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formation

검색결과 4,024건 처리시간 0.027초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Methotrexate에 의해 발생한 간질성 폐렴 1예 (A Case of Methotrexate Induced Pneumonitis in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 박찬석;이상학;심건호;김완욱;이숙영;김석찬;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73-277
    • /
    • 2004
  • 저자들은 급성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임상소견과 흉부 방사선소견, 기관지폐포세척액 및 경기관지폐생검을 통해 methotrexate에 의한 간질성 폐렴 1예를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ilament, the Universal Nersery of Stars: Progress Report on TRAO Survery of Nearby Filamentary Filamentary Molecular Clouds

  • Kim, ShinYoung;Chung, Eun Jung;Lee, Chang Won;Myers, Philip C.;Caselli, Paola;Tafalla, Mario;Kim, Gwanjeong;Kim, Miryang;Soam, Archana;Gophinathan, Maheswar;Liu, Tie;Kim, Kyounghee;Kwon, Woojin;Kim, Jongsoo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79.2-79.2
    • /
    • 2017
  • To dynamically and chemically understand how filaments, dense cores, and stars form under different environments, we are conducting a systematic mapping survey of nearby molecular clouds using the TRAO 14 m telescope with high ($N_2H^+$ 1-0, $HCO^+$ 1-0, SO 32-21, and $NH_2D$ v=1-0) and low ($^{13}CO$ 1-0, $C^{18}O$ 1-0) density tracers. The goals of this survey are to obtain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low dense filaments and their dense cores for the study of their origin of the formation, to understand whether the dense cores form from any radial accretion or inward motions toward dense cores from their surrounding filaments, and to study the chemical differentiation of the filaments and the dense cores. Until the 2017A season, the real OTF observation time is ~760 hours. We have almost completed mapping observation with four molecular lines ($^{13}CO$ 1-0, $C^{18}O$ 1-0, $N_2H^+$ 1-0, and $HCO^+$ 1-0) on the six regions of molecular clouds (L1251 of Cepheus, Perseus West, Polaris South, BISTRO region of Serpens, California, and Orion B). The cube data for $^3CO$ and $C^{18}O$ lines were obtained for a total of 6 targets, 57 tiles, 676 maps, and $7.1deg^2$. And $N_2H^+$ and $HCO^+$ data were added for $2.2deg^2$ of dense regions. All OTF data were regridded to a cell size of 44 by 44 arcseconds. The $^{13}CO$ and $C^{18}O$ data show the RMS noise level of about (0.1-0.2) K and $N_2H^+$ and $HCO^+$ data show about (0.07-0.2) K at the velocity resolution of 0.06 km/s. Additional observations will be made on some regions that have not reached the noise level for analysis. To identify filaments, we are using and testing programs (DisPerSE, Dendrogram, FIVE) and visual inspection for 3D image of cube data. A basic analysis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each filament is underway.

  • PDF

LMK02의 품질규격화와 $A{\beta}$ 올리고머에 의해 유도된 희주해마 H19-7세포주에 미치는 항치매효과 (Standardization of Qual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lzheimer in $A{\beta}$ Oligomer-induced H19-7 Cells by LMK02)

  • 강형원;김상태;손형진;한평림;조형권;이영재;류영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97-404
    • /
    • 2009
  • For standardization of LMK02 quality, Ginsenoside Rg3 of Red Ginseng and Decursi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constituents of LMK02 were estimated as indicative components. From LMK02 water extract, has been used in vitro test for its beneficial effects on neuronal survival and neuroprotective functions,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APP-related dementias and Alzheimer's disease (AD). $A{\beta}$ oligomer derived from proteolytic processing of the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including the amyloid-${\beta}$ peptide ($A{\beta}$),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ementia. We determined that oligomer amyloid-${\beta}$ ($A{\beta}$) have a profound attenuation in the increase in rat hippocampus H19-7 cells from. Experimental evidence indicates that LMK02 protects against neuronal damage from cells, but its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remain unknown. Using a hippocampus cell line on $A{\beta}$ oligomer-induced neuronal cytotoxicity, we demonstrated that LMK02 inhibits formation of $A{\beta}$ oligomer, which are the behavior, and possibly causative, feature of AD. In the Red Ginseng, the average amounts of Ginsenoside Rg3 were $47.04{\mu}g/g$ and $42.3{\mu}g/g$, 90 % of its weight were set as a standard value. And, in the Angelica gigas Nakai, the average amounts of Decursin were 2.71 mg/g and 2.44mg/g, 90 % of its weight were also set as a standard value. The attenuated $A{\beta}$ oligomer in the presence of LMK02 was observed in the conditioned medium of this $A{\beta}$ oligomer-induced cells under in vitro. In the cells, LMK02 significantly activated antiapoptosis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of R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onal damage in AD might be due to two factors: a direct $A{\beta}$ oligomer toxicity and multiple cellular and molecular neuroprotective mechanisms, including attenuation of apoptosis and direct inhibition of $A{\beta}$ oligomer, underli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LMK02 treatment.

여로의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 (Three Melanogenesis Inhibitors from the Roots of Veratrum nigrum)

  • 김호정;강상진;강세훈;김철환;정민환;진무현
    • 생약학회지
    • /
    • 제33권4호통권131호
    • /
    • pp.399-403
    • /
    • 2002
  • 국내외의 각종 피부관련 약재를 중심으로 천연물 data-base를 구축하고, 이로부터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한방 약재를 추출, 용매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들을 B16 melanoma cell assay를 이용하여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들 중 특히 미백효과가 우수한 여로(藜蘆, Veratrum nigrum L.)의 뿌리를 대상으로 성분연구하여 3개의 미백유효성분인 (3S,20S,25S)-22,26-iminocholesta-5,22(N)-dien-3-ol (verazine), (3S,20R,25S)-22,26-iminocholesta-5,22(N)-dien-3-ol (epi-verazine) and (3R,23R)-14,15,16,17-tetradehydroveratraman-3,23,diol (veratramine)을 분리, 구조분석하였다. 여로로부터 분리된 3종의 미백 유효성분은 흑화 작용의 주요 효소인 tyrosinase에 대한 작용은 확인할수 없었으나, B16 F1 mouse melanoma에 대한 멜라닌 합성 억제능은 $IC_{50}<1\;{\mu}g/ml$로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강한 멜라닌 합성 저해능을 갖는 이들 물질들의 안전성 확인을 통하여 향후 새로운 미백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Bacillus CGTase의 표층발현 (Surface Display of Bacillus CGTase on the Cell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현철;임채권;김병우;전숭종;남수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8-123
    • /
    • 2005
  • B. stearothermophilus 유래의 CGTase 유전자(cgtS)를 보유하고 있는 재조합 plasmid pCGTS (4.8 kb)을 효모 표면 발현용 vector인 pYDl (GAL1 promoter)에 subcloning 하였다. 구축된 재조합 plasmid, pYDCGT (7.2 kb)는 S. cerevisiae EBY100에 형질전환하였고, tryptophan이 결여된 SD 배지에서 1차 선별된 형질전환체들을 YPGS배지에서 배양 후 활성 염색을 통하여 CD가 생 성 됨을 확인하였다. 배양시간과 효소반응시간에 따른 반응 산물을 TLC로 분석 한 결과, 배양 12시간째부터 효소활성이 나타났고, 반응 10분 이후부터 CD가 생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CD 생성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분 배양한 결과 $25^{\circ}C$$30^{\circ}C$에서 CGTase의 최대 활성이 각각 21.3 unit/1 와 16.5 unit/1로 나타났고, plasmid 안정성은 각각 $86\%$$82\%$로 나타나 배양온도에 상관없이 plasmid는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옥수수 일차뿌리에서 oryzalin이 굴중성 반응과 에틸렌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ryzalin on the Gravitropic Response and Ethylene Production in Maize Roots)

  • 김충수;티모시 멀키;김종식;김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23-1229
    • /
    • 2015
  • Oryzalin은 미세소관을 분열시키는 dinitroaniline계의 제초제이다. 미세소관과 미세섬유는 평형석 침강과 세포벽을 구성하는 세포골격들이다. 평형석은 뿌리 끝에 있는 columella 세포에서 중력 인지 조절을 한다. 본 연구는 oryzalin이 옥수수 일차 뿌리에서 ethylene 생성을 통하여 굴중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뿌리 끝 부분에 10-4 M oryzalin의 처리는 뿌리 성장과 굴중성 반응을 저해하였으나, 신장대에 처리하게 되면 저해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10-4 M oryzalin을 뿌리 끝에 15시간 처리하면 뿌리 끝의 생장이 억제되고 둥근 형태로 부풀었다. 에틸렌의 전구물질인 ACC를 뿌리 끝에 처리하여도 굴중성 반응이 억제되었다. Oryzalin의 작용과 에틸렌 생성에 대한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oryzalin 처리 후 에틸렌 생성을 측정하였다. Oryzalin 처리에 의해 ACC oxidase와 ACC synthase의 활성이 증가되어 에틸렌 생성이 촉진되었다. Oryzalin은 ACO와 ACS의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 시켰다. Indole-3-acetic acid (IAA)는 굴중성 반응 동안 관찰되는 비 대칭적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oryzalin이 뿌리 끝에서 IAA transport를 억제하여 뿌리 신장대의 윗면과 아랫면의 IAA 양의 차이를 감소시키고, 또한 에틸렌 생성을 촉진하며 미세소관의 배열을 방해하여 뿌리 글중성과 생장을 억제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심장과 뇌 발달에서 GATA6 유전자 발현 감소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xpression of GATA Binding Protein 6 on Heart and Brain Development)

  • 서정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30-1234
    • /
    • 2015
  • GATA binding protein 6 (GATA6)는 초기 배반포 단계에서 발현이 시작되어, 심장, 췌장, 장 등의 분화와 발달에 중요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GATA6의 세포 분화와 개체 발달 과정에서의 역할을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와 zebrafish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마우스 배아줄기세포를 박동하는 pacemaker 심근세포로 분화 유도하였다. RT-PCR을 실시하여 심근세포 분화 과정에서 GATA6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Gata6의 발현이 분화 4일째부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GATA6 유전자의 발현 증가는 심장 발달에 필수적인 전사인자인 NK2 homeobox 5 (Nkx2.5)나 myocyte enhancer factor 2C (MEF2C)의 발현 증가에 앞서 나타났다. GATA6 유전자가 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GATA6의 morpholino를 zebrafish 배아에 microinjection하여 발생 변화를 관찰하였다. GATA6의 발현을 knockdown시킨 zebrafish의 심장은 크기가 감소하였고, 심박동률 또한 감소하였다. 한편, 뇌에서는 전체적인 뇌 퇴행이 관찰되었는데, acridine orange로 염색 한 결과, 뇌 전체에서의 세포사멸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도, GATA6의 발현 감소는 초기 bud 단계에서는 오히려 세포사멸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심장과 뇌 발달에서의 GATA6 유전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한국의 토양으로부터 내열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Bacillus sp. JE 375의 선별 (A Thermostable Protease Produced from Bacillus sp. JE 375 Isolated from Korean Soil)

  • 김지은;배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9-426
    • /
    • 2006
  •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토양에서 분리한 25종의 내열성 균주 중 내열성 단백질 기수분해효소 활성을 갖는 균주 strain JE 375를 선별하였다. 본 균주는 gram 양성 간균의 특징을 나타냈으며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와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에 준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catalase 양성, 포자형성, motility 양성, glucose 발효, mannitol 발효, xylose 산화, hemolysis ${\beta}$균임을 보아 Bacillus sp.으로 추정 되었다. Strain JE 375의 whole cell fatty acid를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 $C_{15:0}$ iso 26.17%, $C_{16:0}$ iso 13.01%, $C_{17:0}$ iso 30.19%로 분석되어 Bacillus 계열로 동정되었다. 16S rDNA sequence분석 결과 strain JE 375는 Bacillus caldoxylolyticus와 sequence가 97.6% 일치하는 유사성을 보였으나 부분적으로 sequence의 차이가 있고 gene bank data base상에서 16S rDNA sequence가 일치하는 균주는 검색되지 않았다. 이 같은 실험 결과에 따라 strain JE 375는 기존에 발표되지 않은 새로운 균주로 판단되어 Bacillus sp. JE 375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JE 375은 tryptone 1%, yeast extract 0.5%, NaCl 1%, maltose 1%의 배지조성분과 배양 온도 $65^{\circ}C$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생산하였다. Bacillus sp. JE 375로부터 단백질 분해 효소를 acetone으로 침전시키고 DEAE-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효소를 정제하여 SDS-PAGE를 통해 확인한 결과 55 kDa 크기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효소의 최적 배양 온도는 $65^{\circ}C$이었으며 배지의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pH에 대한 안정성은 중성 부근의 pH에서 효소 활성의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효소의 반응 조건을 검토한 결과 중성 조건에서 안정하였으며, $60^{\circ}C$의 고온에서 활성을 가졌다. 효소 활성은 1 mM $CaCl_2$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

La$_2O_3$-변형 BaTi$O_3$의 안정한 결함구조 (Stable Defect Structure of La2O3-Modified BaTiO3)

  • 김정수;박휴범;안태호;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9-318
    • /
    • 1994
  • La$_2O_3$-변형 BaTi$O_3$의 안정한 결함구조와 단일상 영역을 X-선 회절분석기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La$_2O_3$-변형 BaTi$O_3$의 안정한 결함구조는 La$^{3+}$ 이온이 격자구조내의 Ba$^{3+}$ 이온을 치환하고 Ti빈자리가 전하 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한 결함으로 생성된 [($Ba^x_{Ba})_{1-2x}(La{\cdot}_{Ba})_{2x}][Ti^x_{Ti})_{1-x/2}(V""_{Ti})_{x/2}]O_3$이다. 안정한 결함구조가 형성되도록 BaTi$O_3$에 La$_2O_3{\cdot}3/2TiO_3$를 혼입할 때 단위격자는 약 3 mol%가 혼입될 때부터 정방정에서 입방정으로 변하였고, 고용한계는 약 14 mol%이었다. La2$O_3{\cdot}3/2TiO_2$를 고용한계 이상으로 혼입할 때는 이차상으로 La_4Ba_2Ti_5O){18}$가 생성되었다. La$_2O_3$-변형 BaTi$O_3$ 조성에서 BaO가 과량 존재하면 소결성이 나쁘지만, Ti$O_2$가 과량으로 존재하면 액상소결에 의하여 소결성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바이러스 유래 시스타틴 재조합 단백질의 곤충 면역 및 발육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 Recombinant Viral Cystatin Protein on Insect Immune and Development)

  • 김영태;엄성현;박지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1-338
    • /
    • 2014
  • 시스타틴(cystatin: CST)은 C1A류 시스테인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경쟁적 가역억제자로서 동식물류에서 파파인과 같은 캐셉신을 억제대상으로 작용하게 된다. 바이러스 유래 CST (CpBV-CST1)이 폴리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CpBV (Cotesia plutellae bracovirus)에서 동정되었다. 기존 연구는 이 유전자의 과발현이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유충의 면역 및 발육을 교란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이 유전자의 단백질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세균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단백질(rCpBV-CST1)을 형성하여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활성억제효과를 결정하고, 곤충의 면역과 발육에 대한 생리적 억제효과를 분석했다. 이 유전자 번역부위는 138 개 아미노산으로 약 15 kDa 크기의 단백질로 추정되었다. CpBV-CST1이 먼저 pGEX 발현벡터에 재조합되고, BL21 STAR (DE3) competent cells에 형질전환된 후 0.5 mM IPTG로 4 시간동안 과발현되었다. 분리된 재조합단백질은 파파인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 재조합단백질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해서 혈구소낭형성의 세포성 면역반응을 억제하고, 경구로 처리할 때 배추좀나방의 유충발육을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제한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CpBV-CST1이 해충 밀도 억제에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