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7초

Predictor of Liver Biochemistry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Cytomegalovirus Cholestasis after Ganciclovir Treatment

  • Puspita, Gina;Widowati, Titis;Triono, Ag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1호
    • /
    • pp.70-78
    • /
    • 2022
  • Purpose: Cholestasis resulting from cytomegalovirus (CMV)-induced hepatitis manifests in 40% of patients with a CMV infection. Ganciclovir treatment in children with CMV infections has proven to be highly effective. Until now, there are very few studies have identified predictive factors for liver biochemistry improvement after ganciclovir therap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liver biochemistry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CMV cholestasis after ganciclovir treatment.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dical records from Dr. Sardjito General Hospital Yogyakarta, Indonesia from 2013 to 2018. CMV cholestasis was confirmed based on serum CMV IgG and IgM positivity and/or blood and urine CMV antigenemia positivity. Incomplete medical records and other etiologies for cholestasis, such as biliary atresia, choledochal cyst, metabolic diseases, and Alagille syndrome, were excluded. Patient age at cholestasis diagnosis and ganciclovir treatment, duration of CMV cholestasis, history of prematurity,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and nutritional statu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an odds ratio (OR)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Results: CMV cholestasis with ganciclovir therapy was found in 41 of 54 patient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 shorter duration of CMV cholestasis (OR: 4.6, 95% CI: 1.00-21.07, p=0.04)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liver biochemistry improvement after 1 month of ganciclovir treatment. The remaining factors that were analyzed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of liver biochemistry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CMV cholestasis after ganciclovir treatment. Conclusion: A shorter duration of CMV cholestasis is the predictor of liver biochemistry improvement after 1 month gancyclovir treatment.

Intraventricular Antimicrobial Therapy for Intractable Ventriculitis: Two Case Reports

  • Lee, Ji Weon;Yoon, Yoonsun;Kim, Sang-Dae;Kim, Yun-Kyung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1호
    • /
    • pp.46-53
    • /
    • 2022
  • 뇌실염은 일반적으로 정맥 내 항생제를 통하여 치료하나, 불응성 뇌실염의 치료는 정맥 내 항생제 치료와 뇌실 내 항생제 치료의 병행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론적으로 항생제의 뇌실 내 투여는 정맥 내 단독 투여보다 뇌척수액에서 더 높은 항생제 농도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증례 보고는 기존의 전신 항생제 치료에 불응하는 폐렴 간균과 메티실린 내성 표피 포도상 구균에 각각 뇌실 내 겐타마이신과 반코마이신 투여를 통하여 뇌실염을 치료한 2례로서 이후에도 주요 합병증 등이 없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국내의약품의 약물상호작용 정보 분석 (Analysis of Drug Interaction Information)

  • 이영숙;이지선;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09
  • Adverse drug reactions (ADR) caused by inappropriate prescription are responsible for major socioeconomic loss. Drug-drug interactions (DDI)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part of ADRs and, therefore,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prevent possible DDIs to minimize preventable AD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DI information in drug information references an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drug labeling information. Drug ingredients from the formulary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Korea (HIRA) were included for the study. DDI information source used for the study were Micromedex Drugdex and Drug Information Facts (DIF) with the DDI severity level of "moderate" or more. The DDI information in KFDA drug labeling were collected and compared. Drug ingredients were classified with KFDA Drug Classification and ATC Classification of WHO for the analysis. Among the total 1,355 drug ingredients satisfying inclusion criteria, 738 ingredients involved at least one DDI, which was described in Micromedex and/or DIF. Drug Ingredients of 176 involved DDI only described in KFDA drug labeling, but not Micromedex nor DIF. Drug ingredients of 35 which DDIs were described in Micromedex or DIF did not have DDI based on KFDA drug labeling. Micromedex and DIF retrieved 7,582 and 3,071 DDIs, respectively 57.6% and 58.5% of DDIs were also described in KFDA drug labeling. Central nervous system (CNS) drugs, cardiovascular system (CVS) drugs and the antiinfectives appeared to have higher frequency of DDIs among all drug classes. The highest number of DDIs with high severity level ("contraindicated" or "major") were the DDIs of CNS drugs. The antiinfectives are the second drug group having serious DDIs. The DDI pairs of the CNS drug and the antiinfective had the highest contraindication risk (13.6%). DDI information from Micromedex and DIF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 that only 465 ingredients' DDIs are common in both literature (total DDI numbers were 715 vs 488, respectively). And 1,652 DDI information are common in both references among 7,582 vs 3,071 DDIs, respectively. Only 55.2% of DDI information in the database contained in the KFDA drug labeling. Prescribers and pharmacis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rugs for CV system, CNS and infections because of higher risk of possible DDIs compared to other drug classes. KFDA drug labeling is not likely to be recommended as a good information source for DDI due to significant inconsistency of information. Drug information providers should be aware that DDI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are not consistent and therefore multiple references should be used.

  • PDF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기생충 감염양상 (Status of parasitic infection diagnosed by surgical biopsy in Kwangju and Chollanam-do)

  • 김진;정우식;조규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93-100
    • /
    • 1994
  • 조직학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인체 기생충증의 종류 및 감염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1980년부터 1989년까지 10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병리과에 통상적인 조직검사가 의뢰된 80,947례 중 기생충 감염으로 진단된 149례(0.18%)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기생충증은 낭미충증 112례. 례흡충증 17례. 간흡충증 7례. 아메바증 4례. 간질증 스파르가눔증. 요충증 및 아니사키스증 각각 1례 등이었다. 낭미충증은 여성에서 약간 많았으며. 연령별 감염빈도는 20대에서 가장 높았고, 주로 침범하는 부위는 피하조직 및 골격근이었다. 절편상에서 충체가 확인된 94례의 낭미충증은 형태적인 보존정도로 보아 19례(20.2%)에서는 거의 변성이 없었고, 중등 도변성 38례(40.4%). 고도변성 37례(39.4%)를 보였다 폐에 기생한 2례를 제외한 15례의 이소기생 폐흡충은 복강(8례)과 중추신경계(7례)에 분포하였고, 20대 및 30대에서 가장 호발하였으며. 남성에서의 감염이 73.3%로 많았다. 담관내 간질증은 국내 13번째 인체감염례에 해당된다. 조직학적으로 진단되는 기생충증의 빈도는 연도가 경과할수록 점차 감소하고 있었으나, 낭미충증과 이소기생 폐흡충증에서는 생검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는 진단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스파르가눔증의 혈청학적 진단 (Serological Diagnosis of Human Sparganosis by means of micro-ELISA)

  • Hyuck Kim;Suk-Il Kim;Seung-Yull C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223-228
    • /
    • 1984
  • 외과적으로 충체를 적출하여 진단한 스파르가눔증 환자 7명으로부터 혈청을 수집하고 혈청내 스파르가눔 특이 IgG 항체가를 호소면역 측정 법으로 측정하였다. 스파르가눔 항원은 유혈목이에 자쳔 감염된 충체를 갈아 생리 식염수로 추출한 것으로 단백질 함량은 Smgyxnl이었다. 효소면역측정법은 McLaren 등(1978)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스파르가눔중 환자 혈청이 폐흡충 항원 또는 유구낭미충 항원에 교차반응이 있는지 여부도 측정하였다. 또한 스파르가눔 항원에 대해서 정상인, 케흡충중 환자, 간홉충 감염자, 유구낭미충증 환자와 무구조충 감염자 등 모두 71명에 대해서도 교차반응을 나타내는지 를 관찰하고자 효소면역 측정 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스파르가늠증 환자 7명중 석회화한 스파르가눔에 감염되어 있었고 수술후 1개월에 혈청을 수집한 1례를 제외하면 모두 홉광도 0.3 이상을 나타내었다. 양성판정기준을 흠광도 0.25로 하였을 때 효소면역 측정 법의 민감도(sensitivity)는 85.7이 었다. 2. 기타 기생충 감염자와 정상인 71명중에서 스파르가눔 항원에 대한 특이항체 양성자는 무구조충감염자 3명으로 특이도(specificity)는 97.5%이었다. 3. 스파르가눔중 환자 혈청은 폐흡충 항원 및 유구낭미충 항원에 대해서 항체가는 낮은 값을 보이고 있어 교차 반응은 발견할 수 없었다. 4.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스파르가눔중 환자 2례에서 뇌척수액을 희석하지 않은 상태로 효소면역 측정 법을 실시하였던 바 1례는 폐흡충 및 유구낭미충 항원에 대해 교차반응 없이 스파르가눔항원에 대해 높은 항체가를 보인데 비해 다른 1례에서는 스파르가눔 항원 및 유구낭미충 항원에 대해 비슷한 항체가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효소면역 측정 법을 이용하여 스파르가눔중을 혈청학적으로 진단하는 경우 매우 특이하고 민감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스파르가눔중의 수술전 진단이 실제로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혈청학적 잖단은 역학적 유해조사나 형태학적으로 감별이 어려운 병리소견을 보인 경우 등에서 보조적인 진단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Enterovirus 감염에 의한 자돈의 Polioencephalomyelit: I. 병리조직학적 관찰 (Polioencephalomyelitis in Pig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Porcine Enterovirus Isolated in Korea: I.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 신태균;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3-112
    • /
    • 1985
  • 국내에서 분리된 enterovirus의 병원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1~2일령의 자돈 10두와 35일 령의 유돈 6두에 enterovirus 조직배양부유액을 뇌내 또는 근육내 주사한 후 임상 및 병리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적으로는 체온의 상승, 보양창랑, 보행실조, 유약성 마비 및 고도의 삭수가 관찰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중추신경계 전반에 걸쳐 수막하 세포침윤, 혈관주위 원형세포침윤, 신경세포의 변성, 미만성과 한국성 gliosis, glial nodule의 형성 등이 관찰되었으며 백질부보다 회백질부에서 다소 심한 경향이었고 배측 신경절염이 전 실험예에서 인정되었다. 한편 hog cholera백신과 enterovirus의 공동주사예에서는 중추신경계의 병변이 enterovirus 단독주사예에 비해 급격히 진행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소견들을 종합해 볼때 국내에서 분리된 enterovirus는 뇌내 또는 근육내에 접종하였을 때 자돈에서 polioencephalomyelitis를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이 강한 형으로 추측되며 hog cholera백신과 enterovirus를 공동주사한 예에서 병변의 진행이 급격한 점으로 보아 enterovirus의 자연감염에 hog cholera 백신 등의 stress요인이 작용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엔테로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분석 및 유전자형 연구 (Genetic Characterization for Human Enterovirus Isolated from Busan Region in Korea)

  • 김남호;민상기;박은희;박연경;권순목;진성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07-913
    • /
    • 2010
  • 부산지역에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동안 임상적으로 HEV 의심 환자 검체 총 2,743건(대변 1,503건, 뇌척수액 1,213건, 인후도찰물 27건)의 검체 중 240건(8.7%)에서 HEV가 검출되었다. 연도별로는 2007년에는 HEV 감염의심 환자 검체 1,001건에서 86건(8.6%)에서 HEV가 분리되었고, 2008년의 경우 979건 중 85건(8.7%), 2009년 763건 중 69건(9.0%)이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체 2,743건 중 1,315건이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의뢰되어 전체 의뢰건수의 48.0%를 차지하였다. HEV는 5월부터 분리율이 증가하기 시작해서 6월(15.5%), 7월(15.8%), 8월(15.3%)에 높게 나타나 HEV 분리가 하절기에 집중되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건수 별 양성률은 남자 9.5%, 여자 8.7%로 성별에 따른 분리율의 차이를 찾기는 어려웠으며, 대부분 10세 이하의 연령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HEV 분리주들에 대하여 VP1 region sequencing을 통하여 HEV의 유전형을 확인하여 HEV-A와 HEV-B 두 종류의 유전자형이 부산지역에서 유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HEV-A의 부산지역 분리주 31주를 이용하여 상동성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리주 31주 사이에 21.8~100%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HEV-B의 부산지역 분리주 41주를 이용하여 상동성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리주 41주 사이에 56.0~100%의 상동성 보여 최근 3년간 부산지역에 분리된 HEV 혈청형들 사이에 상동성의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를 볼 때 부산지역에서 유행하는 HEV 내에 상당한 정도의 유전자 변이를 추정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