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ized Monitor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7초

웹기반 화상 감시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Image Security System Based oil Web)

  • 조평기;박영석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49-52
    • /
    • 2000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n image security system based on Internet Web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existing systems that use the dedicated network. The developed system resolves the safety problem of the centralized control model by adapting the distributed control model based on Web, and has the functions of remote control and automatic monitoring for grouped multiple sites on Web browser. And the system can operate various computers or operating system because it's operating software was designed by the concepts of Java Virtual Machine and Virtual Instrument. Also, our system has not need of additional cost for network construction by using Internet and can greatly improve the managemental efficiency of system because the maintenance and publishing of software updates can be performed through Web Server.

  • PDF

SIP 프레즌스 모델 기반 센서 태그의 상태이력 추적 (Tracking and Tracing the Status Changes of Sensor Tags based on the SIP Presence Model)

  • 김동욱;홍진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3호
    • /
    • pp.231-242
    • /
    • 2009
  • RFID객체 이력추적기술은 EPCglobal에서 제안하는 Discovery Service를 중심으로 다수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객체의 상태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객체의 이력정보를 특정 서버에서 취합하여 관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객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델이 필요하며 RFID 객체의 URL을 나타낼 수 있는 식별자 역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SIP 이벤트 통지 및 프레즌스 모델을 활용하여 RFID 객체의 상태정보를 Track & Trace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URL을 얻기 위해서 기존 ONS를 그대로 활용하되 성능저하가 없도록 하여 backward-Compatibility를 충족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렇게 얻어진 URL을 이용하여 RFID 객체 혹은 객체의 상태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하여 객체관리를 위해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다. SIP 메시지 조합을 통해 객체의 이력정보를 얻을 때 DS와 같은 추가적 요소 없이도 객체의 Track을 Trace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 방식을 활용하여 지금까지와는 달리 분산취합구조를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상세이력정보 및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invasive alien plants in Jeju Island

  • Ryu, Tae-Bok;Kim, Mi-Jeoung;Lee, Chang-Woo;Kim, Deok-Ki;Choi, Dong-Hui;Lee, Hyohyemi;Jeong, Hye-Ran;Lee, Do-Hun;Kim, Nam-Yo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6호
    • /
    • pp.173-181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on Jeju Islan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ir management and control. Results: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t 436 locations on Jeju Island.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nine species of invasive alien species growing on Jeju Island.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Hypochaeris radicata L., Rumex acetosell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horizontally throughout Jeju Island, with vertical growth in two or more vegetation zones, from warm temperate to the subalpine zone. Widely distributed species penetrate various habitats, such as grasslands, ranches, roadsides, farmlands, and empty lots, and have an immensely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including declining biodiversity on Jeju Isl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Paspalum distichum L., Solanum carolinense L., and Aster pilosus Willd. were distributed in some areas as a biased distribution species, whereas Lactuca sca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only in certain areas as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Conclusions: The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and biased distribution species of th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of Jeju Island should be physically eliminated, keeping in mind the short- and mid-term perspectives and monitoring, and by considering expansion of additional distribution areas. Due to limitations of physical/chemical elimination, time, and cost, widely distributed species require to be eliminated and managed, mainly to restore the integrity of the ecosystem, by planting native species to reestablish the habitat.

Leveraging Proxy Mobile IPv6 with SDN

  • Raza, Syed M.;Kim, Dongsoo S.;Shin, DongRyeol;Choo, Hyunseu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8권3호
    • /
    • pp.460-475
    • /
    • 2016
  • The existing Proxy Mobile IPv6 suffers from a long handover latency which in turn causes significant packet loss that is unacceptable for seamless realtime services such as multimedia streaming. This paper proposes an OpenFlow-enabled proxy mobile IPv6 (OF-PMIPv6) in which the control of access gateways is centralized at an OpenFlow controller of a foreign network. The proposed OF-PMIPv6 separates the control path from the data path by performing the mobility control at the controller, whereas the data path remains direct between a mobile access gateway and a local mobility anchor in an IP tunnel form. A group of simple OpenFlow-enabled access gateways performs link-layer control and monitoring activities to support a comprehensive mobility of mobile nodes, and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through the standard OpenFlow protocol. The controller performs network-layer mobility control on behalf of mobile access gateways and communicates with the local mobility anchor in the Proxy Mobile IPv6 domain. Benefiting from the centralized view and information, the controller caches the authentica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reuses i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handover latency. An analytical analysis of the proposed OF-PMIPv6 reactive and proactive handover schemes shows 43% and 121% reduction in the handover latency, respectively, for highly utilized network.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 OF-PMIPv6 testbed suggest similar performance improvements.

애드혹 라우팅을 이용한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Remote Vital Sign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Ad-Hoc Routing)

  • ;이영동;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26-429
    • /
    • 2006
  • 노약자나 만성질환자를 위하여 가정에서 분산된 무선센서네트워크 노드를 사용하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본 시스템은 가장 중요한 건강 파라메터인 ECG와 체온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무선센서 노드를 사용하여 원격지의 병원서버 또는 의사의 PC, PDA에 연결된 베이스스테이션으로 Ad-hoc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또는 노인의 건강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구현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의료장비 비용을 절약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 노드는 무선센서네트워크의 강점인 Ad-hoc 통신이 가능하면서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병원의 한층 전체의 환자나 여러 환자가 거주하는 가정 또는 시설에서 하나의 PC(또는 서버컴퓨터)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서 베이스스테이션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환자의 생체 신호도 Ad-hoc 네트워크를 통해 베이스스테이션까지 전송이 가능하였으며, 이동성 제공 및 홈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SNMP 기반 네트워크관리를 위한 적응형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Adaptive Network Monitoring Strategy for SNMP-Based Network Management)

  • Cheon, Jin-young;Cheong, Jin-ha;Yoon, Wan-oh;Park, Sang-bang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2C호
    • /
    • pp.1265-1275
    • /
    • 2002
  •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서는 SNMP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방법과 모빌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분산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 매니저는 실시간으로 이를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SNMP에서는 매니저가 주기적으로 에이전트에 질의를 보낼 수 있어 주로 폴링을 사용한다. 그러나 폴링에서는 정보 전송을 위해서 매번 요구와 응답의 두 메시지 전송이 필요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한다. 본 논문은 SNMP 기반 네트워크 관리에서 기존의 폴링 방법과 비교하여 트래픽을 줄이면서 여러 에이전트를 충실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적응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각 에이전트가 정보의 시간적 변화량에 따라 최적의 에이전트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하고, 매니저는 이 주기들을 취합하여 모니터링에 의한 부하가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의 일정 부분 이하가 되도록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한다. 에이전트는 매니저로부터 받은 모니터링 주기에 따라 스스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존의 폴링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트래픽 부하로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그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모니터링의 충실도와 트래픽 면에서 일반적인 폴링방법과 비교하였다.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한 공간 분할 기법 (A Spatial Split Method for Processing of Region Monitoring Queries)

  • 정재우;정하림;김응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7-76
    • /
    • 2018
  • 본 논문은 영역 모니터링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에 대해서 다룬다. 기존의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해서 사용된 중앙 집중식 기법은 이동 객체가 서버에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업데이트를 전송하고, 서버가 질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많은 양의 위치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최근,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한 몇 가지 분산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분산 기법에서 서버는 각 이동 객체에게 I) 작업 공간의 서브 공간인 상주 도메인과 ii) 몇 개의 인접 질의 영역을 할당한다. 각 이동 객체는 상주 도메인을 벗어나거나 질의 영역의 경계를 가로지를 경우에만 서버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송한다. 상주 도메인 및 인접 질의 영역을 이동 객체에 할당하기 위해서 서버는 작업 공간을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반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질의 색인 구조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색인 구조는 불필요한 분할이 발생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불필요한 분할을 줄이기 위해서 적응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적응 분할 기법은 I) 질의 영역과 결과 서브 공간의 공간적 관계와 ii) 질의 영역의 분포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작업 공간을 분할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색인 구조인 QR-tree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분할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된 분할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했다.

자동문의 고장원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BLE 기반의 시스템 개선연구 (Improvement Research of BLE-based System for Monitoring the cause of Breakdown of Automatic Doors)

  • 김기두;원서연;김희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7호
    • /
    • pp.93-102
    • /
    • 2017
  • 최근 스마트폰 기기의 공급 확대로 저전력 블루투스(BLE)와 같은 무선통신과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의 접근성에 의해 근접한 데이터 정보를 손쉽게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oT)의 활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자동문 역시 2.5m~3m 높이에 설치된 제어부 동작 상태에 의한 고장유무와 원인을 파악하고 관리자에게 신속한 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개선으로서 BLE 기반의 연구가 가능하다. 현재 자동문 또한 원활한 관리환경을 위해 많은 진화를 추구하고 있는 현실이다. 제안한 시스템은 BLE 모듈를 추가 확장하여 기존 관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자동문의 정상상태 및 고장증상을 제어부를 통해서 일괄적으로 확인하는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구현으로 현장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종기기 간의 데이터 신뢰도를 평가와 기존 자동문의 제어부의 통신모듈의 확장 가능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며, 향후 자동문의 제어부가 다 채널로 구성될 경우의 중앙관리 감시체제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빌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조명 제어 관리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uilding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Light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 조성오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10-118
    • /
    • 2007
  • Technology has been viewed at various stages of civilization as leading to future progress. The building, its services systems and management of the work process all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people within an organization. Productivity relies on there being a general sense of high morale and satisfaction with the workplace. Now buildings are considered as providing a milieu for human creativity. Flexibility, adaptability, service integration and high standards of finishes offer an intelligence threshold. Building Automation System(BAS) - controlled lighting systems may offer incremental energy saving. Conventional Lighting control systems often control equipment in a single room or over the limited area, because they are centralized control systems, which means that all the controlled circuits must be wired to a single control panel. The computers used by these systems are typically dedicated microprocess that perform only lighting control functions. By comparison, modern Building automation systems are distributed control system, which means that their computing hardware and software are distributed as a network that microprocessor-based control modules and standard PC.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is extensible virtually without limits, so that all the lighting in a facility can be controlled by single, unified system - the same system that also can control and monitor the building's HVAC, security, and manufacturing processed, elevators, and more.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an control light using schedules, manual controls, occupancy sensors, and photosensors,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Building Light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will be for a energy saving and efficient building management system.

유무선 카운팅 연동형 AI 영상분석 비상문 개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I Image Analysis Emergency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linked Wired/Wireless Counting)

  • 강철수;홍지연;김봉현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
    • /
    • 2022
  • 위험상황 발생 시 비상구 역할을 하는 옥상은 소방법상 화재를 대비하여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옥상 문 개방 시 불법적인 출입, 범죄, 투신 등 각종 사건, 사고 발생의 장소가 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범죄 및 각종 사건, 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시설관리 측면에서 옥상 출입문을 폐쇄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옥상 출입문에 전자식 자동개폐장치 설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비상문 개폐장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무선 출입 카운팅 및 AI 영상분석을 연동하여 지능형 비상문 개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장치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이벤트 알람 중앙 집적 방식의 원격제어 및 이력관리 기능이 제공되는 무선통신 기반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