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Broadcasting Servic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 연구 (A Study on Internet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Adaptive to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 안소영;전인찬;김지희;이용태;최성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98-605
    • /
    • 2015
  • 효과적으로 경보를 전달하면 재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경보 전달 채널을 다양화 하는 것이 경보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경보시스템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경보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CBS (Cell Broadcasting System)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자동재난경보 시스템(이하 T-DMB 재난경보방송)은 콘텐츠의 제한, 수신 기기의 제한, 단방향 서비스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SS (Rich Site Summary)를 활용한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사례를 분석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계한 결과를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내 공간에서 CBS 기능을 이용한 DMB용 재난정보 전송 (A Delivery Scheme of Alert Message for DMB Using CBS in Indoor Environments)

  • 전경호;장석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6-257
    • /
    • 2013
  • 최근 동일본 대지진 또는 중국 쓰촨성 대지진 등 국가적인 재해 재난이 한반도 주변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도 마찬가지로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되기도 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재난지역 내의 주민들이 지역상황을 인지하고 대피하게 할 수 있다면,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보급률이 뛰어나고 개인 휴대형 기기인 휴대전화기를 통한 재난방송 기능이 제안되었다. 여기에는 재난 방송의 특성상 지연시간과 수신율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방송 (broadcasting)개념이 도입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한 번에 수신할 수 있도록 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현실적으로 LTE (Long Term Evolution) 망에서만 가능하며 3세대 통신,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에서는 대기전력 소모에 의한 배터리 소요로 제외되었다. 본 지에서는 CBS를 이용하여 WCDMA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게도 DMB를 통해 재난상황을 인지 할 수 있는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 PDF

DVB-H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전력 효율적인 셀 탐색 기법 (Power Efficient Cell Searching Scheme for Handover in DVB-H System)

  • 박형근;조재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66-68
    • /
    • 2006
  •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for Handhold) is a new standard, currently being developed, which defines mobile enhancements for the DVB-T (DVB-Terrestrial) standard. For the reception of service via mobile handhold devices, seamless mobility and power saving are essential requirements of DVB-H. For seamless handover, the receiver should monitor neighboring cells and it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And so, power efficient handover scheme to support both mobility and power saving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cell searching schem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frequency scanning during the handover. Through the numerical evaluation, we analyzethe performance of handover schemes.

  • PDF

셀 브로드캐스팅 보안 인증시스템 및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ell-Broadcasting Based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and Business Models)

  • 최정문;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25-333
    • /
    • 2021
  • 공유 서비스나 사물인터넷기술이 확산됨에 따라 보안인증이 적용되어야 하는 분야와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동을 전제로 하는 서비스들에 있어서는 기존의 개인 소유물이나 특성에 관한 보안인증만으로는 충분치가 않아서 위치에 기반한 인증기술들도 개발이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위치기반 보안인증기술의 대부분은 주로 서버 근접도나 위성위치추적을 활용하는 기술로 개발이 되고 있어서 그 활용의 범위가 좁고 이동 시 핸드오버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위치기반 보안인증기술보다 그 활용의 범위가 넓고 따라서 편의성과 사업성이 높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기술 활용 위치기반 보안인증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응용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들을 소개하였다. 기술 개발의 현황과 아울러 이를 활용하여 사업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자세히 분석하였다. 여기서 제안된 셀브로드캐스팅 보안인증시스템은 다각화되고 있는 미래형 비즈니스모델의 근간이 되는 기술이며 기존의 위치인증방법 및 시스템을 보완한 모델로 그 의미가 있다.

위성 DMB GF Network의 설계 기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 of Design of GF Network for Satellite DMB)

  • 노순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83-188
    • /
    • 2008
  • 위성 DMB는 비가시거리 지역인 위성신호의 전파음영지역이 존재하고, 이러한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Gap Filler(GF)를 사용한다. GF는 중계기로써 위성 DMB System은 단말기의 이동수신을 보장하기 위해 GF Network을 반드시 구축해야 하며 GF의 커버리지는 Cell or Sector를 형성하게 되어 다수의 GF가 인접하여 설치되면 간섭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위성 DMB 시스템과 GF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경감할 수 있는 GF Network의 설계 기초 방안에 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GF와 단말기간의 거리가 4.6Km을 벗어나면 상호 간섭으로 작용하여 품질열화가 발생하여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짐을 확인하였다.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Method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 황우석;표경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80-90
    • /
    • 2022
  • 현재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별로 발령 방식에 차이가 있고 중앙에서 자자체까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문자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경보서비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자동우량경보시설, 자동음성통보시설, 재해문자전광판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이 간급한 재난경보 현장에서 각각의 매체별로 재난경보 발령 방식의 차이를 두고 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전달되는 내용 또한 통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를 받는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체별 경보의 내용이 상이하여 혼란을 받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통합된다면 음성·영상·데이터 등 재난정보의 공유와 통합관리를 통해 종합적으로 재난 상황의 판단 및 의사결정이 가능함으로써 상황 파악과 현장 대응에 소요되는 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속한 정보전달과 정확한 상황 파악을 통해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기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재난 예경보 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모바일 폰 기반에서 통합의학적 진단을 위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ive Medicine Diagnosis based on Mobile phones)

  • 이민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3-259
    • /
    • 2011
  •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에 통합의학을 이용한 간단한 건강상태의 진단은 시간과 장소, 컴퓨터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세상을 선도하는 핵심 중 하나가 모바일 인터넷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매개체는 모바일폰이다. 그 중심이 되는 모바일폰을 이용한 건강관리는 바쁜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꼭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모바일폰에서 제작된 사진, 동영상, 녹음소리 등의 콘텐츠를 모바일 카페(Cafe), 블로그(Blog), 미니홈페이지(Mini Homepage) 등에 연동하기 위해서 왑서비스를 중단하고 모바일 콘텐츠를 업로드한 다음 다시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 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폰 사용자가 왑(WAP)서비스 접속중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고 모바일폰으로 촬영된 다양한 사진, 동영상, 녹음소리 등을 왑서비스 이용환경에서 업로드가 지원되고 통합의학적 진단의 내용들이 카테고리별로 콘텐츠가 분류되어 관리 될 수 있는 콘텐츠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Planning of Gap Filler Networks in Satellite DMB Systems for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 Noh, Sun-Kuk;Yun, Tae-Soon;Choi, Dong-You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5호
    • /
    • pp.494-498
    • /
    • 2011
  •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DMB) systems use gap fillers (GFs) to provide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to non-line-of-sight locations. GFs act as repeaters, and S-DMB systems require GF networks in order to guarantee mobile reception. Each GF covers a cell or sector. In order to provide contiguous coverage of an area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r sectors, multiple GFs are needed. However, when multiple GFs are situated close to each other, interference is likely to occur. As a result,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system-level environments for planning the design of interference-free GF networks in S-DMB systems. Our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S-DMB services are unavailable because of quality deterioration caused by interference when the delay attributable to a GF and the satellite signals exceeds ${\pm}$256 chip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F and its reception terminal is greater than 4.6 km.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conducted a field test that confirmed that the above-mentioned time delay can be controlled in such a way as to ensure high quality S-DMB services.

코로나 시대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활용 현황분석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Cell Broadcasting Service in post-COVID-19)

  • 정상구;정우석;이용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4
    • /
    • 2020
  • 코로나와 같은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의 확산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광역적으로는 방역 및 위생 수칙에 대한 정보 제공이 요구되며, 개개인별로는 접촉 등 전파 위험에 노출된 상황이나 장소 등에 대한 신속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부합하는 재난경보 매체로는 개인이 보유한 휴대폰 단말을 통해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필요한 지역 및 시간에 일괄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코로나 대응을 위해 국내를 비롯한 각국에서의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시대에 따른 여러 나라의 긴급재난문자 활용에 대해 분석하고 앞으로의 긴급재난문자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대용량 파노라마 비디오 스트리밍의 성능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treaming of High Capacity Panoramic Video)

  • 김영백;김태호;이대규;김재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3-153
    • /
    • 2010
  • 인터넷, 이동통신 및 방송분야에 걸쳐 고화질 파노라마 비디오를 제공할 경우 고압축률과 임의 접근 기능 모두를 만족하는 적절한 비디오 코덱이 요구된다. 사용자 측면에서 고압축률은 대용량 파노라마 데이터의 비디오 스트리밍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임의 접근 기능은 시점과 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 효율이 높은 H.264/AVC를 기반으로 셀 단위 병렬 처리 기법을 통해 10Mbps 대역폭에서 대화면 파노라마 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성능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전체 화면을 $256{\times}256$ 이하 크기의 셀로 나누어 인코딩하고 현재 뷰(view)에 포함된 셀들만 디코딩한다. 이때 인코딩/디코딩은 셀 단위로 병렬 처리한다. 또한 현재 뷰에 포함된 셀들만 전송함으로써 블록 추출 없이 임의 접근 기능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