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venou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3초

Experiences of Emergency Surgical Treatment for a COVID-19 Patient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at a Regional Trauma Center: A Case Report

  • Yun, Jung-H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3호
    • /
    • pp.212-217
    • /
    • 2021
  • Various medical scenarios have arisen with the prolong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the increasing number of asymptomatic COVID-19 patients has prompted reports of emergency surgical experiences with these patients at regional trauma center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n example. A 25-year-old male was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after a traffic accident. The patient presented with stuporous mentality, and his vital signs were in the normal range. Lacerations were observed in the left eyebrow area and preauricular area, with hemotympanum in the right ear. Brain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contusional hemorrhage in the right frontal area and an epidural hematoma in the right temporal area with a compound, comminuted fracture and depressed skull bone. Surgical treatment was planned, and the patient was intubated to prepare for surgery. A blood transfusion was prepared, and a central venous catheter was secured. The initial COVID-19 test administered upon presentation to the emergency room had a positive result, and a confirmator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st was administered. The PCR test confirmed a positive result. Emergency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because the patient's consciousness gradually deteriorated. The risk of infection was high due to the open and unclean wounds in the skull and brain. We prepared and divided the COVID-19 surgical team, including the patient's transportation team, anesthesia team, and surgical preparation team, for successful surgery without any transmission or morbidity. The patient recovered consciousness after the operation, received close monitoring, and did not show any deterioration due to COVID-19.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 시에 이용되는 역행성 뇌관류의 시간에 따른 뇌대사 지표, 혈청 내 neuron-specific enolase, 및 S-100 베타단백의 변화 (The Changes of Cerebral Metabolic Parameters, Serum Levels of Neuron-Specific Enolase and S-100$\beta$ Protein During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Under Profound Hypothermic Total Circulatory Arrest)

  • 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653-661
    • /
    • 2001
  • 배경 : 역행성 뇌관류는 대동맥궁 수술에서 이용되는 뇌보호법중의 하나이다. 저자는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이미 발표한 바 있으나, 그 안전성 여부에 대하여는 아직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역행성 뇌관류 연구를 진행하면서, 조기 뇌손상을 시사한다고 알려진 여러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5~30kg 돼지를 이용하여 120분간 역행성 뇌관류를 시행하였다. 심폐기 이탈을 시행하고 2시간 동안 생존을 유도하였으며, 전기간에 걸쳐 직장체온, 내경정맥 산소포화도, 중심정맥압 등을 관찰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고, 혈중 neuron-specific enolose(NSE) 및 S100베타 단백치를 측정하였다. 역행성 뇌관류 시행 중 중심정맥압은 20~25mmHg를 유지하였다. 결과 : 역행성 뇌관류 속도 (ml/min)는 224.3$\pm$87.5(20분), 227.1$\pm$111.0(40분), 221.4$\pm$119.5(60분), 230.0$\pm$136.5(80분), 234.3$\pm$146.1(100분), 184.3$\pm$50.5(120분)으로 나타났으며 혈중 NSE 농도는 역행성 뇌관류 후에 관류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S100 베타 단백치(ng/ml)는 0.12$\pm$0.07(마취시작), 0.12$\pm$0.07(심폐바이패스직후), 0.19$\pm$0.12(심폐기가동 20분), 0.25$\pm$0.06(역행성뇌관류 20분), 0.29$\pm$0.08(40분), 0.41$\pm$0.05(60분), 0.49$\pm$0.03(80분), 0.51$\pm$0.10(100분), 0.46$\pm$0.11(120분), 0.52$\pm$0.15(심폐기 재가동 30분), 0.62$\pm$0.15(60분), 0.76$\pm$0.17(심폐기이탈 30분), 0.81$\pm$0.20(60분), 0.84$\pm$0.23(90분) and 0.94$\pm$0.33(120분)를 보였고 이는 역행성 뇌관류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이었다(p<0.05). 뇌신피질, 기저핵, 해마에서 전자현미경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마이토콘드리아의 부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행성 뇌관류 120분 후에 S100 베타 단백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뇌조직 손상과의 관련성은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모델을 통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심폐바이패스 시행 등의 교란 인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아산화질소에 의한 점진적 저산소가스 흡입이 혈중 가스치와 Catecholamine치 및 혈역학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Blood Gases, Plasma Catecholamine Concentrations and Hemodynamic Data in Anesthetized Dogs during Graded Hypoxia Induced by Nitrous Oxide)

  • 김세연;송선옥;배정인;전재규;배재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97-113
    • /
    • 1998
  • 교감신경계는 광범위한 각종 기능의 항상성 조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저산소증, 출혈, 통증 등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에 의해 자극되어 심박출량의 증가 및 조직으로 산소공급 향상을 위한 혈류 조절 반응이 나타나게 되나 주어진 환경에 따라 반응 정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고농도의 $N_2O$로 인해 발생된 저산소혈증 상태에서 혈역학적 변화가 저산소혈증을 발견하는 지표로서 유용한 지를 관찰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마취후 기계적 환기를 시행한 한국산 잡견에서 고농도의 $N_2O$를 이용하여 흡입산소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때 발생된 저산소혈증이 혈중 catecholarnine의 분비와 혈액 가스 및 혈역학적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Halothane으로 흡입 마취하여 기계적 환기를 시행한 뒤 10 마리의 한국산 잡견에서 21%, 15%, 10%, 5%의 산소를 5분씩 공급하여 혈역학상의 변화와 조직의 산소이용 상태 및 혈중 catecholamine치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절호흡의 결과, 실험견은 등탄산성 저산소혈증이 초래되었으며 흡입산소농도의 감소 정도에 따라 동맥혈 및 혼합정맥혈의 산소분압 및 포화도가 감소되었고, 산소섭취율이 증가함에 따라 동정맥혈 산소함량의 차이는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심박출량이 증가하는 대상성 반응을 보였다. 중심 정맥압은 10%와 5%의 흡입산소농도에서 측정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평균 폐동맥압은 10%와 5%의 흡입산소농도에서 각각 55% 및 82% 증가되었으며 폐혈관저항도 각각 76%, 95%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전신혈관저항의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 실험견에서 혈중 norepinephrine, epinephrine 및 dopamine의 대조치는 각각 $141.4{\pm}94.4$ pg/ml, $172.6{\pm}130.1$ pg/ml, $151.1{\pm}282$ pg/ml이었다. 15% 산소 흡입 시 norepinephrine, epinephrine 및 dopamine치는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dopamine은 10% 흡입산소농도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5% 흡입산소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고 60%의 흡입산소로 재산소화하는 동안 대조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에 비해 norepinephrine은 15%의 흡입 산소농도에서 74% 증가한 후 저산소혈증이 심화될수록 더욱 증가하는 양상이 계속되었다. Epinephrine은 대조치에 비해 15% 산소 흡입시 29% 증가하였으나 10% 및 5% 흡입산소농도에서 각각 382%, 350% 증가되었다. 60%의 흡입산소로 재산소화하였을 때는 norepinephrine과 epinephrine치는 감소되었으나 대조치보다는 여전히 증가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마취후 고농도의 $N_2O$에 의한 저산소 가스 흡입은 혈중 catecholamine의 농도를 증가시키나 심혈관계 및 교감 신경계의 반응을 매우 둔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임상 마취에서 환자에게 고농도의 $N_2O$를 흡입시켜 저산소혈증이 초래되는 경우 혈압 및 맥박수의 변화는 저산소혈증을 발견하는 지표로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급성폐손상환자에서 호기말양압의 변화가 폐모세혈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on the Pulmonary Capillary Pressure in Acute Lung Injury Patients)

  • 정병천;변창규;이창률;김형중;안철민;김성규;신중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5호
    • /
    • pp.594-600
    • /
    • 2000
  • 연구배경 : 급성폐손상 환자는 폐의 염증 및 투과성 증가로 폐부종을 보인다. 폐부종의 중요한 결정요인은 폐모세혈관압이며 호기말양압은 폐모세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폐동맥 풍선 도자를 이용한 임상적인 폐모세혈관압 측정법이 발전하여, 이를 이용 하면 폐동맥쐐기압 뿐만 아니라 폐모세혈관압 측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급성폐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폐동맥 풍선 도자로 폐동맥쐐기압 및 폐모세혈관압의 변화를 관찰하여 폐동맥쐐기압이 폐모세혈관압올 적절히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호기말양압의 변화가 폐모세혈관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방법 : 급성폐손상으로 기계호흡을 받은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호기말 양압을 0cm$H_2O$에서 시작하여 15분 간격으로 4cm$H_2O$ 씩 증가시켜 12cm$H_2O$까지 변화를 주연서 정해진 PEEP값에서 폐동맥 풍선 도자를 이용한 폐모세혈관압 측정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얻었다. 결과 : 호기말양압을 0cm$H_2O$부터 12cm$H_2O$까지 증가시킴에 따라 중심정맥압은 $6.1{\pm}1.6$에서 $9.3{\pm}2.3$mmHg까지 증가하였고, 평균폐동맥압도 $22.7{\pm}7.4$에서 $25.3{\pm}7.3$mmHg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폐동맥쐐기압은 $9.8{\pm}2.1$ 에서 $12.8{\pm}2.1$mmHg로 증가하였고, 폐모세혈관압도 $15.3{\pm}3.3$ 에서 $17.8{\pm}3.2$mmHg로 증가 하였다. 결론 : 급성폐손상 환자에서 폐동맥쐐기압이 폐모세혈관압을 반영하나 호기말양압을 사용하면 폐모세혈관압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급성폐손상 환자의 수액요법에서 폐동맥쐐기압 뿐만 아니라 폐모세혈관압의 감시도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에서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의 중심정맥관 감염에 대한 연구 (The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 of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s in Medical ICU)

  • 정영주;고윤석;임채만;이재승;유미현;오연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홍상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89-396
    • /
    • 2005
  • 목 적 :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은 원내 감염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중심 정맥관 관련 감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chlorhexidine-silver sulfadiazine coated catheter (CHSS) 사용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관련된 보고가 없었다. 본 연구는 non-coated catheter (NCC)와 CHSS의 중심 정맥관 관련 감염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간 서울아산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중심정맥관을 삽입하였던 446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NCC(n=187)과 CHSS (n=259)에서 중심정맥관과 환자의 특성, 중심정맥관 삽입 위치, 평균 삽입 일수, 집락화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의 빈도, 및 원인균 등에 대하여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NCC와 CHSS에서 환자군의 나이 ($62{\pm}16$, $63{\pm}15$; p=0.42) 세, 성비 (94:50, 141:69; p=0.9), 중환자실 재원일수 ($29{\pm}37$, $26{\pm}44$ ;p=0.42) 일, 인공 호흡기 사용 기간 ($17{\pm}22$, $15{\pm}19$; p=0.17) 일, 카테터 삽입 시 APACHE III 점수는 ($81{\pm}34$, $82{\pm}37$; p=0.61) 차이가 없었다. 2) 평균 카테터 삽입 기간은 NCC $11{\pm}8$ 일, CHSS $11{\pm}9$ 일 이었고(p=0.98), 총 카테터 일수는 NCC 2176일, CHSS 3035 일 이었다. NCC와 CHSS에서 카테터 감염 발생 환자는 각각 9명 (4.8%), 4명(1.5%) 으며, 1000 catheter-day당 감염 건수는 4.1건, 1.3건 이었다(p=0.04). 삽입 위치에서는 내경 정맥 삽입 시 CHSS에서 NCC 보다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이 감소하였다 (p=0.01). 3)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증에서 동정된 균은 NCC에서 Stazfphylococcus aureus 3명, Candida species 3명,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명, Klebsiella 1명, 이었고 CHSS는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2명, Candida species 2명, Proteus 1명 이었다. 결 론 :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NCC에 비해 CHSS에서 중심정맥관 감염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삽입 위치가 내경 정맥일 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출혈성 쇼크가 심폐기능 및 산.염기평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povolemic Hypotension on Cardiopulmonary Functions and Acid-Base Balance)

  • 소원영;이성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6권2호
    • /
    • pp.131-142
    • /
    • 1973
  • Studies of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cid-base balance were performed on 29 dogs during control period, during oligemic hypotension and following return of blood to the animals. Intravenous morphine and local anesthesia were used. Fifteen of the 29 animals survived the complete experiment. The 14 animals that failed to survive the experimental period died between 15 to 90 minutes after the onset of blee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eart rate increased after the onset of bleeding and failed to return to control level following reinfusion. Stroke volume decreased markedly after bleeding and failed to recover after return of blood from the reservoir. Cardiac output also decreased during oligemic hypotension and was maintained at this level after re-infusion. Total peripheral resistance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bleeding, however it increased soon over the pre-bleeding level. Central venous pressure decreased after the onset of bleeding and remained at lower level for the rest of the experimental period. Arterial blood pressure, clown to 40-45 mmHg by acute hemorrhage, was elevated near to control level. Left ventricular work decreased tremendously during oligemic hypotension and failed to return to control level with the re-infusion of blood. Hematocrit value showed no significant decrease after bleeding and increased after re-infusion. Hemoglobin decreased after the onset of bleeding and recovered to control value after re-infusion. 2. The respiratory rate fell rapidly after bleeding from 124 to 29 and remained at this lower level for the remainder of the experiment. The tidal volume increased after bleeding and was maintained at this level for the remainder of the experiment. The respiratory minute volum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Oxygen consumption fell lightly in all animals during oligemic hypotension and returned to normal levels following re-infusion. Arterial oxygen content and arterial oxygen saturation decreased following bleeding and the values returned to normal levels after the return of blood from the reservoir The arterio-venous oxygen difference increased after the onset of bleeding. It failed to return to normal values following re-infusion. Arterial $Pco_2$ decreased in all animals after the beginning of the bleeding. Partial pressure of $Co_2$ continued to fall until re-infusion, after which the values returned toward normal. Animals became acidotic. The pH fell to lower level following bleeding. Lactic acid and lactate: pyruvate ratio also increased during same period. Arterial pH and lactic acid failed to return to control value and lactate: pyruvate ratio increased more after re-infusion. Sodium bicarbonate decreased after bleeding and returned to control value following re-infusion.

  • PDF

간문맥 고혈압 고양이에서 비-간 교감신경성 반사의 변동에 대한 연구 (Studies of Alterations in Spleno-Hepatic Reflex in Portal Hypertensive Cats)

  • 송환규;임병용;김치대;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3
    • /
    • 1987
  • 만성 간문맥 고혈압에 동반하는 내장 충혈에 대한 발생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고양이의 간문맥을 결찰하고 그 경과에 따라 비 -간 교감 신경성 반사 흥분의 변동과 동시에 순환 역동학적 변동을 관찰하였다. 1. 대조 고양이 (Sham 수술군)에서 비동맥을 통하여 capsaicin, bradykinin 및 vasopressin을 주사 하였을 매에는 전신 동맥압의 반사 흥분뿐만 아니라 비정맥압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심박동수는 변화가 없었다. 동시에 비장(비-비 반사) 및 간장 (비 -간 반사)에서 교감 신경의 만사 흥분을 일으켰다. 2. Capsaicin을 간 표면에 도포하였을 때는 간 신경 흥분 (간-간 반사)과 등시에 승압 반사를 유발시켰다. 3. 문맥 결찰 후에는 비정맥압은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 하였고 이에 동반하여 전신 동맥압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승압반사 항진은 제2일에 현저하게 야기되었고 그후 대조치로 회복되었다. 비-비 또는 비-간 교감 신경 반사 흥분은 제8일에 현저히 감약되었다. 4.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비장 및 간장에 분포하는 교감 신경 반사 흥분은 동일한 중추 지배에 의하여 조절되고, 간문맥 결찰 후 내장 반사 흥분의 감소는 내장 충혈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on the Peri-operative Vasomotor Cytokine Content and Intrapulmonary Shunt in Patients with Esophagus Cancer

  • Guo, Wei;Jin, Xiao-Ju;Yu, Jun;Liu, Yang;Zhang, Jian-Ping;Yang, Da-Wei;Zhang, Lei;Guo, Jiang-R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505-9509
    • /
    • 2014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SGB) on the peri-operative vasomotor cytokine content and intrapulmonary shunt in patients with esophagus cancer who underwent thoracotomy.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patients who had I~II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 (AS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group (group N, n=20) and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combined with SGB group (group S, n=20, 0.12 mL/kg 1% lidocaine was used for SGB 10 min before induction). Heart rate (HR), mean arterial pressure (MAP), central venous pressure (CVP),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MPAP) and continuous cardiac output (CCO) were continuously monitored. The blood from internal jugular vein was drawn respectively before induction ($T_0$), and 30 min ($T_1$), 60 min ($T_2$) and 120 min ($T_3$) after one-lung ventilation (OLV), and 30 min (T4) after two-lung ventilation. The contents of plasma endothelin (ET), nitric oxide (NO)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were detected with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anwhile, arterial and mixed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determination of blood gas and calculation of intrapulmonary shunt fraction (Qs/Qt). Results: During OLV, ET cont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wo groups (P<0.05),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ed (P>0.05). NO content in group S was obviously higher than in group N at T3 (P<0.05), whereas CGRP content in group N was markedly lower than in group S at each time point (P<0.05). Qs/Q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OLV,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regarding the Qs/Qt at each time poi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combined with SGB is conducive to regulation of perioperative vasomotor cytokines in thoracotomy, and has little effect on intrapulmonary shunt at the time of OLV.

우심방 이성체를 동반한 복잡 심기형에 대한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 for Complex Cardiac Anomalies Associated with Right Atrial Isomerism)

  • 황의동;정성호;장원경;김영휘;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69-573
    • /
    • 2007
  • 기능성 단 심실, 폐동맥 폐쇄, 주 대동맥-폐동맥 측부 혈관, 총폐정맥 환류 이상이 동반된 우심방 이성체의 진단을 받은 여아가 청색증의 악화로 생후 3개월째 좌측 주 대동맥-폐동맥 측부 혈관 단일화 수술 및 좌측 변형 Blalock-Taussig 단락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흉부 x-ray 상 폐정맥 울혈의 소견을 보여 시행한 심장 초음파 검사 상 폐정맥 협착이 발견되어 총폐정맥 환류 이상에 대한 무 봉합 술식 및 우측 주 대동맥-폐동맥 측부 혈관에 대한 단일화 수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저산소증으로 인한 심폐기 이탈 실패로 8일간 체외 막형 산화기로 보조하였으며, 전신-폐 단락술을 추가하면서 체외 막형 산화기를 이탈할 수 있었다. 환아는 장기간의 기관 삽관으로 유발된 기관 협착으로 기관지 절개를 한 상태에서 1차 수술 후 104일째 퇴원하였고, 산소 투여 없이 산소 포화도 80% 정도로 유지하면서 2개월째 외래 관찰 중이다.

토끼의 초저체온증 회복을 위한 식도가온법에 관한 연구 (Effects on the Esophageal Rewarmer for Repairing in Rabbits with Profound Hypothermia)

  • 정병현;이병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8-144
    • /
    • 2000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ophageal thermal tube for rewarming in the hypothermia in rabbits. Thiry-one rabbits were continuously cooled with femoral arterio-venous bypass circulation to 25.0${\pm}$0.3$^{\circ}C$(profound hypothermia) of rectal temperature.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with 3 esophageal thermal tube groups perfused with circulation water at 38${\pm}$1$^{\circ}C$(low, n=12), 42${\pm}$1$^{\circ}C$(medium, n=12), and 45${\pm}$1$^{\circ}C$(high, n=7). Esophageal thermla tube specially constructed double-lumen esophageal tube with circulating warm water at respective htermal grade. With this device, rewarming of the rabbits as follows; High-esophageal thermal tube group(45${\pm}$1$^{\circ}C$)had a more effect on mean arterial pressure(MAP), heart rate(HR), esophageal temperature, and rectal temperature than others groups, but the circulation water at 45$\pm$1$^{\circ}C$ may cause thermal injuries in the esophagus because esophageal temperature increased to 41.1$^{\circ}C$. Medium-esophageal thermal tube group(42${\pm}$1$^{\circ}C$) had a more effect on RR than others groups, but the circulation water at 42${\pm}$1$^{\circ}C$ may also cause thermal injuries in the esophagus if the temperature exceeds 42$^{\circ}C$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because its esophageal temperature increased to 39.4$^{\circ}C$. Low-esophageal thermal tube group(38${\pm}$1$^{\circ}C$) had a more effect on MAP, RR, and esophageal temperature than others groups. In conclusion, rewarming of the central core in the treatment of profound hypothermia using the esophageal thermal tube perfused with circulation water at 38${\pm}$1$^{\circ}C$ appears to be a ideal alternative safety zone of the temperature of circulation water avoiding thermal injury in esophagus causing by out of order or lower precise thermostat of water bath to that of others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