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bral perfusion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9초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Deconvolution perfusion CT의 유용성 : Diffusion MRI와 비교 (The Usefulness of Deconvolution Perfusion CT in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 Comparison with Diffusion MRI)

  • 은성종;김영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3호
    • /
    • pp.25-31
    • /
    • 2003
  • 급성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서 Deconvolution 관류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의 뇌혈류용적(cerebral blood volume, CBV), 뇌혈류(cerebral blood flow, CBF) 그리고 평균 조영제 통과 시간(mean transit time, MTT) 지도를 확산 강조(Diffusion weighted) MRI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관류 CT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MRI)을 시행한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Deconvolution 기법으로 획득한 CBV, CBF, MTT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과 DWMRI의 병변의 면적을 비교 측정하여 일치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병변 부위와 정상측 대칭부위의 MTT시간을 측정하여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모든 예에서 CBV, CBF, 그리고 MTT 세 지도 모두 관류 결손을 인지할 수 있었고, 관류 결손이 인지되는 부위에서 MTT 시간의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MTT 지도의 결손부위 면적은 DWMRI 보다 크게 나타나 허혈성 패넘브라를 추측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econvolution 관류 CT의 지도를 이용하면 뇌경색의 조기진단뿐만 아니라 허혈 중심부, 그리고 허혈성 페넘브라를 예측할 수 있어 DWMRI에 비해 관류결손 부위의 혈류 역학적 상태의 평가나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보다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진행성 핵상 마비에서의 국소 뇌혈류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 이원용;이경한;이기형;윤병우;이명철;이상복;전범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5
    • /
    • 1996
  •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is a parkinson-plus syndrome characterized clinically by supranuclear ephthalmoplegia, pseudobulbar palsy, axial rigidity, bradykinesia, postural instability and dementia. Presence of dementia and lack of cortical histopathology suggest the derangement of cortical function by pathological changes in subcortical structures in PSP, which is supported by the pattern of behavioral changes and measurement of brain metabolism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pecific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PSP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motor abnormality and degree of changes in cerebral perfusion. We measure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dices in 5 cortical and 2 subcortical areas in 6 patients with a clinical diagnosis of PSP and 6 healthy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using $^{99m}Tc$-HMPAO SPECT. Compared with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only superior frontal regional perfusion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SP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the motor abnormality and any of the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dices (p>0.05). We affirm the previous reports that perfusion in superior frontal cortex is decreased in PSP. Based on our results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motor abnormality and cerebral perfusion in the superior frontal cortex, nonmotoric symptoms including dementia needs to be looked at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perfusion abnormality in superior frontal cortex.

  • PDF

비침습적 대뇌관류 장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Non-Invasive Cerebral Perfusion Platform)

  • 이진;권성태;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08
    • /
    • 2016
  • 전 인구의 노령화와 더불어 그 중요성이 커지는 질환 중 하나인 뇌졸중의 원인의 80%정도가 대뇌관류, 즉 뇌로 흐르는 혈류량이 줄어드는 것을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뇌졸중의 가장 대표적인 예방법과 치료법중 하나가 대뇌관류를 증강하는 것 이다. 하지만 기존의 대뇌 관류 증강 방식이 주로 침습적인 방법으로 행해져 왔기 때문에, 환자에게 부담을 주고, 다수의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침습적 대뇌 관류 증강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비침습적으로 대뇌관류를 증강 시키는 장치를 제안한다.

  • PDF

급성 뇌경색 진단을 위한 CT관류영상과 MR확산영상의 비교 (The functional imaging to Diagnose Acute Cerebral infarction Comparing between CT Perfusion and MR Diffusion Imaging)

  • 김선희;은성종;임채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9-26
    • /
    • 2012
  • 급성 뇌졸중의 경우 빠른 시간 내의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관류CT와 확산강조MRI의 영상을 비교하여 허혈 부위와 경색부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관류 CT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MRI)을 시행한 12명의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각각의 CBF, CBV, MTT, TTP지도와 DW-MRI의 신호강도 값을 비교하고, 관류CT와 DW-MRI에서 병변의 크기 비교를 해보았다. CBF, CBV, MTT, TTP는 모두 관류결손을 보였고, 관류 결손이 인지되는 부위에서 MTT와 TTP시간의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MTT와 TTP 지도의 결손부위 면적은 DW-MRI 보다 크게 나타나 허혈성 반음영을 추측할 수 있었고, 일부 DW-MRI에서 경색부위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류 CT의 지도를 이용하면 뇌경색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허혈 중심부, 그리고 허혈성 반음영을 예측하여 관류결손 부위의 혈류 역학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관류 강조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소아 모야모야 환아의 뇌 혈역학 분석 (Cerebral Hemodynamic Analysis in Pediatric Moyamoya Patients using Perfusion Weighted MRI)

  • 장원석;김태곤;이승구;최중언;김동석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3호
    • /
    • pp.207-212
    • /
    • 2005
  • Objective: Classically, single photon emission tomography is known to be the reference standard for evaluating the hemodynamic status of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Recently, T2-weighted perfusion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estimating cerebral hemodynamics in moyamoya disease. We aim to assess the utility of perfusion-weighted MR imaging for evaluating hemodynamic status of moyamoya disease. Methods: The subjects were fourteen moyamoya patients(mean age: 7.21 yrs) who were admitted at our hospital between Sep. 2001 to Sep 2003. Four normal children were used for control group. Perfusion MR imaging was performed before any treatment by using a T2-weighted contrast material-enhanced technique. Relative cerebral blood volume(rCBV) and time to peak enhancement(TTP) maps were calculated. Relative ratios of rCBV and TTP in the anterior cerebral artery(ACA), middle cerebral artery(MCA) and basal ganglia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PCA) in each cerebral hemispheres. Using this data, we analysed the hemodynamic aspect of pediatric moyamoya disease patients in regarding to the age, Suzuki stage, signal change in FLAIR MR imaging, and hemispheres inducing symptoms. Results: The mean rCBV ratio of ACA, MCA did not differ between normal children and moyamoya patients. However the significant TTP delay was observed at ACA, MCA territories (mean = 2.3071 sec, 1.2089 see, respectively, p < 0.0001). As the Suzuki stage of patients is advanced, rCBV ratio is decreased and TTP differences increased. Conclusion: Perfusion MR can be applied for evaluating preoperative cerebral hemodynamic status of moyamoya patients. Furthermore, perfusion MR imaging can be used for determine which hemisphere should be treated, first.

역행성 뇌혈 관류를 이용한 상행대동맥류 수술 -4례 보고-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Ascending Aortic Aneurysm -Report of 4 Cases-)

  • 문승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8호
    • /
    • pp.788-791
    • /
    • 1995
  • Dissecting aortic aneurysm of ascending aorta is a life threatening condition which requires prompt surgical correction. With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and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via superior vena cava, we could replaced ascending aorta in 4 cases safely. All of 4 cases; femoral artery, right auricle were used as cannulation site. The duration of circulatory arrest were 28, 30, 45, 60 minute in each cases and rectal temperature was 2$0^{\circ}C$ at that time. At the time of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we maintained central venous pressure under 25mmHg. We resected all of dissecting portion and replaced it with Hemashield graft. There were no deaths but two of four reoperated because of bleeding.

  • PDF

비침습적 대뇌관류 장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Non-Invasive Cerebral Perfusion Platform)

  • 권성태;이진;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016-1026
    • /
    • 2017
  • 전 인구의 노령화와 더불어 그 위험성이 커지는 질환 중 하나인 뇌졸중은 원인의 80%정도가 대뇌관류, 즉 뇌로 흐르는 혈류량이 줄어드는 문제로 발생한다. 이러한 뇌졸중의 가장 대표적인 예방법과 치료법중 하나가 대뇌관류를 증강하는 것 이다. 하지만 기존의 대뇌 관류 증강 방식이 주로 침습적인 방법으로 행해져 왔기 때문에, 환자에게 부담을 주고, 다수의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침습적 대뇌 관류 증강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비침습적으로 대뇌관류를 증강 시키는 장치를 제안한다. 비침습적 대뇌 관류 증강장치는 환자의 사지에 압박패드를 장착한 후 각 사지의 혈압을 정확히 측정한 후, 측정된 혈압을 바탕으로 사지압박을 실시하여 대뇌관류증강을 이룬다. 이는 기존의 침습적 대뇌 관류 증강 방법과는 비교해 대뇌관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조금 부족할 수 있지만 환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대뇌혈류량을 의미 있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심방-역행성 뇌관류 하에 원위 대동맥궁 및 하행대동맥 박리증의 수술 (Repair of Distal Aortic Arch and Descending Aorta Dissection under Right Atrium-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 최종범;양현웅;박권재;임영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0호
    • /
    • pp.740-744
    • /
    • 2002
  • 초저체온 하에 체외순환정지와 역행성 뇌관류는 대동맥궁 병변의 수술에서 뇌손상을 피하기 위해서 흔히 이용되는 수술과정이다. 좌측 개흉으로 원위 대동맥궁과 하행대동맥 병변을 수술할 때 역행성 뇌관류를 상대정맥으로 시행하기 어려울 경우 대퇴정맥에서 우심방으로 넣은 정맥 캐뉼라를 통해 전신정맥 관류를 시행하여 역행성 뇌관류(우심방-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하는 것이 더 쉬운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역행성 뇌관류 방법의 안전한 시간은 명확하지 않다. 저자들은 94분의 우심방-역행성 뇌관류 하에 대동맥궁 하행대동맥 병변을 수술하여 신경학적 이상 없이 환자를 회복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에서 초저체온의 순환정지 상태에서 90분 이상의 우심방-역행성 뇌관류로 뇌의 허혈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천측두동맥-중대뇌동맥 문합술 후 발생한 일과성 신경학적 악화에서 뇌관류 SPECT를 이용한 과관류 평가 (Assessment of Hyperperfusion by Brain Perfusion SPECT in Transient Neurological Deterioration after Superficial Temporal Artery-Middle Cerebral Artery Anastomosis Surgery)

  • 이정원;김유경;이상미;어재선;오창완;이원우;팽진철;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4호
    • /
    • pp.267-274
    • /
    • 2008
  • 목적: 일과성 신경학적 악화(transient neurological deterioration, TND)는 재관류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수술 직후 발생하는 일과성 과관류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TND 발생에 따른 수술 전후 뇌관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시행된 60건의 천측두동맥-중대뇌동맥 문합술을 받은 환자 56명(남:여=29:27, 평균연령: $50{\pm}16$세, 죽상경화성혈관 질환: 33건, 모야모야병 2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전과 술후 10일에 $^{99m}Tc$-ECD 기저/아세타졸아미드 부하 뇌관류 SPECT를 시행하여 기저 뇌관류와 뇌혈류예비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술후 3일과 10일에 뇌관류 SPECT를 시행하여 기저 뇌관류를 측정하였다. 각 뇌관류 SPECT에서 나온 결과를 SPM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0건의 STA-MCA 우회술 중 6건(10%)에서 술후 TND가 발생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수술 전 병측 부위 중간대뇌동맥영역의 뇌관류가 반대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2), 술후 3일과 10일의 기저뇌관류는 수술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p=0.02). TND가 발생환 환자가 나머지 환자에 비해 수술 전기저뇌관류와 뇌혈류예비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p=0.01, p=0.05), 기저뇌관류의 증가율도 술후 3일에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8). 그러나, 술후 3일과 10일에 TND 환자와 나머지 환자간에 뇌관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n.s.). 반대측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병측 부위의 뇌관류량의 비율을 구한 상대적 관류량은 TND 환자가 나머지 환자에 비해 술후 3일에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2), 술 전과 술후 10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n.s.). 결론: 이 연구에서는 TND 발생군에서 비발생군에 비해 술후 상대적인 중등도의 과관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ND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뇌허혈기동안 경동맥으로 냉각 생리식염수 주입이 허혈후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carotid Cold Saline Infusion during Cerebral Ischemia on Brain Edema in the Rabbit)

  • 김세연;최규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260-268
    • /
    • 1995
  • 건전한 뇌의 수분 함량은 뇌혈류장벽의 투과성, 혈관내 정수압, 혈장의 삼투압 Na-K-APTase pump의 기능에 의해서 결정된다. 뇌허혈에 의해 이러한 기전이 파괴되면 세포 사이의 정상적인 수분이동이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뇌허혈이 생길 수 있는 수술의 경우에 분리 뇌관류를 하면 뇌허혈시 발생하는 독성 대사물을 발생을 억제하고 뇌혈류의 분포를 개선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을 줄이고 뇌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토끼에서 분리 뇌관류 모델을 만들어 허혈 유도 후 관류군과 비관류군의 대뇌피질과 해면구의 비중을 정상 토끼와 비교하였다. 뇌허혈에 의해 관류군과 비관류군의 뇌비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뇌부종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었고, 비관류군이 판류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여 뇌부종이 더욱 현저하였던 것으로 보아 냉각 식염수로 뇌관류한 것이 뇌부종의 발생을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