성지질 획분보다 팔미트산의 함량이 많으며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은 당지질 획분보다 리놀렌산의 함량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