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ar Stress-granul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Strain of the Unicellular Green Alga Dunaliella salina (Teod.) from Korea

  • Polle, Jurgen E.W.;Struwe, Lena;Jin, Eon-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821-827
    • /
    • 2008
  • The unicellular green alga Dunaliella salina is a halotolerant eukaryotic organism. Its halophytic properties provide an important advantage for open pond mass cultivation, since D. salina can be grown selectively. D. salina was originally described by E. C. Teodoresco in 1905. Since that time, numerous isolates of D. salina have been identified from hypersaline environments on different continents. The new Dunaliella strain used for this study was isolated from the salt farm area of the west coastal side of South Korea. Cells of the new strain were approximately oval- or pear-shaped (approximately $16-24\;{\mu}m$ long and $10-15\;{\mu}m$ wide), and contained one pyrenoid, cytoplasmatic granules, and no visible eyespot. Although levels of $\beta$-carotene per cell were relatively low in cells grown at salinities between 0.5 to 2.5 M NaCl, cells grown at 4.5 M NaCl contained about a ten-fold increase in cellular levels of $\beta$-carotene, which demonstrated that cells of the new Korean strain of Dunaliella can overaccumulate $\beta$-carotene in response to salt stress. Analysis of the ITS1 and ITS2 regions of the new Korean isolate showed that it is in the same clade as D. salina. Consequently, based on comparative cell morphology, biochemistry, and molecular phylogeny, the new Dunaliella isolate from South Korea was classified as D. salina KCTC10654BP.

루게릭병 및 전측두엽성 치매 연관 단백질 Fused in Sarcoma (FUS)의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도메인 분석 (Analysis of domain required for aggregates formation of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FTD (Frontotemporal dementia)-linked FUS in mammalian cells)

  • 전미희;이진아
    • 분석과학
    • /
    • 제28권5호
    • /
    • pp.331-340
    • /
    • 2015
  • DNA/RNA결합 단백질로 다양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진Fused in Sarcoma (FUS)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루게릭병 및 전측두엽성 치매 환자에서 발견되었다. 정상적인 FUS는 핵에 위치하지만 병리상황에서 FUS는 세포질로 잘못 타기팅 되어 스트레스 응집체와 결합된 단백질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에 의한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 기전 및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FUS의 도메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루게릭병 연관 FUS 미스센스 돌연변이(P525L, R521C, R521H, R521G)의 세포내 위치 및 세포질 FUS의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FUS내 도메인을 분석하고 동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FUS 미스센스 돌연변이의 세포내 위치를 분석한 결과, P525L대부분은 세포질로 위치하여 스트레스 응집체를 형성하는 반면, R521C, R521H, R521G는 핵과 세포질에 위치하였다. 이를 통해 FUS의 핵으로의 이동에는 FUS의 마지막 2개의 아미노산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질로 빠져 나온 FUS의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FUS도메인 분석을 위해서 핵 위치서열이 결손되어 대부분 세포질 응집체를 형성하는 FUS-∆17를 이용하여, 다양한 도메인 결손 돌연변이를 제작하고, 이들의 응집체 형성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YGQ-RGG1나 RGG2-ZnF-RGG3없는 세포질 FUS (FUS-∆SYGQ-RGG1-∆17, FUS-∆RGG2-ZnF-RGG3-∆17)는 스트레스 응집체를 형성하지 않은 반면, RRM이 없는 FUS-∆RRM-∆17은 FUS-∆17에 비해 많은 스트레스 응집체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메인 분석결과 세포질의 FUS는 SYGQ-RGG1나 RGG2-ZnF-RGG3 도메인을 통해 FUS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이 촉진되고, RRM도메인은 FUS 응집체 형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FUS의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과 연관된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기전에 대한 이해뿐만이 아니라 이들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 후보 타겟 물질 발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