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metric radiograph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기도 공간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with nasal obstruction)

  • 정호림;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2-203
    • /
    • 2007
  • 본 연구는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에서, 기도 공간의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며, 비폐쇄 소견을 보여 이비인후과로 의뢰된 환아 100명의 초진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에서 상 인두기도 공간(upper PAS), 하 인두기도 공간(lower PAS), 편도의 크기, 구개-혀 공간을 측정하여 기도 공간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통상적인 계측점을 사용하여 안면 골격 분석을 시행하여 기도 공간 형태 계측항목과 안면 골격분성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Upper PAS는 ramal height, SNA, SNB, PFH, FHR, facial plane angle 항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의 sum, SN-GoGn, Y-axis to SN, FMA 항목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Lower PAS는 genial angle, FM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rticular angle, facial depth, PFH, FHR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편도의 크기는 PCBL, ramal height, Mn. body length, Mn. body length to ACBL, facial depth, facial length, PFH, 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개-혀 공간은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enial angle의 합, facial length, AFH, FMA, L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MPA, overbite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누난 증후군 환자의 구강 내 특징 : 증례 보고 (Oral Features in a Child with Noonan Syndrome : A Case Report)

  • 황인경;이연주;심도희;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5-122
    • /
    • 2018
  • 누난 증후군은 특이한 얼굴 모습, 작은 키, 선천적 심장질환을 보이는 유전 질환으로 성별에 관계없이 신생아 1000 - 2500명 당 1명의 유병률을 보인다. 누난 증후군으로 진단된 11세 소년이 상악 우측 견치의 위치이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그는 선천적 폐동맥 협착증을 진단받았으며, 성장발달 지연을 보였다. 지혈에는 문제가 없었으며, 얼굴은 누난 증후군의 특징적 모습을 보였다. 구강검사 시 치성 2급 부정교합, 전방돌출 된 전치, 얕은 피개교합을 보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상악 우측 견치의 위치이상 및 맹출 경로의 이상으로 상악 우측 측절치의 치근 흡수가 관찰되었다.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상 상하악의 골격적 패턴은 정상범주에 있었다. 가철성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매복치를 견인했다. 본 증례의 누난 증후군 증상 및 구강 내 이상 소견은 심하지 않으나 유병률에 비해 많이 다루어지지 않아 본 증례발표를 통해 누난 증후군 환자의 구강 내 특징 및 치과적 관리 방법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였다.

소아청소년기 정상 교합 아동에서 경추골 및 수완부골 성숙도에 대한 하악골 성장의 연관성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OF CVM, SMI AND MANDIBULAR LENGTH WITH NORMAL OCCLUSION IN GROWING CHILDREN)

  • 김수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7-365
    • /
    • 2012
  • 교정치료에는 치아를 움직이는 치열교정치료와 골격적인 이동을 도모하는 악정형 치료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아동에서 특히 악정형 치료를 위해서는 골 성숙도와 성장 잠재력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6~13세 정상 교합 아동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과 수완부골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발달 단계를 평가하고 하악골 성장량을 비교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SMI와 CVM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5). 수완부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이 증가하였고, 경추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이 증가하였다. 또한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은 경추 및 수완부골 성숙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하악골 성장은 경추 및 수완부골 성숙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치아 이상을 동반하는 전반적인 Short Root Anomaly (SRA) : 5년간의 추적 관찰 (Generalized Short Root Anomaly with Various Dental Anomalies : A Case Report with a 5 - Year Follow - up)

  • 유다열;김동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22-128
    • /
    • 2021
  • Short root anomaly는 비정상적으로 짧고 뭉툭한 치근 형태를 가진 드문 질환이다. 대부분 상악 중절치에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영구치에서만 관찰되어 왔다. 이 증례는 9세 여환으로 혼합치열기에 짧은 치근 발달을 주소로 개인병원에서 의뢰되었다. 방사선 사진 및 구강 내 검사에서 법랑질 저형성증과 치내치와 같은 다른 치아이상과 함께 상악 및 하악 전치부와 하악 제 1대구치에서 SRA가 관찰되었다. 5년동안의 장기추적 관찰을 통해 환아의 모든 치아들은 혼합치열기에서 영구치열기로 변화하였고 모든 영구치에서 전반적인 SRA가 관찰되었다. 교정적 진단을 위해 촬영된 측면 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치아 이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전방과 후방 상돌기 사이의 석회화인 sella turcica bridge 또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여러 요소들을 통하여 치근 흡수나 치아 상실의 예방과 성공적인 관리 위해 SRA를 조기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다른 치아이상과 sella turcica bridge와 함께 전악에 걸쳐 나타난 전반적인 SRA를 보이는 환아를 장기적으로 관찰하고 의미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교합고경의 인위적인 증가에 따른 저작계의 반응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CHANGES OF MASTICATORY SYSTEM SUBSEQUENT TO RANDOMLY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 김남중;이성복;최대균;박남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31-752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changes of masticatory system subsequent to randomly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The subjects were twenty seven persons, twenty two men and five women, with a mean age of 24.3(age ranged from 22 to 26). The subjects had a complete or almost complete set of natural teeth and reported no subjected symptoms of pain or dysfunction in the masticatory system. The occlusal splint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was made on semiadjustable articulator.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vertical dimension, at which the occlusal splint was made. Group I occlusal splints were made at 2mm form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group II occlusal splints at 5mm, group III occlusal splints at 8mm. The occlusal splints were almost weared for 2 weeks except meal-time. Clinical examination, muscle activity, changes of free-way space, movement of mandible and articular condyle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means of biopak system(Bioresearch Inc, Millwakee Wisconsin.) and radiograph. 1. In clinical examination, various symptoms were reported by all subjects immediately after the placement of occlusal splint. At the end of experiment, symptoms were lasted by 1 subject in Group I, 2 subjects in Group II, 6 subjects in Group III. At the other subjects, the most of symptoms were disappered within 2-4 days after the placement of occlusal splints. 2. The average free-way space before the startof experiment was 1.77mm in all twenty seven subjects. Immediately after the placement of occlusal splints, 0.67mm at Group I, 0.49mm at Group II, 0.41mm at Group III, At 2 weeks after the placement of occlusal splint 0.93mm, 0.79mm, 0.78mm each other, 1.94mm, 1.77mm, 2.3 mm at immediately after the removal of occlual splint. At 1 week after the removal of occlusal splint, free-way space was recovered to the pre-experimental state 3. In cephalometric radiograph, following either the placement or the removal of the occlusal splints, the movements of mandible in an antero-posterior dire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In transcranial radiograghs of TMJ, 1 week after the placement of occlusal splint the movement of most superior position on condyle in all group shoed antero-inferior position than before the experiment(p<0.001) and also showed antero-inferior position in mandibular postural rest position than in certric occlusion(p<0.001). Following either the placement or the removal of the splints, the amount of movement of most superior position on condyle was group III. group II and group I in order(p<0.001). 5. In anterior temporal and superficial masseter muscle, muscle activity at postural rest position decreased at 2 weeks after the placement of occlusal splint in group I and group II (p>0.05),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I(p<0.001). At 1 week after the removal of the occdusal splint, muscle activity at postural rest position was recovered preconditional state 6. In anterior temporal and superficail masseter muscle, muscle activity at clenching in all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lacement of the occlusal splint, slightly increas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and recovered to the original state at 1 week after removal of the occlusal splint.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t(p>0.05)s.

  • PDF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사용에 따른 atlas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atlas position with Class ll activator treatment in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s)

  • 조문기;차경석;정동화;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44-55
    • /
    • 2007
  • 본 연구는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사용 후, 하악골의 변화에 따른 atlas의 위치 및 형태 변화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치료 효과를 예측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군으로 II급 부정교합자로써 액티베이터 치료를 시행한 경우 1군(총30명, 남자 15, 여자 15명), 대조군들로 II급 부정교합자로 액티베이터 치료를 받지 않고, 교정치료를 받은 2군(총 22명, 남자 12, 여자 10)과 I급 부정교합자로 치료를 받은 환자 3군(총 22명, 남자 12, 여자 10)으로 총 세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치료 전(T1), 액티베이터 사용 중지 및 치료 중간시기(T2), 치료 종료(T3)시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서 골격 형태 계측 및 atlas 형태 계측을 시행하였다. II급 액티베이터 사용 결과 액티베이터를 사용하지 않은 II급 부정교합자 군에 비해 치료 종료 시 다음과 같은 계측치 들에서 골격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ramal height, body length와 effective body length는 증가하였고, ANB는 감소하였다. Overjet은 두 군 사이에서 액티베이터 사용 후 유의한 감소가 일어났으나, 치료 종료 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세 군 모두에서 FH에 대한 atlas의 시계방향 회전이 나타났으나, 실험군 1군에서 대조군 2, 3군에 비해 유의하게 atlas가 FH에 대해 시계방향 회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1군이 3군에 비해서 atlas의 유의한 후방이동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의 atlas의 전, 후방적 위치나, 형태의 크기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atlas의 장축의 시계방향 회전은 액티베이터의 사용 효과로 생각되며, 이는 차후 II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또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이 태평양판 쪽으로 밀려감으로써 섭입하던 태평양판의 각도가 급해져 동아시아 연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태평양판의 운동 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 51 Ma부터 한반도 동남부에는 지판 경계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의 인장력이 작동되어 B그룹 암맥군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Ledge는 세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4. 파일 binding 횟수는 MC군이 가장 적고 PT군이 가장 많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two 전동 파일을 crown-down technique으로 사용하는 것이 single length technique과 유사한 성형 효율을 보이면서도 더 안전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있으며 1명(3%)에서 RTOG grade 2의 만성 방광염을 보였다. 그러나 치료에 의해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한 결과 독성이 심하지 않고 국소제어율과 단기 생존율이 양호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기 생존율과 만성 합병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