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amic-epoxy composit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9초

압전 복합재료 작동기 LIPCA와 단일 PZT의 보 진동 제어 성능 비교 (Actuation Performance of LIPCA and bare PZT at Active Vibration Control of a Cantilever Beam)

  • 아리프 수하리요노;구남서;박훈철;이영재;윤광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0-6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한 압전 복합재료 작동기인 LIPCA가 동적 구조물의 작동기로 적용 가능한지를 평가하였다. 압전 세라믹 층, 탄소/에폭시 층 및 유리/에폭시 층으로 이루어진 LIPCA 작동기는 단일 PZT에 비하여 성능 및 내구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정적 작동력 실험과 진동 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루미늄 보의 한 쪽 면에 LIPCA와 단일 PZT를 각각 보에 부착하고 반대쪽 면에는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먼저 정적 작동력 실험에서는 작동 전압에 따른 변형률 신호를 등가 작동 모멘트로 환산하여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성능을 평가하였다. 진동 제어 실험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 신호를 PID 제어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보의 자유 진동을 억제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였다. 진동 신호가 감쇠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안정화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LIPCA가 정적 작동 뿐 아니라 자유 진동 제어에서도 단일 PZT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운모상에 인산아연이 도포된 방청안료의 제조 및 성능평가 (Prepa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Zinc Phosphate-Coated Mica Anticorrrosive Pigment)

  • 이유진;박성수;홍성수;이승호;김대성;이근대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57-263
    • /
    • 2013
  • 인산아연이 도포된 운모 안료(ZP/mica)를 인산, 질산아연 그리고 운모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한 후, 방청안료로 사용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X-선 회절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안료의 형상과 결정구조를 관찰하였다. 제조된 안료와 에폭시수지를 배합하여 도막을 형성시킨 다음 전기화학적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안료의 방청성을 평가하였다. $70^{\circ}C$에서 합성된 ZP/mica 안료의 방청성이 $20^{\circ}C$에서 제조된 안료보다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0^{\circ}C$에서 합성된 ZP/mica 안료표면에는 $Zn_3(PO_4)_2{\cdot}2H_2O$ 이외에도 ZnO가 동시에 생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합성된 ZP/mica 안료의 우수한 방청성은 운모표면의 아연화합물에 의한 전기화학적 방청기구와 판상구조의 운모에 의한 장벽 방청기구의 상승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압전 배열 트랜스듀서의 진동 요소간 kerf 충진 매질에 따른 특성변화의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Change by Kerf-Fill Material between Arrayed Elements of a Piezoelectric Transducer)

  • 김정순;김무준;하강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15-220
    • /
    • 2008
  • 의료용 초음파 프로브나 압전복합재료 트랜스듀서 등에 있어서는 배열된 압전세라믹 요소간의 공간, 즉 kerf에 주로 폴리머계열의 물질을 충진하고 있다. 이 경우 압전 요소의 횡방향 진동모드의 경계조건이 바뀌어 실제 사용되는 종방향 진동모드의 공진 주파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kerf충진 매질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크기가 $14mm{\times}0.22mm{\times}0.44mm$인 PZT 압전요소의 선형배열에 의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제작하고, kerf충진 매질이 없는 경우와 특성이 다른 두 종류의 에폭시로 충진한 경우 각각에 대한 측정을 행하였다. 그 결과 kerf충진 매질에 따른 종방향 공진주파수의 천이 경향이 이론해석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도재 수리 시스템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Porcelain Repair Systems)

  • 우수;신수연;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2권3호
    • /
    • pp.211-220
    • /
    • 2006
  • Need of porcelain-repair system is largely demanding as dental porcelain restorations are increased in clinical dentistry. This study investigated shear bond strength of commercial porcelain-repair systems on dental porcelain and their reliability. Experimental groups were as follows; Group A Super Bond C&B, Group B Porcelain repair kit, Group C Ceramic repair, and Group D Spectrum system as a control. Porcelain disks were fired and embedded in epoxy resin. Porcelain surface were ground using 220 grit SiC disk, then cleaned in ultrasonic bath. Then porcelain specimens were treated with each repair system. A clear polystyrene cylinder 3.5 mm in internal diameter was filled with composite resin. Then the resin cylinder was polymerized with a visible light curing unit. Thirty one specimens at each group were prepared and stored at $37^{\circ}C$ distilled water for 48 h. Specimens were tested in an Instron testing machine according to ISO TR 11405. Mean shear bond strength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group was $15.7{\pm}4.1MPa$ (Group A), $12.8{\pm}4.9MPa$ (Group B), $7.2{\pm}3.0MPa$ (Group C) and $9.6{\pm}2.2MPa$ (Group D). ANOVA and Tukey HSD post-hoc tes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0.05). Data of bond strength were analyzed with two-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Confidence interval of Weibull modulus (m-parameter) at 95% of Group A (3.5-6.3) and Group D (3.6-6.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2.2-3.7) and Group C (2.0-3.4). There w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mean shear bond strength and Weibull modulus. Results indicated that acid-etching of porcelain surface increased porcelain-resin shear bonding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