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초

BV-2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에 대한 녹차 유래 폴리페놀 EGCG의 억제 효과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e Gallate (EGCG) Prevented LPS-induced BV-2 Micoglial Cell Activation)

  • 박으뜸;전홍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0-6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녹차 유래 polyphenol 중의 하나인 epigallocatechine gallate (EGCG)를 이용한 신경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로 분비되는 nitric oxide (NO)와 pro-inflammatory cytokine을 포함하여 iNOS, TNF-a와 IL-1b 유전자의 발현과 LPS 수용체인 TLR-4의 활성에 미치는 EGCG의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Latex beads를 이용한 phagocytotic activity를 확인한 결과 LPS로 유도된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의한 식균활성이 EGCG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BV-2 미세아교세포 조건배지를 이용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 SN4741의 세포 사멸확인에서도 EGCG에 의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녹차 유래 polyphenol인 EGCG의 신경염증 반응억제효능과 신경퇴행성 질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녹차 유래 polyphenol인 EGCG의 신경염증 반응과 그로 인한 신경 퇴행성 질환 제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Cyclic Phytosphingosine-1-Phosphate Primed Mesenchymal Stem Cells Ameliorate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in Mice

  • Youngheon Park;Jimin Jang;Jooyeon Lee;Hyosin Baek;Jaehyun Park;Sang-Ryul Cha;Se Bi Lee;Sunghun Na;Jae-Woo Kwon;Seok-Ho Hong;Se-Ran Y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Cells
    • /
    • 제16권2호
    • /
    • pp.191-201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O-cyclic phytosphingosine-1-phosphate (cP1P) is a synthetic chemical and has a structure like sphingosine-1-phosphate (S1P). S1P is known to promote cell migration, invasion, proliferation, and anti-apoptosis through hippocampal signals. However, S1P mediated cellular-, molecular mechanism is still remained in the lung. Acute lung injury (ALI) and its severe form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are characterized by excessive immune response,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alveolar-peritoneal barrier collapse, and edema.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cP1P primed human dermal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dMSCs) ameliorate lung injury and its therapeutic pathway in ALI mice. Methods and Results: cP1P treatment significantly stimulated MSC migration and invasion ability. In cytokine array, secretion of vascular-related factors was increased in cP1P primed hdMSCs (hdMSCcP1P), and cP1P treatment induced inhibition of Lats while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Yap. We next determined whether hdMSCcP1P reduce inflammatory response in LPS exposed mice. hdMSCcP1P further decreased infiltration of macrophage and neutrophil, and release of TNF-α, IL-1β, and IL-6 were reduced rather than naïve hdMSC treatment. In addition, phosphorylation of STAT1 and expression of iNO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ungs of MSCcP1P treated mice.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cP1P treatment enhances hdMSC migration in regulation of Hippo signaling and MSCcP1P provide a therapeutic potential for ALI/ARDS treatment.

포도상구균 장내 C 형 변이독소 (SEC mutant)의 면역원성에 대한 연구 (Immunogenicity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C mutant antigen in mice and dairy cows)

  • 장병선;주이석;문진산;서근석;양수진;김소현;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7-188
    • /
    • 2001
  • Mastitis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economic loss to the dairy industry. Especially, Staphylococcus aureus is a major contagious mastitis-causing pathogen in dairy cattle. Because of its high transmission rate and resistance to antibiotic therapy, staphylococcal mastitis presents a constant threat to the dairy industry. Staphylococcal enterotoxin C(SEC) produced by S aureus has been known as one of superantigens which are able to stimulate a large proportion of T lymphocytes independently of their antigenic specificity. In this experiment, we have conducted preliminary studies with mice and lactating cows to evaluate the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the experimental vaccine consists of SEC mutant antigen on controlling the bovine mastitis associated with S aureus infections. The average value of somatic cell counts in quarter milk, isolation rate of S aureus were consistently decreased in SEC-SER vaccinated groups, whereas antibody titers were highly increased in SEC-SER vaccinated groups. Peripheral blood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lactating cows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leukocyte subpopulation associated with humoral immunity(HI) and cell mediated immunity(CMI). Proportion of leukocyte subpopulation expressing $BoCD2^+$(total T lymphocyte), $BoCD4^+$(T helper cell), $BoCD8^+$(T cytotoxic/suppressor cell) and NonT/NonB lymphocyte which are involved in CMI in SEC-SER vaccinated groups were decreased for the initial stage after first vaccination and then increased from ten weeks after first vaccination maintaining elevated level till 14 weeks after vaccination. In contrast, proportion of monocyte, MHC class II and B lymphocyt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primary immune response in SEC-SER vaccinated groups were increased for the initial period and then decreased from ten weeks after first vaccination. We present evidence that vaccination of SEC-SER mutant antigen in lactating cows induced a significant proliferation of bovine T lymph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C-SER mutant antigen used in this experiment might be one of potential immunogen in developing innovative vaccine against bovine IMI associated with S aureus. Additional challenge trials should be carried out to evaluate substantial protection against S aureus under the commercial farm conditions.

  • PDF

Newcastle병(病) 바이러스감염(感染)에 의(依)한 면역반응억제(免疫反應抑制) (Depression of Immune Response by Newcastle Disease Virus Infection)

  • 김환종;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9-87
    • /
    • 1979
  • Newcastle병(病) 바이러스(L-NDV)가 ICR 마우스의 세포성(細胞性), 체액성(體液性) 면역반응(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2-NDV($10^6$EID/mouse)를 SRBC($10^6$EID_{50}/mouse)로 면역(免疫)하기 전후(前後) 또는 동시(同時)에 미정맥내(尾靜脈內)로 감염(感染)시키고 면역(免疫) 4일(日)에 SRBC($10^8$세포/mouse)를 challenge하여 24시간후(時間後)에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을 검사(檢査)하였으며, 동시(同時)에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능(形成能), 말초순환(末梢循環) 혈액내(血液內)의 임파구(淋巴球)의 수(數), 그리고 SRBC에 대(對)한 응집항체가(凝集抗體價) 및 용혈항체가(溶血抗體價)를 측정(測定)하였다. 한편 NDV 감염(感染)으로 인(因)한 면역반응(免疫反應) 억제기전(抑制機轉)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L-NDV를 가온(加溫) 불활화(不活化)하거나(H-NDV), 자외선(紫外線)에 조사(照射)시켜(UV-NDV) 마우스에 투여(投與)하거나, L-NDV로 유도(誘導)한 마우스조제(粗製) interferon(C-IF)을 투여(投與)하여 발현(發現)되는 반응(反應)을 측정(測定), 비교(比較)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을 SRBC로 면역전(免疫前) 오는 면역후(免疫後)에 L-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 모두 억제(抑制)되었으며 그 억제정도(抑制程度)는 바이러스 감염(感染)과 항원주사(抗原注射)와의 간격(間隔)이 길면 길수록 심(甚)하였다. 그러나 UV-NDV나 H-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의 족척종창반응(足蹠腫脹反應)은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대체적(大體的)으로 경미(輕微)하거나 전혀 억제(抑制)가 인지(認知)되지 않았다. 한편 C-IF나 C-IF를 가온불활화(加溫不活化)한 C-IFh를 투여(投與)한 군(群)에서의 족척종창(足蹠腫脹)은 정도(程度)의 차이(差異)는 있으나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율(形成率)은 바이러스 감염(感染)으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는데 그 감소(減少)의 정도(程度)는 면역전(免役前) 또는 면역(免疫)과 동시(同時)에 바이러스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 면역후(免疫後) 바이러스를 감염(感染)시킨 군(群)보다 심(甚)하였다. 한편 UV-NDV나 H-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률(形成率)은 L-NDV 접종군(接種群)에 비(比)하여 약간(若干) 경미(輕微)한 감소(減少)를 보이거나 또는 비슷한 양상(樣相)을 보여 대조군(對照群)보다는 현저(顯著)히 억제(抑制)된 결과(結果)를 보였다. 또한 마우스에 C-IF를 투여(投與)하면 비장세포(脾臟細胞)의 로젤형성률(形成率)은 억제(抑制)되었으나 C-IFh를 투여(投與)하면 오히려 로젤형성률(形成率)이 증가(增加)되었다. 체액성면역반응(體液性免疫反應)은 면역전(免疫前) 24 및 48시간(時間)에 L-NDV를 접종(接種)한 군(群)에서는 현저(顯著)히 억제(抑制)되었으나, 면역전(免疫前) 9시간(時間), 면역(免疫)과 동시(同時) 또는 면역후(免疫後)에 L-NDV를 접종(接種)한 대조군(對照群)과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순환혈액내(循環血液內) 임파구수(淋巴球數)는 면역전(免疫前) 48 또는 24시간(時間)에 L-NDV를 접종(接種)하면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나, 면역전(免疫前) 9시간(時間) 또는 면역(免疫)과 동시(同時)에 L-NDV를 접종(接種)하면 오히려 그 수(數)가 증가(增加)되었다. 이상(以上)의 실험결과(實驗結果) SRBC에 대(對)한 세포성(細胞性) 면역반응(免疫反應)의 억제(抑制)는 NDV가 afferent limb과 efferent limb를 모두 억제(抑制)하여 야기(惹起)되는 체액성(體液性) 면역반응(免疫反應)의 억제(抑制)는 NDV가 afferent limb만을 억제(抑制)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NDV 감염(感染)으로 인(因)한 면역반응억제(免疫反應抑制)는 interferon과 바이러스의 직접적(直接的)인 작용(作用)에 기인(基因)됨을 강력(强力)히 시사(示唆)한다.

  • PDF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환자에서 복강액내의 Cytokine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ytokine in Peritoneal Fluid of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강정배;박제용;김범;김성주;손우석;김현태;장봉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91-97
    • /
    • 2000
  • Objective: The presence of the various cytokines in human peritoneal fluid has been evaluated incompletely. Changes in cytokine levels may be related to activation of peritoneal macrophage and T-lymphocyt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This study assesses peritoneal fluid levels of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interleukin-10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 infertile women with endometriosis and normal women without endometriosis. Design: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Cytokine levels in peritoneal fluid obtained during laparotomy or laparoscopy from 21 patients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24 controls undergoing laparotomy or laparoscopy with no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he mean levels of interleukin-6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controls were $72.7{\pm}23.7$ pg/ml and $18.5{\pm}9.7$ pg/ml respectively (p=0.02). Similarly, the mean levels of interleukin-8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445.0{\pm}89.6$, vs $45.1{\pm}48.4$, p=0.04). The mean concentration of interleukin-10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s ($1.09{\pm}0.04$ vs $2.19{\pm}0.03$, p=0.03). The level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tudy groups. Conclusions: Increased IL-6 and IL-8 and decreased IL-10 level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d to pathogenesis in the endometriosis and infertility,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infertili women with endometriosis.

  • PDF

코디세핀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dycepi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서민정;강병원;김민정;이혜현;서권일;김광혁;정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8-72
    • /
    • 2014
  • 본 연구는 동충하초(Cordyces militaris) 유래의 기능성 물질인 코디세핀의 면역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코디세핀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복강세포는 코디세핀의 작용에 의해 IL-$1{\beta}$, IL-12, TNF-${\alph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대되어 초기 염증매개 반응을 유도하여 선천면역반응의 활성화와 그리고 면역작용에 있어 후기 적응면역의 전환으로의 T 림프구의 활성화가 예상된다. 또한 IL-6의 생성증대로 활성화된 T 림프구에 의해 B 림프구의 항체생성반응을 매개하는 면역반응도 상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염증매개인자인 NO와 $H_2O_2$의 생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대식세포의 독성작용을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H_2O_2$의 후기 생성을 저해하였는데 이는 염증반응에 유도될 수 있는 세포의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코디세핀은 외부인자로부터 염증매개성 면역반응의 증강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황의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세포성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ulfur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of Laying Hens)

  • 임천익;최호성;강창원;이병건;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7-107
    • /
    • 2018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에 유기황의 수준별 첨가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세포성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31주령 로만브라운종에 분말 형태의 유기황을 기초사료에 0%, 0.1%, 0.2%, 0.4%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8수씩 전체 360수를 수용하여 24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란 수와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고, 계란품질은 8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난황지방산과 혈액은 산란계 42와 54주령에 분석하였으며, 계란의 황 함량, IL-2 및 CD4+와 CD8+은 사양실험 종료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31~38주령에 산란율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39주령 이후 유기황의 급여수준에 따라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47~54주령의 산란율은 0.4%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계란의 난백높이와 호우유닛은 유기황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계란의 난황 내 다중불포화지방산은 첨가수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유기황 수준이 증대됨에 따라서 불포화 지방산은 증가하였고, 포화지방산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54주령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P<0.05). 계란에서 황 함량은 유기황 첨가 수준에 증대함에 따라서 증가되었다(P<0.05). 또한 혈청 알부민은 42주령에서 유기황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AST는 감소하였다(P<0.05). 단백질은 42주령의 산란계에서 유기황 급여에 따라 현저히 증대되었고(P<0.05), HDL 콜레스테롤은 유기황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비장과 혈중 IL-2 및 CD4+/CD8+도 유기황의 첨가수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그러므로 산란계에 0.4% 유기황의 첨가급여로 생산성, 계란품질 및 세포성 면역능력은 개선되었다.

결핵성 흉수에서 IL-10, IL-12, IFN-$\gamma$, ADA 측정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IL-10, IL-12, IFN-$\gamma$ and ADA in Tuberculous Pleural Fluid)

  • 전두수;윤상명;박삼석;이효진;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01-310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면학적으로 흉강내에 국소적으로 활성화된 CD4+ T림프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helper T cell type 1 (Th1) 사이토카인인 IL-12 및 IFN-$\gamma$와 Th2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10간의 균형이 세포매개반응의 정도를 결정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매개면역반응의 지표로서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이들과 길항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있는 Th2 사이토카인 중 IL-10이 결핵성 흉수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검사하여 대조군인 악성 흉수와 비교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변역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사이토카인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각 20명의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와 혈장에서 IL-10, IL-12, IFN-$\gamma$를 측정하고 흉수에서의 ADA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이토카인은 대상환자의 혈액과 흉수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ADA 활성도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121.3{\pm}83.7$ pg/mL, $571.4{\pm}472.7$ pg/mL, $420.4{\pm}285.9$ pg/mL로 혈장의 $21.2{\pm}60.9$ pg/mL, $194.5{\pm}67.6$ pg/mL, $30.1{\pm}18.3$ pg/mL 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악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88.4{\pm}40.4$ pg/mL, $306.5{\pm}271.1$ pg/mL, $30.5{\pm}54.8$ pg/mL로 혈장의 $43.4 {\pm}67.2$ pg/mL, $206.8{\pm}160.6$ pg/mL, $14.6{\pm}3.3$ pg/mL와 비교하였을때 IL-10 만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IL12, IFN-$\gamma$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의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IL-12, IFN-$\gamma$, AD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46, <0.001, <0.001) IL-1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수염을 악성 흉수염과 감별하는데 있어 IL-12, IFN-$\gamma$, ADA의 기준을 각각 300 pg/mL, 100 pg/mL, 45 U/L으로 하였을때 민감도/특이도는 IL-12에서 60%/70%, IFN-$\gamma$에서 90%/85%, ADA 에서 85%/90%였다. 결 론: 결핵성 흉수에서 흉강내에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함께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흉수와 비교했을때 IL-12, IFN-$\gamma$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IL-10은 의의가 없었다. 따라서 결핵성 흉막염의 면역기전에 Th1 경로의 세포매개변역반응이 주로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소적인 IL-10 증가의 임상적 의의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FN-$\gamma$와 ADA는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와의 감별에 유용한 진단법으로 생각된다.

  • PDF

C57BL/6 생쥐에서 전해알칼리환원수가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과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lyzed Alkaline Reduced Water on Echinostoma hortense Infection and Immune Response in C57BL/6 Mice)

  • 김동희;등영건;김단;황학수;최주봉;김광용;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11-19
    • /
    • 2008
  • 전해알칼리환원수가 동물의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장에서 기생하는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을 이용하여 C57BL/6 생쥐 소장과 혈액에서의 면역반응을 관찰하였다. C57BL/6 생쥐에 호르텐스극구흡충 피낭유충을 마리 당 15개 경구감염 시킨 후 2주 경과하여 충체를 회수하였고 소장 점막의 배상세포와 비만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protein chip을 이용하여 혈청 내 cytokine의 변화를 비교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호르텐스극구흡충을 감염시킨 군에서는 평균 8.3마리, 알칼리환원 수를 급이한 군에서는 평균 10마리의 충체를 회수하였다. 배상 세포 변화의 관찰에서는 호르텐스극구흡충을 감염시키고 전해알칼리환원수를 급이한 실험군이 융모 당 평균 4.3개 관찰되어 배상세포의 발현이 적은 것으로(p<0.001) 나타났다. 비만세포 변화의 관찰에서도 호르텐스극구흡충을 감염시키고 전해알칼리환원수를 급이한 실험군에서 응모 당 평균 11개 관찰되었고 정수물을 급이한 호르텐스 감염 대조군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p<0.001). 마우스 혈청 내에서의 cytokine 발현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 Th1 cytokine인 IL-6, IL-$1{\beta}$, IFN-${\gamma}$, TNF-${\alpha}$, Il-2 등과 Th2 cytokine인 IL-4, IL-5, IL-10, IL-13 등의 발현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전기분해 알칼리환원수가 호르텐스극구흡충의 감염에 있어 C57BL/6 마우스에서 장점막조직의 배상세포 수 및 mucin terminal sugar의 변화를 억제하고 아울러 이로 인해 충체배출이 지연되며, 알칼리환원수가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C57BL/6 마우스에서 혈청 내 cytokine의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중 크릴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Levels on the Cell Mediated Immunity in Intra-muscularly Croton Oil Injected Broiler Chicks)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99-610
    • /
    • 2007
  • 근육내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 중 크릴 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수컷에 크릴 밀 0.0(기초사료), 0.5, 1.0 및 2.0% 사료를 급여하고 3주간 사육하였다. 20일령에 10㎕의 파두유를 정강이 근육내에 주입하였고, 24시간 뒤(21일령)에 혈중 TNF-α 활성과 오보트렌스훼린 수준 및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도를 올리브유를 주입한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크릴 밀 사료는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혈장 오보트렌스훼린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크릴 밀 0.0% 사료에 비해서 유의하게(p<0.0001) 혈장 TNF-α 활성을 감소시키고 PBMC 증식도를 높였다. 비장 세포증식도는 크릴 밀 1.0% 사료에서 유의하게(p=0.01) 높았다. 파두유 주입은 혈중 TNF-α 활성(p<0.0001), 오보트랜스훼린 수준 및 PBMC증식도(p<0.0001)를 높였다. 파두유 주입 시에 PBMC 증식도는 사료중 크릴 밀 수준에 따라 점차 감소(p<0.05) 하였고 비장세포 증식도는 크릴 밀 1.0 및 2.0% 사료에서 유의하게(p< 0.05)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사료중 크릴밀이 파두유 주입으로 활성화한 선천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색인:파두유(croton oil), tumor necrosis factor -α(TNF-α),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 크릴 밀, 육계 병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