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e

검색결과 3,401건 처리시간 0.029초

불어의 "묵음 e (e muet)"에 관한 연구 (Some notes on the French "e muet")

  • 이정원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31_32호
    • /
    • pp.173-193
    • /
    • 1996
  • 불어의 "묵음 e(e muet)"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까다롭다. 불어에서 "e"가 "묵음 e(e muet)"로 불리우는 이유는 "e"가 흔히 탈락되기 때문이다. 현재 "e muet"는 다음 발화체에서 볼 수 있듯이 열린음절에서만 나타난다. "Je/le/re/de/man/de/ce/re/por/ta/ge/." [omitted](나는 그 리포트를 다시 요구한다. : 이 경우 실제 발화시 schwa 삭제 규칙이 적용된다.) 둘째, 접두사에 나타나는 "e muet"는 s의 중자음 앞에서 s가 유성음, [z]로 발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쓰인다. "ressembler[omitted](닮다); ressentir[omitted](느끼다)" 같은 경우, 셋째, 몇몇 낱말의 경우 고어의 철자가 약화되어 "e muet"로 발음이 되고 있다. "monsieur[$m{\partial}sj{\emptyset}$](미스터), faisan[$f{\partial}z{\tilde{a}}$](꿩), faisait[$f{\partial}z{\varepsilon}$]("하다"동사의 3인칭 단수 반과거형)"등. 또 과거 문법학자들은 이를 "여성형의 E"로 불렀는데, 이는 형태론적으로 낱말의 여성형을 남성형과 구분짓기 위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aim{\acute{e}}-aim{\acute{e}}e$"(발음은 둘 다 [${\varepsilon}me$]로 동일하다 : 사랑받다)의 경우. 현대불어의 구어체어서 "e muet"는 어말자음을 발음하기 위해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pote[pot](단짝)-pot[po](항아리)". 이러한 "e muet"는 발음상으로 지역적, 개인적 및 문맥적 상황에 따라 그 음색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며 여러 가지 음가(열린 ${\ae}$ 또는 닫힌 ${\O}$)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seul[$s{\ae}l$](홀로), ceux[$s{\O}$](이것들)"에서와 같이 발음되며, 또한 원칙적으로 schwa, [${\partial}$]로 발음이 되는 "Je[$\Im\partial$]"와 "le[$l{\partial}$]"의 경우, Paris 지역에서는 "Je sais[${\Im}{\ae}{\;}s{\Im}$](나는 안다); Prends-le[$pr{\tilde{a}}{\;}l{\ae}$](그것을 집어라)"로 발음을 하는 한편, 프랑스 북부 지방세서는 동일한 발화체를 [${\ae}$]대신에 [${\o}$]로 발음한다. 실제로 언어학적 측면에서 고려되는 "e muet"는 schwa로 나타나는 "Je[$\Im\partial$]"와 "le[$l{\partial}$]"의 경우인데, 불어 음운론에서는 schwa에 의해 대립되는 낱말짝이 없기 때문에 schwa를 음소로 인정할 것인가에 대해 논란이 있다. 그러나 불어에서 schwark 음운론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다음과 같은 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발음상으로 동사의 변화형에서 "porte[$p{\jmath}rte$](들다: 현재형), porte[$p{\jmath}rte$](과거분사형), porta[$p{\jmath}rte$](단순과거형)"등이 대립되며, 이휘 "Porto[$p{\jmath}rte$](포르토)"와도 대립된다. 둘째, 어휘적 대립 "le haut[$l{\partial}o$](위)/l'eau[lo](물)"와 형태론적 대립 "le[$l{\partial}$](정관사, 남성단수)/les[le](정관사, 복수)"등에서 "묵음 e"는 분명히 음운론적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음색이 복잡하게 나타나는 "e muet"의 문제를 리듬단위, 문맥적 분포 및 음절모형 측면, 즉 음성학 및 음운론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분석하여 그 본질을 규명해 보고 "e muet"탈락현상을 TCG(Theorie de Charme et de Gouvernement)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 PDF

광미/광폐석 처리를 위한 고형화 공정 실증 실험

  • 전지혜;최애정;김인수;이민희;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6-1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광미/광폐석을 처리하기 위하여 고형화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형화 공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MSG-E, MSG-N을 고화제로 사용하였으며 현장 광미 및 광폐석을 대상으로 고화체를 양생하고 고화체의 압축강도 및 중금속 용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화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광미/고화제 비율, 배합수/고화제 비율 그리고 고화체 양생기간을 실험인자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광미/고화제의 비율 1:1 만을 고려하더라도 중금속 용출의 급격한 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미/고화제의 비율을 3:1 이하로 유지시키는 경우, 고화체의 압축강도가 현행 폐기물 관리법(20조 관련)에서 규정하고 있는 차단형 매립시설 내부막의 압축강도 기준인 $0.21kgf/mm^2$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pH를 갖는 수용액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고화체의 중금속 용출률을 측정한 결과, 수용액의 pH가 1과 13인 강산/강염기 용액에서 일부 중금속의 용출 농도가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나, pH와 3 - 11인 경우에는 중금속 용출률이 급격히 감소하여 모두 기준치 이하를 나타내었다. 또한, pH가 1과 13인 수용액의 경우에도 고화체와 반응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고화체의 buffering 효과에 의해 수용액의 pH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접촉수의 pH가 강산이나 강염기라 하여도, 고화체의 buffering 효과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용액의 pH가 낮아져 고화체로부터의 중금속 용출은 매우 감소할 것임을 의미한다.ss of an active application defined using the model. The technique is developed in a platform- and language-independent way, and it is algorithmic and can be automated by computer program. We give an example dealing with network auction to illustrate the use of the model and the verification technique.품으로 내부 온도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으로 대류열전달계수를 결정하였다. 대류열전달계수는 792에서 2,107 W/m$^2$로 분석되었다. 대류열전달 계수는 액상식품과의 상대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고,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감소하였다.ce of precision/recall of 90.99%/92.52%, and 93.39%/93.41% respectively. 의한 변성에 부분적으로 보호 작용을 나타 낼 것으로 추정된다.경(製麴72時間頃)의 활성(活性)은 보리쌀국(麴), 밀가루국(麴), 찹쌀국(麴), 고구마국(麴)의 순이었다.험 결과 오전용 사료는 관행적인 산란계 배합사료에서 Ca공급제를 제외한 것을 급여하고, 오후용 사료는 Ca공급제를 3배 첨가한 T2처리로 15:00~16:00시에 교체급여를 하면 사료섭취량 감소와 사료비 절감면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에너지-고단백질-저Ca의 분말사료와 저에너지-저단백질-고Ca의 펠렛사료를 혼합급여하면 산란계의 사료

  • PDF

둔상 후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조영제 유출로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복강내와 후복막강/골반강내 출혈 비교 (Comparison of Intra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Pelvic Contrast Extravas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the Each Patient Group with Arterial Embolization according to th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after Blunt Trauma)

  • 윤지영;김선휴;안력;황재철;홍은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199-20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prognosis for intra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pelvic contrast extravasation, which had been confirmed by enhanced abdominal CT scan, after blunt trauma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giographic embolization.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March 2009,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regardi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contrast extravasation (CE) on CT scanning and arterial embolization after blunt trauma. The study patient group was divided into the intraperitoneal and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s according to the area of contrast extravasation. We reviewed the initial demographic data, the location of injury, the solid organ injury, the embolized vessel, and the clinical outcom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40.2{\pm}2.6$ years old, and there were 24 male patients. The intraperitoneal group included 10 patients, and retroperitoneal/pelvic group was comprised of 17 patients. The amount of transfusion from presentation to intervention and during the first 24 hours was greater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than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The intraperitoneal group showed a higher frequency and severity of liver injury tha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Angiography revealed that the hepatic artery (n=4) was the most frequently embolized vessel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while the internal iliac artery (n=6), followed by the renal artery (n=4), internal pudendal artery (n=3), and the gluteal artery (n=2), were the most frequently injured vessels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ntra-abdominal contrast extravasation found on CT scanning and arterial embolization after blunt trauma, the need for transfusion was less in the intra-abdominal group than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Liver injury was also more frequent and severe in the intraperitoneal group than in the retroperitoneal/pelvic group.

수동면역이 Acanthmoeba culbertsoni 능동면역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e immunization with Acanthamoebn culbeksoni in mice born to immune mother)

  • 공현호;서성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57-164
    • /
    • 1993
  •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Aconaamoebonensoni로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태어난 새끼 마우스를 다시 면역시켰을 때, 어미로부터 받은 수동면역이 새끼 마우스의 능동면역 시행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고자 수막뇌염 발생에 따른 사망률, 혈청내 항체가 측정 및 세포 분리분석기를 이용하여 T세포 아형을 측정하였다. A. culbertsoni 영양형 $1{\;}{\times}{\;}10^6$개로 3회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2-3주령의 새끼 마우스와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2-3 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영양형 $1{\;}{\times}{\;}10^6$개로 2회 면역하였을 때 혈청내 항체가는 같은 주령의 면역 을 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수동면역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간의 혈청내 항체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형 $1{\;}{\times}{\;}10^4$개를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을 관찰한 결과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은 면역을 받지 않은 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T세포의 아형 중, $Ly2^{+}$ T세포는 어미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이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이나 면역을 시키지 않은 군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동면역을 받은 부비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같은 방법으로 면역한 군과 대조군을 비교힌 결과, 영양형 $1{\;}{\times}{\;}10^5$개로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면역된 어미로부터 태어난 새끼를 다시 능동면역하였을 때, 능동면역에 따른 항체가의 변동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억제 T세포는 증가하였으며, 능동면역 시기에 따라 면역조절이 다르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배방법에 따른 고구마의 품질특성 및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of Sweet Potatoes Cultivated using Different Methods)

  • 우관식;고지연;김현영;이용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05-311
    • /
    • 2013
  • 재배방법을 달리하여 재배한 고구마의 품질특성과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여 고구마 친환경재배에 적합한 녹비작물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녹비작물 재배 후 후작으로 재배한 고구마에 대한 당도 및 색도 등의 품질특성과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작물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된 고구마를 과피와 과육으로 분리하여 수분(62.5-80.6 g/100 g), 단백질(2.6-3.9 g/100 g) 등의 일반성분과 칼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의 무기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전작물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재배방법을 달리하여 재배한 고구마를 과피와 과육으로 구분하여 메탄올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과육보다 과피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처리구는 관행재배 방법으로 재배한 고구마(SP1)로서 과피 추출물에서 각각 9.38 mg GAE/g sample 및 5.57 mg CE/g sample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항산화성분과 마찬가지로 과육보다 과피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p<0.05), 관행재배 방법으로 재배한 고구마(SP1) 과피 추출물이 각각 776.38 및 708.03mg TE/100 g sample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헤어리베치 후작으로 재배한 고구마(SP2)가 각각 715.20 및 708.58mg TE/100 g sample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관행재배 방법으로 재배한 고구마(SP1)가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으며, 헤어리베치 후작으로 재배한 고구마(SP2)가 그 다음의 항산화성을 보여 다른 작물에 비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발아와 볶음처리에 따른 콩가루 품질 및 이화학 특성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flours after germination and roasting)

  • 우관식;김현주;이지혜;이병원;이유영;이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3-151
    • /
    • 2018
  • 용도별 콩가루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일환으로 발아와 볶음처리 후 콩가루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발아와 볶음처리에 따른 콩가루의 수분 함량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다. 수분결합력은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콩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콩가루에서 각각 $220^{\circ}C$에서 20분(241.48%)과 $240^{\circ}C$에서 20분(251.22%)에서 높게 나타났고 용해도와 팽윤력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볶음 콩가루의 명도는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콩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콩가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4.79-7.60 및 5.33-6.50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0-2.88 및 2.31-2.78 mg CE/g으로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41.07-214.80 및 180.49-296.63 mg TE/100 g,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80.88-537.32 및 419.34-587.99 mg TE/100 g으로 발아 후 볶은 콩가루가 전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볶음조건에 따라 품질 및 이화학 성분의 변화가 있으므로, 콩가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고려하여 콩가루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고물이나 앙금 등 용도별 품질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분열효모 SpHMT1을 세포질 파이토킬레이트를 생성하지 않는 효모에서 발현으로 인한 카드뮴에 대한 저항성 증가 (Heterologous Expression of Fission Yeast Heavy Metal Transporter, SpHMT-1, Confer Tolerance to Cadmium in Cytosolic Phytochelatin-Deficient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685-1689
    • /
    • 2009
  • 파이토킬레이트(PC)는 PCS에 의해 생성되는 작은 폴리펩타이드로서 여러 생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PC의 역할은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을 세포질에서 결합하며 이는 액포막에 존재하는 HMT에 의해서 액포 안으로 이동된다. HMT1은 분열효모에서 처음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선충, 초파리 등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세포 내 역할은 카드뮴 같은 중금속 해독에 관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액포가 존재하지 않고 PC를 생성하지 않는 초파리에서의 HMT1의 발견은 그 동안 알려진 HMT1의 역할을 재 조명하게 된다. 따라서 PC를 생성하지 못하는 출아효모에 PC를 생성하는 분열효모 유래 SpHMT1을 발현시켜 카드뮴에 대한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SpHMT1을 발현하는 출아효모는 카드뮴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하게 증가되었고 이는 SpHMT1이 PC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카드뮴에 대한 해독작용을 하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SpHMT1을 발현하는 출아효모는 GSH에 대한 저항성을 보였고 카드뮴에 대한 저항성도 GHS에 의해서 더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HMT1이 PC와 결합된 카드뮴을 액포안으로 이동시키는 가능성보다 GSH와 결합된 카드뮴을 액포 안으로 이동시켜 카드뮴에 대한 해독작용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품종별 유색미 및 현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축적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Colored and Brown Rice Extracts Depending on Cultivars)

  • 김민영;박혜영;이유영;이병원;김미향;이진영;이종희;강문석;구본철;김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9-1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characteristics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colored rice and brown rice extracts in 3T3-L1 adipocyte depending on cultivar (Josaengheugchal, Heugjinmi, Hongjinju, Geongganghongmi, Seolgaeng, Milyang 320, Sindongjin, Baegjinju). Colored rice and brown rice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followed by the analysis of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6.86~314.08 mg GAE/g and 1.47~56.88 mg CE/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observed in Heugjinmi cultivar. Anthocyanin composition was analyzed by HPLC, cyanidin-3-gluoside and peonidin-3-glucoside was found in black rice including Josaengheugchal and Heugjinmi. Also, the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lored rice cultivars was higher than that of brown rice cultivars,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was observed in Heugjinmi (128.20 mg TE/g).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colored rice and brown rice extracts on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evaluated that extracts of Heugjinmi cultivar significantly re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use of Korean colored rice cultivar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s relative to anti-obesity.

물막이댐 주변에서의 국부세굴현상 모의 (Numerical Modeling of Local Scour Around a Coffer Dam)

  • 노준우;김우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419-423
    • /
    • 2004
  • 하상변동은 유속에 의해 얻어지는 전단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교대나 교각, 그 밖에 수제공 등을 비롯한 수공구조물의 설치에 의하여 흐름단면이 급격히 감소되는 구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국부세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면축소에 기인한 유속증가에 의해서 발생되는 국부세굴현상을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사용하여 모의하고 주변의 전반적인 하상변동현상을 규명해 보았다. 먼저 2차원 흐름모형으로부터 유속성분을 구하고 전단력을 구한 다음 소류사 이동공식을 적용한 하상토 보존방정식을 풀이함으로써 국부세굴에 따른 하상의 변동을 수치모델로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 하상토 보존방정식을 계산한 다음 일정시간동안 모델수행을 통해서 변동이 거의 없을 때까지 하상의 변동사항을 순차적으로 모의하고 예측해 보았다. 적합한 구간을 선정하여 단면축소에 기인한 유속증가로 인한 국부 세굴을 모의하기 위하여 본 모델을 개발, 적용하였다. 미국 미시시피 강에서 Lock & Dam No. 26을 교체하는 제 1단계 작업 중 물막이댐 건설로 인하여 흐름단면이 약 $50\%$ 감소하게 된다. 주로 단면축소 구간을 적용대상으로 선정하여 물막이댐 주변의 하상변동을 모의한 다음 실제 관측치와 비교하여 본 모델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모형은 기본적으로 유한요소법을 이용해서 하상토 보존 방정식을 풀이한 것으로 van Rijn 소류사 이동공식을 적용하였다. 세굴현상에 기인한 수심증가로 인한 전단력 감소현상도 흐름의 연속조건을 도입하여 모의가능 하게끔 작성하였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WEP 모형이 유역 물순환 해석에 적절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면, 향후 청계천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매개변수와 인공계 물순환 자료의 보완을 통해 보다 향상된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였던 Cd과 Mg이 Ca 및 Ca과 vitamin D의 동시(同時) 급여(給與)로 감소(減少)하였고 Cu는 전체적(金體的)으로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Zn은 Cd 급여(給與)로 감소(減少)하였으나 Ca과 vitamin D의 급여(給與)에 의하여 증가(增加)하였고 Ca은 Ca과 viamin D의 급여(給輿)로 유의(有意)하게 증가(增加)하였다. 신장(腎臟)중의 무기질(無機質) 함량(含量)은 Cd급여(給輿)로 Cu, Mg은 감소(滅少)하였으나 Ca, Zn은 변화(變化)가 없었고 Ca 및 Ca과 Vitamin D의 급여(給與)로 Cd, CU, Zn은 증가(增加)하였다.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 PDF

Establishment of a library of fragments for the rapid and reliable determination of anabolic steroids by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 time of flight-mass spectrometry

  • Do, Jung-Ah;Noh, Eunyoung;Yoon, Soon-Byung;Choi, Hojune;Baek, Sun-Young;Park, Sung-Kwan;Lee, Sang-Gyeong
    • 분석과학
    • /
    • 제30권1호
    • /
    • pp.10-19
    • /
    • 2017
  • Anabolic steroids have similar structures to testosterone, both of which promote the growth of muscle mass and increase strength. However, the side effects of anabolic steroid use may lead to heart attacks or strokes. Additionally, the excessive use of steroids inhibits the production of the sex hormones in the body via a negative feedback loop, which results in testicular atrophy in males and amenorrhea in females. Currently, the method of choice used to test for the presence of anabolic steroids is GC-MS. However, GC-MS methods require chemical derivatization of the steroid sample to ensure compatibility with the analytical method; therefore, analysis of many different samples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Unlike GC-MS, th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LC-Q-TOF-MS) method is suitable for many samples. Twenty-two different anabolic steroids were analyzed by LC-Q-TOF-MS with various collision energies (CE). Accurate mass spectral data were obtained using a Q-TOF-MS equipped with an electro-spray ionization source and operated in the positive MS/MS mode for several classes of steroids that are often the targets of test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agmentation pathways were carefully elucidated. The high selectivity and sensitivity of the LC-Q-TOF-MS instrument combined with these fragmentation pathways offers a new approach for the rapid and accurate screening of anabolic steroids. The obtained data from the 22 different anabolic steroids will be shared with the scientific community in order to establish a library to aid in the screening of illegal anabolic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