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als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5초

고초균을 이용한 볶은 콩과 곡류 혼합 발효물의 물성 및 기능성 평가 (Evaluation of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oasted Soybean Flour and Mixed Cereals Fermented by Bacillus sp.)

  • 손세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50-4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콩 비린내가 감소되고 고소한 풍미가 증진된 볶은 콩에 다양한 볶은 곡류 분말을 혼합하여 Bacillus subtilis HA 고초균을 이용한 고체발효를 행하였다. 발효 원료의 수분함량 및 발효 시간에 따른 결과 볶은 콩 분말 대비 수분 1배 첨가된 초기 수분함량 52.6%에서 24시간 발효 후에 protease 활성이 42.6 unit/g으로 높았으며, 점질물 함량 역시 10.60%로 높았다. 발효 48시간째 tyrosine 함량과 protease 활성이 24시간째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발효취가 강하게 생성되어 발효 24시간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 분말(보리, 현미) 종류에 따른 발효조건 최적화를 위해 실시한 결과 현미 첨가 시 점질물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특히 80% 첨가 시 24.55%로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향상되었고, 보리는 60% 첨가 시 혈전용해효소 활성이 11.8 unit/g으로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혈전용해효소 활성이 가장 우수했던 볶은 콩 대비 보리 60% 첨가 발효물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 4가지를 접종하여 혈전용해효소 활성 및 비타민 $K_2$ 함량을 각각 알아 본 결과 B. subtilis HA가 11.8 unit/g, 2.36 ${\mu}g/g$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곡류 및 두류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발암 억제 효과 비교 (Inhibitory Effect of Various Cereal and Bean Extracts on Carcinogenicity in vitro)

  • 최영희;강미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64-969
    • /
    • 1998
  • 곡류 및 두류에탄올 추출물의 발암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10종의 곡류를 선정해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다음 항변이활성, 항산화활성, DNA 손상 억제효과 및 발암 promotion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E. coli PQ 37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에 의해서 항변이활성을 검색한 결과 화곡류에 비해 두류의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검정콩과 팥의 항변이활성이 높았다. 변이원 물질로 사용되는 mitomycin C는 DNA의 strand scission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DNA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의 처리를 통하여 쌀겨 및 곡류 추출물이 DNA의 손상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곡류중 조와 율무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DNA 손상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두류중에는 검정콩과 흰콩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한 DNA 손상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곡류 및 두류 에탄올추출물의 DNA 손상억제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이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 model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DNA 손상억제효과와 유사하게 두류의 항산화 효과가 컸으며 율무>검정콩>조>흰콩>보리>현미의 순이였다. Epstein-Barr Virus (EBV)활성화 시험법을 적용하여 곡류 및 두류 에탄올추출물의 발암 promotion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수수와 메밀의 발암 promotion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고 두류 중 검정콩과 팥에 있어서 강한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 PDF

한국 노인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 (Correlation of Korean Elderly Dental Health Capacity and Preferred Foods)

  • 주온주;김인자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12-720
    • /
    • 2015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국가통계자료인 2010년과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채소류, 과일류, 기타식품의 선호도가 높은 사람은 T-health 지수와 FS-T 지수가 높았고, ST와 PT도 많은 반면, 채소류, 과일류, 기타식품의 선호도가 낮은 사람은 MT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alth 지수는 곡류, 과일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하였고, ST는 곡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FS-T 지수는 과일류, 유지 및 당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하였으며, PT 및 MT는 곡류, 과일류,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식품의 선호도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에 따라 선호식품에 차이가 있으며, 노인들의 치아건강상태가 영양불균형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인들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에서 치아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생애에 걸쳐 구강건강관리 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 성인 남녀에서 시리얼 섭취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평가 : 2013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ereal intake status and nutritional status of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 2016)

  • 배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6호
    • /
    • pp.515-5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시리얼 판매 회사의 홈페이지 내 영양정보를 사용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24종의 시리얼에 함유된 영양성분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2013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식품섭취빈도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하여 우리나라 19 ~ 64세 성인 12,199명 (남자 5,127명, 여자 7,072명)에서 시리얼의 섭취 빈도, 1회 평균 섭취량을 파악 후 시리얼 섭취 여부에 따른 기본 특성 비교, 영양소 섭취 상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리얼 24종에서 시리얼 30 g의 평균 열량 함유량은 118.29 kcal였으며, 시리얼 30 g과 흰우유 200 mL를 함께 섭취할 경우 30 ~ 49세 남성은 열량 필요추정량 대비 10.35%, 30 ~ 49세 여성은 13.07%를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20.4%가 1달에 1회 이상 시리얼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1회 섭취량은 $1{\frac{1}{2}}$대접이 54.6%로 대부분의 대상자가 1회 평균 1대접 이상의 시리얼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시리얼 섭취 여부에 따른 기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시리얼을 섭취하는 군에서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인 비만 비율이 비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아침식사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영양의 질적 지수가 1 이상인 영양소의 개수가 더 많은 결과를 보여, 우리나라 성인에서 시리얼의 섭취와 영양섭취 상태와의 관계에 대한 의미있는 기초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도 시리얼의 섭취가 영양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함께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isk Assesment of Aflatoxin B1 in Cereals

  • Lee, H.M.;Yoon, E.K.;Choi, S.N.;Han, J.Y.;Kim, H.M.;Kim, K.H.;Kim, P.Y.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0년도 춘계총회 및 학술대회
    • /
    • pp.93.3-94
    • /
    • 2000
  • PDF

섬유소가 풍부한 곡분으로 만든 머핀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Made with Various Cereal Powders in Dietary Fiber)

  • 김현아;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8-8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cereals rich in dietary fiber by substituting brown rice, barley, oat and goami powder for flour in making muffins. All cereals powder was prepared by grinding for 15 min. The appropriate water quantity for cereal powders muffins was set at 105 mL. The volume index of the flour muffins was 132 mL, while that of cereal powders muffins was 117 mL for broun rice muffins, 118 mL for barley muffins, 132 mL for oat muffins and 119 mL for respectively for goami powder muffins. The hardness of the flour muffins, measured by a texture analyzer, was $2.03{\times}10^3\;g/cm^2$, and the other powder muffins were $3.27{\times}10^3\;g/cm^2$ for broun rice muffins, $3.33{\times}10^3\;g/cm^2$ for barley muffins, $2.38{\times}10^3\;g/cm^2$ for oat muffins, and $2.33{\times}10^3\;g/cm^2$ for goami powder muffins respectively. The L-values and moisture contents of goami powder muffi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uffin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oat powder muffins.

주요곡물의 에너지 함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in Cereal)

  • 김은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호
    • /
    • pp.50-58
    • /
    • 199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d the metabolizable energy of cereal by the different method. Raw or cooked cereal foods were freeze-dried and fed to Sprague Dawley rat with 200-300g body weight to measur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AME) values and nitrogen-corrected AME(AMEn) values for four days after three days of preliminary period for adaptation to the diets. The AME values of Karaeddok, raw rice, cooked rice, raw brown rice, raw glutinous rice, cooked glutinous rice, raw barley and cooked barley applerared 4516.1, 3380.6, 4072.2, 3457.0, 4448.0, 2929.4 and 3780.2kcal/kg dry matter, respectively. The AMEn values of karaeddok, raw rice, cooked rice, raw brown rice, cooked brown rice, raw glutinous rice, cooked glutinous rice, raw barley and cooked barley appeared 4421.5, 3349.6, 4160.0, 3918.7, 4039.3, 3572.0, 4552.5, 3009.9 and 3873.4kcal/kg dry matter, respectively. A slight difference was observed when the AME values of the cereals measured in present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energy values calculated by various conversion parameters such as Atwater's, Rubner's, Sochun's adn FAO's, indicating that the latter energy values by all conversion factors are acceptabel for several cereals.

  • PDF

노티의 재료에 따른 이화학적, 관능적 및 기계적 특성 연구 -제 1보 : 찹쌀 노티의 이화학적, 관능적 및 기계적 특성 연구- (Effect of Cereal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Noti -I.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rice Noti -)

  • 임희정;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0-73
    • /
    • 199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ereal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Noti. Noti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pan-fried glutinous cereal cakes. Noti made from the steamed glutinous rice flour, glutinous Chinese millet flour, glutinous millet flour or glutinous Indian millet flour is saccharified with malt, and then pan-fried. Noti also has sweet taste without sugar added. In addition, Noti has elastic characteristic, high calorie and good flavor. Long storage makes it better taste. In this case, Noti was made from the steamed glutinous rice flour. By the sensory evaluation, color, flavor and moistness were unfavorable according to the storage. Consistency was not strongly increased when comparing with the common rice cake depending upon the storage. The texture tended to increase by storage period. Optimum conditions of the safe storag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o add 15% malt and keep 6hr saccharification time at 60$^{\circ}C$.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for 90 days, reducing sugar content was similar, moisture content was low and maintained, and the acid value was not increased abruptly. The hardness was not increased rapidly and fungal growth was considerably low. Cohesiveness and elasticity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