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amic artificial reef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 인접 어장에서의 어획량과 어획종 변동 (Variations of Catch and Fish Species in the Adjacent Fishing Ground of Ceramic Artificial Reefs Constructed o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박성욱;김대권;이정우;안희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295-303
    • /
    • 2004
  • 한국 거문도 연안에서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621.9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333.3%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보다 97%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시설구의 어획률은 11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연초구, 비시설구에서도 나타났다.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동,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동해안 사질지반에 시설된 인공어초 3종의 매몰 특성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Three Type of Artificial Reefs on Sandy Bottom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김대권;김완기;손용수;윤장택;공용근;김영대;이지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359-364
    • /
    • 2008
  • Using multi beam echo sounder, side scan sonar and scuba diving equipment, ceramic type, uneven type and semicircle-ramus type reefs into sandy bottom were ascertained, the depth of submersion in 7.2-10.3m on the coast of Gangneung, East of Korea, forty uneven type artificial reefs(AR) were totally buried into the sandy bottom. Two of five semicircle-ramus type ARs had only of their top area exposed. For most of the 45 ceramic reefs, only the upper 25-150cm of ARs were visible. The burial pattern is different in west and east side of the reefs, where the east side is deeply buried compared to the west side. From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sufficient analysis of bottom structure and materials especially in the sandy sea area should be undertaken in order to determine the best type of artificial reefs to be deployed and the best location for depoloyment.

한국 거문도연안 세라믹어초어장에서의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성능 (Catching Efficiency of Gill Net and Trammel Net for Ceramic Artificial Reefs Fishing Ground i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박성욱;김대권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3호
    • /
    • pp.182-188
    • /
    • 2004
  • 홑자망과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 남해안의 거문도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어장에서 어구 성능시험과 수중 비디오 카메라로 어군 위집상을 조사로 하였다. 흩자망에 의한 폭당 어획량은 삼중자망에 비해 49.2% 많았으나, 어종수는 34.5% 적었는데, 이를 ANOVA로 분석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어구별 우점종은 홑자망에서 참돔 1종, 삼중자망에서 참돔, 말쥐치, 홍어 등 3종이었으며, 홑자망에의해 어획된 참돔의 체장범위와 평균체장은 삼중자망에 어획된 참돔보다 다소 적게 나타났다. 홑자망에 의한 어획성능이 삼중자망보다 높았던 원인은 홑자망에 어획되기 쉬운 어종이 군을 형성하고 있었고, 개체의 크기도 홑자망에 적합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