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Place Hierarch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초

경주시지역 중심지계층과 생활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erarchy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Shopping Area in the Kyeong-ju Si Area)

  • 박태화;이재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8-528
    • /
    • 1996
  • 우리나라에서 대도시지역은 인구가 집중되고 있는 반면에 농촌지역은 인구의 감소현상으로 국토공간의 불균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중소도시 역시 정체내지는 쇠퇴하여 도시의 계층, 중심지기능, 상품의 구매행위 등 지역의 중심지체계와 생활권의 변화를 겪고 있다. 더욱이 고속교통기관의 신설, 신공업도시의 접근, 공업단지의 입지 등은 지역도시의 중심성과 그 배후지역의 체계를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경주시지역(구 경주시와 월성군)에 대한 중심지계층과 생활권의 현상과 변화에 대한 구명이다. 경주시지역은 최대중심지 경주시가 관광도시이기는 하나 그외 지역은 순수한 농업지역의 중심지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경부고속도로와 승용차의 보급으로 해안지역의 외래 관광객의 급증, 인접하는 공업도시 포항과 울산의 급성장 등으로 경주시지역 중심지체계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와같이 급변하는 농촌지역의 중심지계층과 그 생활권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 PDF

대전광역시 중심지 위계 변화 분석 (Analysis of Central Place Hierarchy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김상수;안상현;신영철;김흥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3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제시되고 있는 계획상의 대전 도시의 중심지 체계를 정리 분석한 후, 도시공간구조 형성 및 GIS를 활용하여 중심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를 선정하여 중심지 등을 측정하고, 중심지 위계를 설정 제시 하고자 한다. 분석은 변형된 데이비스(W.K Davis)의 모형을 응용하여 $1km{\times}1km$ 격자(GRID) 단위로 2000년도와 2005년도의 중심지 측정 및 위계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대는 1도심 2부도심으로 1도심은 은행 선화권인 기존도심이며, 2부도심은 관광중심지인 유성권과, 행정중심지인 둔산권으로 분석되었다. 2005년도에는 2도심 2부도심으로 2도심은 은행 선화권인 원도심과 행정중심지인 둔산신도심이고, 2부도심은 유성권과 대전고속터미널이 있는 용전권으로 설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공간정책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촌생활 서비스 기능의 중심지 계층·연계구조 분석을 통한 농촌중심지 위계 및 생활권 설정연구 - 보령시를 중심으로 - (The Use of Living Services and Hierarchy Through Class and Linkage Structure Analysis - Focusing on Boryeong City -)

  • 양정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2호
    • /
    • pp.103-11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iving SOC function index and classified classe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 by applying the "Central Place Theory" as basic data for classifying living areas necessary for establishing rural spatial strategies in Boryeong. Boryeong-si is classified as a southern living area in the northern living area, centering on Daecheon-dong, the first class, and it is analyzed that living services such as used car service procurement and education are needed, and the southern living area needs a mid- and high-vehicle service delivery system in Ungcheon-eup.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clues to the classification of central functional facilities suitable for rural centers, reinforcement of vulnerable functional facilities by living area, and provision of living services.

역세권 지가 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공간 구조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of Seoul by Analyzing the Land Price Changes of Station Influence Areas)

  • 구현철;이병길;이창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16
  • 서울시에서는 1990년부터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다층적 위계를 갖는 중심지 체계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철도의 역세권에 중심지가 설정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철도 역세권의 변화에 대한 검토는 서울의 공간 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도시철도 역세권에 대한 2000년, 2005년, 2010년 3개년의 표준지 공시지가의 변화를 이용하여, 서울시 중심지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역세권 공시지가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심지 위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로도면과 IC Mask Layout을 위한 2차원 Grphic Editor (SEAS (Symbolic Editing and Design Aid System))

  • 조재주;차건업;김정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49-158
    • /
    • 1987
  • This paper describes the SEAS which is a 2-dimensional graphic editor for schematic circuit and IC mask layout. This system runs on general purpose computer and Tektronix 4110 series graphic terminal. With this system, user can edit schematic circuits and/or IC mask layout with 2 level hierarchy. This system supports more than 20 kinds of built-in symbol, user definable internal symbols, 60 macros, 16 function keys, 4 level on-screen menu operation and edit-in-place of cell in main drawing. And it provides editing functions such as reflection, rotation, move and copy of one or a group of elements, and modification of polygona geometry etc. To improve the excution speed, we used local memory of graphic terminal. For the portability of the program, the system is written in FORTRAN 77 programming language.

  • PDF

생활서비스 공급 측면에서 본 전라북도 농촌지역의 중심지체계와 읍·면 중심지의 역할 (Central Place System of Rural Areas and the Role of Eup-Myun Central Districts in Jeollabuk-do in terms of Living Service Supply)

  • 홍환성;이경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88-9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life service supply structure in rural areas of Jeollabuk-d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life service in Eup/Myeon central area. In addition,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system in rural area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upply of living services in Eup/Myeon areas were also analyzed.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entir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Jeollabuk-do are intended to be established as a single wide area unit, breaking away from the current status of living service supply at the Si/Gun level. This study mainly conducted with three points. First, the spatial range of Eup/Myeon central districts with centrality in terms of living service supply was established. Seco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living service supply system in the rural areas of Jeollabuk-do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ving service supply level based on the centralit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Eup/Myeon central distric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entral place system of rural areas in Jeollabuk-do was established in terms of living service supply.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ving service functions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and the type of living service supply by hierarchy was identified.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 I ) (The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 I ))

  • 김원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75
    • /
    • 1999
  • `역전(驛前) 상점가(商店街)'는 도시 내부에 있어서 자연적 혹은 유기적인 중심지의 계층구조에 의해서 결절된 중심지가 아니다. '기차역'이라고 하는 특수한 기능의 견인력에 의해서 그 부근에 형성된, 오히려 특수 상점가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은 개항(開港) 이전에는 왜관(倭館)이 있었던 곳이며, 개항 후에는 왜관이 일본인 거류민지로 승격하게 된다. 또한 지금은 점차 쇠퇴하고 있긴 하지만 '차이나 타운'이라고 하여 중국인의 거주지가 이 지역의 서부지대에 아직까지 존속하고 있다. 이곳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에 '텍사스 타운'이 있어서 과거부터 주한미군(駐韓美軍)과 외국인 선원들을 고객으로 하는 환락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이곳은 '러시아 타운'으로 변하여 가로의 대부분의 간판은 러시아어로 되어 있다. 이 가로를 따라서 가면 러시아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이 상점가와 인접하여 '초량시장'이 위치하고 있어서 과거부터 인근의 주택지를 serve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69년 6월 10일에 새로운 역사(驛舍)가 준공되고 부산역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과거의 기능에 기차역이 견인하는 기능이 부가하게 된다. 크게 보면, 이러한 두 가지의 속성이 현재 부산역 상점가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사(驛舍)가 있는 동부지대와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왔던 서부지대는 그 토지이용과 구조면에서 않은 차이가 있다. 동부지대는 업무관리기능이 집적하고 있는 반면에 소매업 중에서도 상점가의 계층을 결정할 수 있는 중심성 상점은 전혀 입지하지 않고 있다. 이 지대는 대형의 고충건물이 많은 업무지구이다. 이것은 도심의 축소판으로서의 경향을 오히려 부도심보다도 더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부산역 상점가에 대해서 그 기능구성과 분포를 중심으로 패턴을 밝히려고 한다. 이 연구는 부산시 전체의 내부공간 구조를 밝히려는 일련의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 PDF

農村地域의 郵政施設 立地問題 (A Reappraisal of Rural Public Service Location: the Case of Postal Facilities)

  • 허우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8
    • /
    • 1996
  • 본 연구는 농촌 지역의 공공 서비스 입지에 관한 시사를 얻으려는 취지에서, 局勢錄을 활용하여 전국 군 우체국의 이용 수준(1986-1992년)을 살피고, 경기도 김포군, 충청남도 홍성군, 전라북도 무주군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주민들의 우체국 이용 행동의 특성을 밝히려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읍과 시에 가까운 면에서 상위 중심지로의 지향성이 강하여 공공 서비스의 면단위 관할구역이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하며, 젊은 연령층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여 주민들의 활동공간에 世代差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는 중심지 체계로 본 위계와 상위 중심지 인접 여부를 현행 농촌지역의 우체국 설치 기준에 덧붙여 쓸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정주공동성의 공간적 존재형태에 관한 연구(1) -산간지역(평창군 미탄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Spatial Pattern of the Settlement-Communality in Rural Mountain Area)

  • 윤원근;이상문
    • 농촌계획
    • /
    • 제3권2호
    • /
    • pp.36-49
    • /
    • 1997
  • The drastic change of mountain community, which have led existing villages to a size reduction or an extinction, makes this study concentrate on finding out the new community unit as a spatial zone of dayily life and agricultural production. The communality which has played a key role in a aura settlement consistency has been focused on the socio-economic aspect till now, neglecting the spatia] nature. The settlement-communality( SC) putting a stress on the spatial aspect can be, therefore, shapec as being multi-dimensional, composed of both a horizontally areal coverage on the surface of the residential place and a vertically hierarchial relationship between settlements, by analyzing thro( elements of communality that are the economic, socio -cultural and spatial activities. The research site is located administratively in Milan-Myoun, Pyoungchang-Gun, Gangwon-Do that ha: the characteristics as a typical mountain community. The results of field survey of which the method i: to draw the activity zone from an interview with every village's head and some residents with th( prepared questionai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the SC in almost all villages tended to be weakened or extincted, none the less, the spatia zone of that overally enlarged and got out of natural village unit(hamlet). However the areal coverall on which the SC has an influence reaches up to the alliant domain of a few villages generally congruen with the lowest level administrative district, Secondly, the economic and social activity pattern in village life has a tendency to be directly linked with a upper central place, so that has induced the function of a central village in the middle-low settlement hierarchy to be largely shrinked. Not only the conventional residents'access to goods service but also the recent service-delivers'access to residents has gradually formed the vertical communality with direct linkage between the upper and the bottom level settlements Lastly, the enfeeblement of the SC in the lowest settlement level tends to be supplemented by enlarging the horizontal zone of the SC or especially by strengthening the vertical direct linkage system. The very this point makes the mountain community open to the external world and also makes the spatial unit of community be multi-dimensional just like a cubic.

  • PDF

Tall Buildings as Urban Habitats: A Quantitative Approach for Measuring Positive Social Impacts of Tall Buildings' Lower Public Space

  • Zhou, Xihui;Ye, Yu;Wang, Zhendo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7-69
    • /
    • 2019
  • After decades of high-speed development, designing tall buildings as critical components of urban habitat, rather than simply standing aloof from their environments,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rn in many Asian cities. Nevertheless, the lack of quantitative understanding cannot support efficient architectural design or urban renewal that targets better place-making.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e gap by providing a typological approach for measuring the social impact of tall buildings' ground conditions: that is, public space, podiums, and interfaces.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s (CBD) of three Asian cities, Shanghai, Hong Kong, and Singapore, were selected as cases. Typical patterns and categories of lower-level public spaces among the three CBDs were abstracted via typological analyses and field study. The following evalu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is quantified approach helps to provide a visualization of high or low positive social impacts of tall buildings' lower-level public spaces among the three cases. This study also helps to suggest a design code for tall buildings aimed at a more human-oriented urban habit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