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c25c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Post-transcriptional and post-translational regulation during mouse oocyte maturation

  • Kang, Min-Kook;Han, Seung-Jin
    • BMB Reports
    • /
    • 제44권3호
    • /
    • pp.147-157
    • /
    • 2011
  • The meiotic process from the primordial stage to zygote in female germ cells is mainly adjusted by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pre-existing maternal mRNA and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proteins. Several key proteins such as the cell cycle regulator, Cdk1/cyclin B, are post-translationally modified for precise control of meiotic progression. The second messenger (cAMP), kinases (PKA, Akt, MAPK, Aurora A, CaMK II, etc), phosphatases (Cdc25, Cdc14), and other proteins (G-protein coupled receptor, phosphodiesterase) a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is process. Many proteins, such as CPEB, maskin, eIF4E, eIF4G, 4E-BP, and 4E-T, post-transcriptionally regulate mRNA via binding to the cap structure at the 5' end of mRNA or its 3' untranslated region (UTR) to generate a closed-loop structure. The 3' UTR of the transcript is also implicated in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through an association with proteins such as CPEB, CPSF, GLD-2, PARN, and Dazl to modulate poly(A) tail length. RNA interfering is a new regulatory mechanism of the amount of mRNA in the mouse oocyte. This review summarizes information about post-transcriptional and post-translational regulation during mouse oocyte meiotic maturation.

마우스의 대뇌조직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와 세포주기의 조절 (Regula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in Irradiated Mouse Brain)

  • 오원용;송미희;정은지;성진실;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46-152
    • /
    • 2001
  • 목적 : 마우스 대뇌조직에 방사선이 조사되었을 경우 아포토시스와 세포주기의 조절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8주간 성숙된 C57B1/6J 마우스의 전뇌에 코발트 방사선조사기로 25 Gy의 방사선을 단일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후 1, 2, 4, 8, 24시간 간격으로 마우스를 경추 탈구사시킨 후 뇌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뇌조직을 TUNEL 분석법에 의하며 아포토시스 유도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Western blotting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산물인 p53, Bcl-2, Bax 그리고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cyclin Bl, Dl, E, cdk2, cdk4, $p34^{cdc2}$를 분석하였다. 세포주기의 변화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 아포토시스는 방사선조사후 8시간에서 최고치를 보였고 아포토시스 지수는 $24.0{\pm}0.25$ (p<0.05)였다. 세포주기에서 조절인자의 변화는 cyclin D1를 제외하고는 특이하지 않았다. 결론 : 마우스의 전뇌에 방사선을 조사한 결과 아포토시스는 대뇌의 상의하(subependyma)에서 주로 일어났으며 세포주기의 조절인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천화분이 MCF-7 유방암 세포주의 G2/M 세포주기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resting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 at G2/M Phase of Trichosanthes Kirilowii)

  • 정승민;정미경;고성규;최유경;박종형;전찬용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57-8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mechanism by Trichosanthes kirilowii (TCK) in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 In this study, we used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ichigan cancer foundation-7 cells (MCF-7 cells). They were co-incubated with 30~200 ${\mu}g$/ml TCK for 48 hours,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1 (WST-1) assay. After MCF-7 cells were exposed to 60 ${\mu}g$/ml of TCK for 0, 3, 6, 12, 24, 48 hours, We performed flow analysis cytometry sorting(FACS) and western blot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ose-dependent cell growth inhibition by TCK, which could be proved by WST-1 assay. Also,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that TCK increased percentage of subG1 phase and G2/M phase cell cycle. In addition, TCK 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expression of caspase-9, -3 and poly(ADP-ribose) polymerase(PARP) activation. Moreover, we showed that ATM-dependent G2/M phase arrest by DNA damage and phosphorylation of chk2, cdc25C, cdc2(Tyr15).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y G2/M phase arrest through DNA damage and inducing of apoptosis through intrinsic pathway, TCK may have potential tumor suppressor in breast cancer.

Knock-down of human MutY homolog (hMYH) decreases phosphorylation of checkpoint kinase 1 (Chk1) induced by hydroxyurea and UV treatment

  • Hahm, Soo-Hyun;Park, Jong-Hwa;Ko, Sung-Il;Lee, You-Ri;Chung, In-Sik;Chung, Ji-Hyung;Kang, Lin-Woo;Han, Ye-Sun
    • BMB Reports
    • /
    • 제44권5호
    • /
    • pp.352-357
    • /
    • 2011
  • The effect of human MutY homolog (hMYH) on the activation of checkpoint proteins in response to hydroxyurea (HU) and ultraviolet (UV) treatment was investigated in hMYH-disrupted HEK293 cells. hMYH-disrupted cells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Chk1 upon HU or UV treatment and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Cdk2 and the amount of Cdc25A, but not Cdc25C. In siMYH-transfected cells, the increased rate of phosphorylated Chk1 upon HU or UV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in siGFP-transfected cells, meaning that hMYH was involved in the activation mechanism of Chk1 upon DNA damage. The phosphorylation of ataxia telangiectasia and Rad3-related protein (ATR) upon HU or UV treatment was decreased in hMYH-disrupted HEK293 and HaCaT cells. Co-immunoprecipit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hMYH was immunoprecipitated by anti-AT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MYH may interact with ATR and function as a mediator of Chk1 phosphorylation in response to DNA damage.

ALTERED GENE EXPRESSION IN RADIATION INDUCED TUMORIGENESIS OF NIH3T3 CELLS REVEALED BY MICROARRAY

  • Kang, Chang-Mo;Song, Ji-Eun;Cho, Chul-Koo;Lee, Su-Jae;Lee, Yun-Sil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Current Trends in Toxicological Sciences
    • /
    • pp.81-81
    • /
    • 2002
  • The recent development of cDNA microarray or cDNA chip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thousands of genes at once. In present study, we made radioresistant clones (#1 and #4) from NIH3T3 cells which are not tumorigenic and we identified 4 genes using microarray system, cdk6, cdc25B, mdm-2 and nidogene, which were altered in radiaiton resistanct NIH3T3 cells.(omitted)

  • PDF

간암 세포주에서의 Indole-3-Carbinol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주기 억제 기전 (Inhibitory Mechanisms of Cell Cycle Regulation Induced by Indole-3-carbinol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 김동우;이광수;김민경;조율희;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1-185
    • /
    • 2001
  • 유방암 세포주에서는 우수한 항암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indole-3-carbinol을 HepG2세포주에 시간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cell growth inhibition을 확인하였으며, $IC_{50}$ 값은 48시간배양에서 $446\mu$M 72시간 배양에서 444$\mu$M로 나타났다. $400\mu$M의 I3C을 투여하고, 24, 48, 72시간에 HePG2 세포주의 cell cycle pattern을 분석한 결과, G1 phase에서 P21의증가와 함께 Cdk 6와 cyclin D의 확연한 감소와 Pb protein의 hypo-phosphorylation을 확인하였다. 반면 G2 phase에서는 I3C의 직접적인 억제로 인해 24시간 후부터 Cdc2와 cyclin B1가 급격히 감소하는것을 확인하였다. Flow cytomery 분석결과 I3C 처리 24시간 뒤 G2 arrest (25%)가 발생하였으며, 72시간이 지난후 G1 arrest (53%)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I3C의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의 cell cycle arrest가 apoptosis를 유발하는지를 알고자 caspase 3 Bcl2 Bax protein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무런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즉 I3C은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지 못한다는것을 확인하였따. 결론적으로 I3C은 HepG2 세포주에서 G1와 G2 phase에서 cell cycle arrest는 발생시키나, 특이적으로 apoptosis 와는 연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Cordycepin에 의한 LNCap 인체 전립선 암세포의 apoptosis 및 G2/M arrest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and G2/M Cell Cycle Arrest by Cordycepin in Human Prostate Carcinoma LNCap Cells)

  • 이혜현;황원덕;정진우;박철;한민호;홍수현;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2-97
    • /
    • 2014
  • Cordycepin은 Cordyceps militaris에서 처음 유래된 nucleoside adenosine 유도체의 일종으로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Cap 인체 전립선 암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cordycepin에 의한 항암활성 기전을 연구하였다. Cordycepin 처리에 따라 LNCap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poly ADP-ribose polymerase의 단편화 현상과 Annexin V 염색에 의한 정량적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Cordycepin 처리에 따른 flow cytometric analysis 결과로서 cordycepin이 세포주기 G2/M기 정체 현상을 유발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cyclin B1 및 cyclin A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cordycepin이 처리된 LNCap 세포에서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Waf1/Cip1의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CDK2, CDC2 및 Cdc25C의 발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ordycepin에 의하여 증가된 p21 단백질은 CDK2 및 CDC2와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NCap 전립선 암세포에서 cordycepin에 의한 G2/M 및 apoptosis 유발은 p53 비존적인 CDK inhibitor p21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Paclitaxel에 의한 관절연골 세포의 capase-비의존적 mitotic catastrophe 유도 (Paclitaxel Induced Caspase-Independent Mitotic Catastrophe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

  • 임정희;김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9-527
    • /
    • 2010
  • Paclitaxel은 미세소관의 탈중합을 억제하는 시약으로 알려져 있다. Paclitaxel은 다양한 세포에서 세포 내 방추체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유사분열 억제 및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본 실험에서는 토끼 관절 연골세포에서 paclitaxel이 연골세포의 증식과 사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paclitaxel은 연골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FACS analysis와 Western blot analysis를 수행한 결과, paclitaxel이 G2/M 정지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clitaxel이 비정상적인 세포 분열유도와 핵 단편분절 유도없이 일어나는 mitotic catastrophe 즉, caspase-3 비의존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Paclitaxel을 처리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mitotic catastrophe에 의한 세포 죽음은 G1/S기의 진행을 억제하는 시약인 thymidine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aclitaxel에 의한 토끼 관절 연골 세포에서의 세포 죽음은 caspase-3 비의존적인 mitotic catastrophe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mygdalin Modulates Cell Cycle Regulator Genes in Human Chronic Myeloid Leukemia Cells

  • Park, Hae-Jeong;Baik, Haing-Woon;Lee, Seong-Kyu;Yoon, Seo-Hyun;Zheng, Long-Tai;Yim, Sung-Vin;Hong, Seon-Pyo;Chung, Joo-Ho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2권3호
    • /
    • pp.159-165
    • /
    • 2006
  • To determine the anticancer effect of D-amygdalin (D-mandelinitrole-${\beta}$-D-gentiobioside) in human chronic myeloid leukemia cells K562, we profiled the gene expression between amygdali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rough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 cytotoxicity of D-amygdalin was $57.79{\pm}1.83%$ at the concentration of 5 mg/mL for 24 h. We performed cDNA microarray analysis and compare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between D-amygdalin (5 mg/mL, 24 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mong the genes changed by D-amygdalin, we paid attention to cell cycle-related genes, and particularly cell cycle regulator genes; because arrest of cell cycle processing was ideal tactic in remedy for cancer. In our data, expressions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B (p27, Kip1) (CDKN1B), ataxia telangiectasia mutated (includes complementation groups A, C, and D) (ATM),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C (p57, Kip2) (CDKN1C), and CHK1 checkpoint homolog (CHEK1, formally known as CHK1) were increased, while expressions of cyclin-dependent kinase 2 (CDK2), cell division cycle 25A (CDC25A), and cyclin E1 (CCNE1) were decreased. The pattern of these gene expressions were confirmed through RT-PCR. Our results showed that D-amygdalin might control cell cycle regulator genes and arrest S phase of cell cycle in K562 cells as the useful anticancer drug.

인체 방광암 및 백혈병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세포주기 G2/M arrest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by Genistein in Human Bladder Carcinoma and Leukemic Cells)

  • 김의겸;명유호;송관성;이기홍;류충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89-59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T24 인체방광암 및 U937 백혈병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enistein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Genistein이 처리된 T24 및 U937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심한 형태적 변형이 동반되었으나, U937 세포에서 보다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러한 T24 및 U937 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 변형은 G2/M기의 세포주기 억제 및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세포주기의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T24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G2/M arrest는 cyclin A, cyclin B1 및 Cdc25C 등의 단백질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으나, 종양억제 유전자 p53 및 Cdk inhibitor p21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U937 세포에서 genistein에 의한 G2/M arrest는 cyclin B1 및 p53 비의존적인 p21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재까지 거의 연구가 진행된 바 없는 인체방광암 및 백혈병 세포에서 genistein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genistein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